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옥대장등록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5467

선고일자:

199010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옥대장에 한 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소의 적부(소극)

판결요지

행정청에 대하여 행정상의 처분의 이행을 구하는 청구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행정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고 가옥대장 내지 건축물관리대장에 일정한 사항을 등재하는 행위는 행정사무집행의 편의와 사실증명의 자료로 삼기 위한 것일 뿐 그 등재행위로 인하여 당해 가옥에 관하여 실체상의 권리관계에 어떠한 변동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므로 가옥대장의 등재행위는 행정처분이라 할 수 없으니 구청에 비치된 가옥대장에 한 등재의 말소를 구하는 소는 부적법하다.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2.10.26. 선고 82누411 판결(공1983,111)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김석호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종로구청장 【원 판 결】 서울고등법원 1990.5.31. 선고 90구486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소송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행정청에 대하여 행정상의 처분의 이행을 구하는 청구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행정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고 가옥대장 내지 건축물관리대장에 일정한 사항을 등재하는 행위는 행정사무집행의 편의와 사실증명의 자료로 삼기 위한 것일 뿐 그 등재행위로 인하여 당해가옥에 관하여 실체상의 권리관계에 어떠한 변동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므로 가옥대장의 등재행위는 행정처분이라 할 수 없으니 구청에 비치된 가옥대장에 한 등재의 말소를 구하는 소는 부적법하다( 당원 1982.10.26. 선고 82누411 판결 참조).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가옥대장의 등재말소를 구하는 원고의 이 사건 소를 각하한 것은 옳고 또한 원심은 이 사건 소가 부적법하다고 한 것이지 이 사건 가옥이 적법한 건축물인지 여부와 그 대지의 소유권이 누구에 있는지를 판단한 것은 아니므로 이러한 점에 대한 원심의 판단이 잘못되었다는 논지는 원판결을 오해한 것에 지나지 아니한다. 논지는 이유없어 이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이회창 배석 김상원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건축물대장 직권말소, 행정소송 대상 될까?

건축물대장 직권말소는 건축물 소유자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므로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다. 다만, 이 사건에서는 건축물이 사실상 멸실되어 말소처분이 적법했기에 소송 결과에는 영향이 없었다.

#건축물대장#직권말소#행정처분#행정소송

민사판례

불법 건축물 소유권, 국가 상대로 확인 가능할까?

건축법을 위반하여 지어져 가옥대장도 없는 건물의 소유권을 확인해달라고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걸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불법 건축물#소유권확인소송#국가 상대 소송 불가#확인의 이익

일반행정판례

무허가 건물 관리대장 삭제, 소송으로 다툴 수 있을까?

무허가건물관리대장에서 건물 정보가 삭제되었다고 해서 바로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해당 삭제가 실질적인 권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소송 자체가 부적법할 수 있습니다.

#무허가건물관리대장#삭제#행정소송#권리구제

일반행정판례

건축물대장 정정, 거부당해도 소송은 어려워요!

건축물대장의 내용을 정정해달라는 신청을 담당 관청에서 거부했더라도, 이는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 아닙니다. 즉, 소송으로 다툴 수 없습니다.

#건축물대장#정정신청#거부#행정소송

일반행정판례

토지대장 말소, 함부로 할 수 없다! 알고 보면 중요한 토지대장의 역할

국가기관이 토지대장을 직권으로 말소하는 것은 토지 소유자의 권리에 영향을 주는 행정처분이므로, 이에 불복하는 사람은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토지대장#직권말소#행정소송#행정처분

민사판례

가처분 이후 등기에 대한 쟁점 정리

부동산에 가처분이 걸린 후 제3자가 등기를 했다면, 가처분권리자는 승소 후 제3자 등기를 말소할 수 있습니다. 말소 대상이 부동산 일부 지분이라면, 일부 말소의 의미를 가진 경정등기로 처리해야 합니다. 또한, 등기관이 신청에 따라 등기 절차를 완료했을 경우, 법에 정해진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의신청을 통해 등기를 말소할 수 없습니다.

#가처분#제3자 등기#말소#경정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