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0다15822

선고일자:

199102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속재산에 대하여 상속지분을 특정, 명시하지 아니한 채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이행을 명한 조치의 위법 여부(소극)

판결요지

법원이 등기의무자의 재산상속인들에게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명함에 있어 상속분을 특정하여 명시하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위법한것이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9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3.12.26. 선고 73다1358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김도석 외 3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갑열 【피고, 상고인】 김재민 외 61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석조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10.16. 선고 88나42359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피고들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 제1점 및 제2점에 대한 판단 소론이 지적하는 점에 관한 원심의 인정판단은, 원심판결이 설시한 증거관계에 비추어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그 과정에 소론과 같이 심리를 제대로 하지 아니한 채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논지는 결국 원심의 전권에 속하는 증거의 취사판단과 사실의 인정을 비난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받아들일 수 없다. 2. 같은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한 판단 소론은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사실과 상치되는 사실을 전제로, 원심판결에 피고들의 주장에 대한 판단을 유탈한 위법이 있다고 비난하는 것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논지도 받아들일 것이 못된다. 3. 같은 상고이유 제4점에 대한 판단 법원이 본래의 채무의 액수와 본래의 차용물에 갈음하여 이전할 재산의 가액을 확정하지 않고도, 채무자에게 대물변제의 약정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명할 수 있는 것이므로, 원심판결에 이 점에 관하여 심리를 제대로 하지 아니한 채 이유를 명시하지 아니하거나 이유에 모순이 있는 위법이 있다는 취지의 논지도 받아들일 것이 못된다. 4. 같은 상고이유 제5점에 대한 판단 법원이 등기의무자의 재산상속인들에게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명함에 있어서, 상속분을 특정하여 명시하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위법한 것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당원 1973.12.26. 선고 73다1358 판결 참조), 논지도 받아들일 수 없다. 5. 그러므로 피고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최재호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상속등기, 생각보다 까다롭네? 알아두면 좋은 상속등기 상식!

상속등기는 법에서 정한 서류와 절차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며, 확정판결이 있더라도 법정상속분과 다르거나, 공동상속인 전원이 참여하지 않으면 등기가 거부될 수 있습니다.

#상속등기#확정판결#법정상속분#공동상속

세무판례

상속재산, 등기 시점이 중요합니다!

돌아가신 분(피상속인)으로부터 재산을 물려받을 사람(상속인)이 상속 전에 증여받은 토지라도 등기가 상속 후에 이루어졌다면 상속재산에 포함됩니다. 반대로, 피상속인이 사망 1년 전에 땅을 팔았다면 사망 1년 이내에 잔금을 받았더라도 상속세 계산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상속재산#상속세#증여#등기

가사판례

상속재산 분할, 등기 안 된 증여는 효력 없다!

돌아가신 분이 생전에 다른 사람에게 부동산을 증여하기로 약속했더라도, 등기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그 부동산은 여전히 상속재산에 포함됩니다.

#증여#등기#상속#유산분할

민사판례

상속인 아닌 사람이 소유권이전등기 해줘도 될까? 상속재산 분할은 어떻게?

돌아가신 분이 땅을 판 뒤 소유권 이전등기를 못하고 돌아가셨을 때, 상속인이 아닌 다른 사람이 그 의무를 대신 이행하기로 약속할 수 있으며, 공동상속인끼리 상속지분을 양도하는 것은 상속재산 협의분할로 볼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상속재산#소유권이전등기#상속인#협의분할

민사판례

상속재산, 나눠지기 전에도 내 몫은 있다?! - 상속분과 상속재산 분할에 대한 오해 풀기

상속이 개시되면 상속재산 분할 전이라도 각 상속인은 법정상속분대로 상속재산에 대한 권리를 갖습니다. 특별수익 등을 이유로 상속재산 분할 전에 특정 상속인의 상속분이 없다고 주장하며 법정상속분에 따른 등기를 무효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상속재산분할#법정상속분#권리승계#특별수익

가사판례

상속재산 분할, 제대로 알고 받자!

상속재산 분할 시 상속개시 후 상속세 납부로 사용된 금액을 상속재산에 포함시켜 계산했다면, 분할 과정에서 해당 금액을 제외하면 안 된다. 그렇게 되면 상속인이 받아야 할 몫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상속재산분할#상속세#납부금액#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