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10445

선고일자:

199106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납세자의 과세표준확정신고에 따른 서면조사결정에 의한 과세처분 후 수입금액이 신고내용에서 처음부터 탈루되었음이 밝혀진 경우 소득세법 제127조의 규정에 의한 경정결정의 가부(적극)

판결요지

소득세법 제119조, 동법시행령 제168조의 규정에 의한 납세자의 과세표준확정신고에 의하여 과세관청이 서면조사결정으로 과세처분을 한 후에도 그 수입금액이 신고내용에 포함되지 아니하고 처음부터 탈루되었을 때에는 소득세법 제127조의 규정에 의하여 경정결정을 할 수 있다.

참조조문

소득세법 제119조, 제127조, 소득세법시행령 제16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5.12.10. 선고 85누459 판결(공1986,257), 1989.12.12. 선고 89누2882 판결(공1990,287), 1990.1.25. 선고 89누4840 판결(공1990,574)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영등포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11.20. 선고 88구31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소득세법 제119조, 동법시행령 제168조의 규정에 의한 납세자의 과세표준확정신고에 의하여 과세관청이 서면조사결정으로 과세처분을 한 후에도 그 수입금액이 신고내용에 포함되지 아니하고 처음부터 탈루되었을 때에는 소득세법 제127조의 규정에 의하여 경정결정을 할 수 있다 ( 당원 1989.12.12. 선고 89누2882 판결; 1990.1.25. 선고 89누4840 판결 참조). 원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가 원고의 1984년도와 1985년도 귀속 종합소득세에 관하여 처음에는 원고의 신고내용에 따라 그대로 세액을 결정하여 부과처분하였다가, 원고가 고용한 내과전문의 소외 김순택의 탈세제보로 수사에 착수한 서울지방검찰청 남부지청으로부터 원고의 소득누락사실을 통보받고 실지조사를 하였던바, 원고가 과세표준확정신고시 1984년도분 금 873,547,638원, 1985년도분 금 689,698,074원을 누락시킨 사실을 확인하고 원고의 총수입금액을 1984년도 금 1,227,955,544원, 1985년도 금 1,072,041,377원으로 결정한 다음, 그 소득금액의 산출은 원고가 비치하고 있는 장부의 중요한 부분이 미비 또는 허위라 하여 소득세법 제120조에 의거 위 총수입금액에 소득표준율을 적용하여 과세표준을 추계하여 1987.3.16.에 다시 한 이 사건 과세처분을 지지하였는바 이는 정당하고,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위배나 판단유탈,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석(재판장) 박우동 김상원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신고, 제대로 안 하면 큰일납니다! 변호사 세금 탈루 사례 분석

변호사가 국세청과 협의된 기준금액 이상으로 소득을 신고하면 세무조사를 받지 않는다는 생각으로 실제 소득보다 적게 신고했을 경우, 국세청은 세무조사를 통해 실제 소득을 확인하고 추가 세금과 가산세를 부과할 수 있다. 이는 국세청의 신의성실의 원칙 위반이나 조세 공평의 원칙 위반이 아니다.

#세무조사#과세처분#정당성#소득신고

세무판례

세금 더 냈다고 생각되면? 경정청구, 이것만 알면 된다!

세금 신고 후 5년 이내에는 세무서의 결정이나 변경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더라도 경정청구를 할 수 있으며, 경정청구 거부 소송에서는 세무서의 증액 사유도 다툴 수 있지만, 증액경정에 대한 이의제기 기간이 지났다면 처음 신고한 금액까지만 돌려받을 수 있다는 판결.

#경정청구#납세자 권리#증액경정#불복기간

세무판례

세금 신고 누락, 어떻게 될까요?

이 판례는 변호사가 수임료 수입을 신고하지 않은 경우, 세무서가 나중에 이를 발견하여 세금을 다시 계산할 수 있고, 누락된 수입에 대한 필요경비는 납세자가 입증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또한, 소득 누락분이 확인된 경우 추계과세가 아닌 실지조사를 통해 세금을 계산해야 하며, 누락 수입 관련 경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기존에 신고된 총필요경비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한다는 것을 명시합니다.

#소득누락#세금경정#필요경비입증책임#실지조사

세무판례

세금 소송, 처음엔 몰랐던 수입도 나중에 추가될 수 있을까?

세금 부과 처분을 다투는 소송에서, 처음 세금 계산할 때 빠뜨린 소득이 있더라도, 소송 중에 이를 포함하여 다시 계산할 수 있다.

#세금 소송#누락 소득#추가 계산#78누345 판례

세무판례

세금 신고 후에도 수정할 수 있을까? 경정청구권에 대한 이야기

세금 신고 후 세무서의 결정이나 변경에 대해 정해진 기간 내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더라도, 3년 이내에는 처음 신고한 내용에 대해 경정청구(세금 돌려달라는 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단, 세무서가 세금을 *늘린* 경우에는 그 늘어난 부분에 대해서만 정해진 이의 기간 내에 경정청구를 해야 합니다.

#경정청구#3년#이의제기#증액경정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는데, 원래 신고했던 세금이 잘못됐다고 주장할 수 있을까?

세금을 더 내라고 하는 과세 처분을 받았을 때, 세금 경정청구 제도가 있다고 해서 해당 처분에 불복하는 소송에서 "처음 신고한 세금 자체가 많았다"라는 주장을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세금 경정청구#과세처분 불복소송#당초 신고 세액 과다 주장#허위 세금계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