상표등록무효

사건번호:

89후1677

선고일자:

199005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출원상표가 지정상품을 달리하는 타인의 등록상표와 유사하여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다는 이유로 등록을 거절하기 위한 요건

판결요지

출원상표가 지정상품을 달리하는 타인의 등록상표와 유사한 것이어서 상품출처의 오인을 초래하여 일반 수요자나 거래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11호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상표의 등록을 거절하려면, 상표등록출원에 관하여 상표등록사정을 할 때, 또는 상표등록을 허가하는 심결을 할 때를 기준으로 하여, 타인의 등록상표가 일반수요자나 거래자간에 그 타인의 상표로 널리 알려져 있을 것을 필요로 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조조문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1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87.3.10. 선고 86후156 판결(공1987,648), 1987.12.22. 선고 87후52 판결(공1988,347)

판례내용

【심판청구인, 상고인】 주식회사 태창 소송대리인 변리사 김연수 【피심판청구인, 피상고인】 박만수 소송대리인 변리사 서상욱 【원 심 결】 특허청항고심판소 1989.8.31. 자 88항당51 심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심판청구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심판청구인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1. 상표법 제9조 제1항이 그 제11호에서 "상품의 품질을 오인케 하거나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는 상표"를 등록을 받을 수 없는 상표의 하나로 규정한 취지는, 그 상표 자체에 지정상품과의 관계에 있어서 상품이 지닌 품질과 다른 품질을 갖는 것으로 오인케 하거나 상품출처의 오인을 초래하여 일반수요자나 거래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는 상표의 등록을 거절함으로써 일반수요자나 거래자를 보호하려는데 있으므로, 출원상표가 지점상품을 달리하는 타인의 등록상표와 유사한 것이어서 상품출처의 오인을 초래하여 일반수요자나 거래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11호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상표의 등록을 거절하려면, 상표등록출원에 관하여 상표등록사정을 할 때 또는 상표등록을 허가하는 심결을 할 때를 기준으로 하여, 타인의 등록상표가 일반수요자나 거래자간에 그 타인의 상표로 널리 알려져 있을 것을 필요로 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당원 1987.3.10. 선고 86후156 판결; 1987.12.22 선고 87후52 판결 등 참조). 2. 그런데 기록에 의하면, 심판청구인의 등록상표중 " "은 1959.6.26.에, ""은 1978.3.1.에, ""은 1979.5.28.에 등록됨으로써(이 뒤에는 이들 상표를 "인용상표"라고 약칭한다. ""는 1984.9.28.에, ""은 1985.4.17.에 등록되었다), 인용상표와 그 지정상품을 달리하여 1982.5.17. 출원되어 1983.1.10. 등록된 피심판청구인의 등록상표(이 뒤에는 "이 사건 등록상표"라고 약칭한다)인 ""보다, 인용상표가 먼저 상표등록출원이 되어 등록되어 있는 사실, 심판청구인이 이 사건 등록상표가 등록되기 4,5년전부터 인용상표를 선전광고한 사실 등을 인정할 수 있기는 하나, 이와 같은 사실만으로는 이 사건 등록상표에 관하여 상표등록 사정을 할 당시 인용상표가 일반수요자나 거래자간에 널리 알려져 있었다고 보기 어렵고, 달리 이점을 인정할 만한 증거가 아무것도 없으므로, 피심판청구인이 인용상표와 유사한 이 사건 등록상표를 그 지정상품에 사용하더라도, 인용상표의 상표권자인 심판청구인의 상품으로 상품출처의 오인을 초래하여 일반수요자나 거래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다고 할 수 없음이 명백하다. 3. 이와 취지를 같이 하여 이 사건 등록상표가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11호의 규정에 위반하여 등록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한 원심결에 경험법칙을 위반하였거나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11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없으므로, 논지는 이유가 없다. 소론이 판례라고 들고 있는 당원의 판결들은 모두 사안이 달라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다만 원심이 인용상표가 일반수요자나 거래자간에 심판청구인의 상표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이 사건 등록상표에 관하여 상표등록사정을 할 때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상표등록출원을 한 때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한 것은 소론과 같이 위법하다고 하겠으나, 이 사건 등록상표에 관하여 상표등록사정을 할 당시 인용상표가 일반수요자나 거래자간에 널리 알려져 있었음을 인정할 수 없음이 앞서 본 바와 같으므로, 원심이 저지른 이와 같은 위법은 원심결의 결론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 것임이 명백하다. 따라서 이 점을 비난하는 논지는 받아들일 것이 못된다. 4. 또 원심은 "태창"을 요부로 한 상호가 서울지역에만도 120여개나 있고, "태창"을 요부로 하는 상표도 그 지정상품이 섬유류와 의류인 것만도 10여개나 등록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인용상표만이 일반수요자나 거래자간에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시하였을 뿐이지, 그와 같은 이유로 인용상표가 일반수요자나 거래자간에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아니므로, 원심판결에 논리비약의 위법이 있다는 논지도 이유가 없다. 5. 그러므로 심판청구인의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심판청구인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재성(재판장) 박우동 윤영철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먼저 등록한 상표가 왕! 나중에 등록했더라도 먼저 등록한 상표와 비슷하면 침해!

## 제목: 먼저 출원한 상표가 최고! 나중에 등록했더라도 먼저 출원한 상표권 침해 상표권은 먼저 출원한 사람이 우선권을 갖습니다. 나중에 유사한 상표를 등록했더라도, 먼저 출원한 상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품에 사용하면 상표권 침해가 됩니다. 이는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구체적인 내용:** * 상표권은 먼저 출원한 사람이 권리를 갖는다는 '선출원주의'가 기본 원칙입니다. * 나중에 유사한 상표를 등록했더라도, 먼저 출원한 상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품에 사용하면 안 됩니다. * 먼저 출원한 상표권자의 동의 없이 유사한 상표를 사용하면 상표권 침해가 됩니다. * 이러한 원칙은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 즉, 먼저 발명, 창작, 디자인된 권리를 보호합니다. **판결 내용:** * 원고는 2014년 9월 5일에 'D' 표장을 상표 출원하여 등록받았습니다. * 피고는 2015년 12월 18일에 설립되어 '데이터팩토리', 'DATA FACTORY' 등 유사한 표장을 사용했습니다. *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 피고는 소송 중에 '데이터팩토리' 표장을 상표 출원하여 2017년 8월 8일에 등록받았습니다. * 법원은 피고가 상표 등록을 받았더라도, 원고의 상표권을 침해했다고 판결했습니다. * 즉, 나중에 상표 등록을 받았더라도 먼저 출원한 상표권을 침해할 수 없습니다. **참조조문:** 상표법 제34조 제1항 제7호, 제35조 제1항, 제89조, 제92조, 제107조, 제108조 제1항, 제117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86. 7. 8. 선고 86도277 판결(변경), 대법원 1999. 2. 23. 선고 98다54434, 54441 판결(변경)

#상표권#선출원주의#상표권 침해#특허권

특허판례

상표권 침해? 비슷한 상표는 안돼요!

출원상표 ""가 기존 상표 ""와 유사하며, 지정상품도 유사하여 상표 등록이 거절된 사례입니다. 단순히 앞에 다른 단어가 추가되었다고 해서 유사하지 않다고 볼 수 없으며, 지정상품이 기계류라는 큰 범주에서 유사하다면 세부적인 용도 차이가 있어도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상표유사성#상표등록거절#지정상품유사#혼동가능성

특허판례

유명하지 않은 상표도 보호받을 수 있을까? - 상표 유사 판단 기준

아주 유명한 상표가 아니더라도, 유사한 상표를 사용했을 때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우려가 있다면 상표 등록이 무효가 될 수 있다.

#상표 등록 무효#소비자 혼동#상표 유사성#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1호

특허판례

먼저 등록된 상표가 무효되면 나중에 등록된 비슷한 상표는 어떻게 될까요?

먼저 등록된 상표가 나중에 무효가 된 경우, 그 무효가 된 상표와 유사한 상표는 원칙적으로 유효하지 않습니다. 또한, 심판 과정에서 당사자에게 의견 진술 기회를 주지 않고 중요한 사항을 직권으로 판단하면 위법입니다.

#무효상표#유사상표#등록무효#심판절차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소비자 기만 여부가 핵심!

새로운 상표가 기존 상표와 유사하여 소비자들이 혼동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할 때, 기존 상표가 반드시 유명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관련 업계에서 특정 회사의 상표로 인식될 정도로 알려져 있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상표#수요자 기만#유사상표#상표 등록

형사판례

취소 가능한 상표라도 등록된 동안은 보호받는다!

등록이 취소될 가능성이 있는 상표라도, 실제로 취소되기 전까지는 상표권이 유효하며, 이를 침해하면 처벌받습니다. 또한, 항소심에서 징역형이 벌금형으로 변경된 것은 피고인에게 더 불리한 판결이 아니므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상표권 침해#취소 사유 상표#유효한 상표권#벌금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