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0다카10725

선고일자:

199011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예비군면대장인 군무사무관이 소속사단본부의 회의에 참석하기 위하여 자기소유의 오토바이 뒷 자석에 다른 예비군면대장을 태우고 운행하다가 사고가 발생한 경우의 국가배상책임 유무(소극)

판결요지

예비군 면대장으로 재직중인 군무사무관이 소속사단본부에서 실시하는 예비군실무자회의에 참석하기 위하여 자신의 소유인 오토바이의 뒷자석에 역시 같은 사단소속의 예비군면대장을 태우고 운전하여 가다가 사고가 발생하였는데, 그 오토바이는 위 군무사무관이 종전부터 자신의 개인적인 용무에 사용하여 오고있던 것으로서 위 소속 군부대가 그 사용 또는 관리 등에 관하여 특별히 관여하거나 지시 등을 행하지 아니한 경우라면, 위의 오토바이 운전행위를 직무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없고, 또 이를 외형상 객관적으로 그 직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행위라고도 볼 수 없다.

참조조문

국가배상법 제2조,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제일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중앙국제법률특허사무소 담당변호사 장한각 【피고, 피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3.13. 선고 89나347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거시증거에 의하여 소외 망 유수웅은 육군 제55사단 제171연대소속 군무사무관으로서 경기도 이천군 대월면 예비군면대장으로 제직중인 자인데, 이 사건 사고 당일 13:00 소속사단본부에서 실시하는 예비군실무자회의에 참석하기 위하여 자신의 소유인 오토바이의 뒷자석에 역시 같은 사단소속의 예비군면대장인 소외 망 박기수를 태우고 이를 운전하여 가다가 이 사건 사고에 이르게 된 것이고, 한편 위 오토바이는 위 유수웅이 종전부터 자신의 개인적인 용무에 사용하여 오고 있던 것으로서 위 소속 군부대가 그 사용 또는 관리 등에 관하여 특별히 관여하거나 지시 등을 행하지 아니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사고는 위 유수웅이 자신의 개인소유인 오토바이를 이용하여 공무상 소집된 회의에 참석차 소속부대로 가는 도중에 발생한 것으로 그의 위 오토바이 운전행위를 직무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없고, 또 위 유수웅의 평소 위 오토바이에 대한 사용, 관리상황과 소속부대의 관여도 등 이 사건 변론에 나타난 모든 사정에 비추어 이를 외형상 객관적으로 그 직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행위라고도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아도 원심의 위 판단은 정당하고, 소론이 지적하는 당원 1988.3.22.선고 87다카1163 판결; 1972.10.31. 선고 72다1617판결이 이 사건과 사안이 같은 것이라고는 보여지지 아니하므로 원심의 판단이 위 판례의 법리에 저촉된다고도 볼 수 없다. 결국, 원심판결에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본문 소정의 직무집행행위의 법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는 논지도 이유없다. 2. 이와 같이 위 법조 소정의 직무집행행위가 인정되지 아니하는 이 사건에 있어서 동법 제2조 제1항 단서 소정의 "다른 법령에 의하여 보상을 지급받을 수 있을 때"에 해당하는가에 관하여는 나아가 심리할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원심이 이에 관하여 심리하지 아니하였다 하더라도 지적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의 위법이 없으므로 이 점에 관한 논지도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배석 김상원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군인의 훈련준비 중 사고, 국가 책임 있을까?

군인이 개인 오토바이로 훈련 사전 정찰을 하다 교통사고를 낸 경우, 이는 직무수행과 관련된 행위로 국가배상 책임이 인정될 수 있다. 하지만 군인이 공상을 입고 보상을 받았다면 국가에 직접 배상을 청구할 수 없고, 사고 상대방도 국가에 구상권을 행사할 수 없다.

#군인#사전정찰#교통사고#국가배상

상담사례

군인 때문에 교통사고가 났어요! 국가 배상 받을 수 있을까요?

군인의 공무수행 중 과실로 교통사고가 나도, 국가는 배상책임이 없고, 민간인은 국가에 구상권을 행사할 수 없다. 다친 군인은 국가배상이 아닌 다른 보상제도를 통해 보호받는다.

#군인 교통사고#국가배상#구상권#공무수행

민사판례

공무원이 운전한 공용차 사고, 누가 책임질까? - 자동차보험과 배상책임에 대한 이야기

공무원이 업무를 위해 공용차를 운행하다 사고가 났을 때, 그 공무원 개인이 자동차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보험회사가 보상을 거부할 수 있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공용차#공무원#자동차보험#보상책임

민사판례

군 운전병 무단운행 사고, 국가 배상 책임 없다!

군 운전병이 상관 심부름 후 사적으로 차를 이용하다 사고를 냈는데, 동승자가 무단 운행임을 알고 있었다면 국가는 배상책임이 없다.

#군 운전병#무단운행#사고#국가 배상책임 없음

상담사례

공무 중 내 차로 사고? 배상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요?

공무원이 자신의 차량으로 공무 중 사고를 내면 국가배상법에 따른 국가 책임과는 별도로,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에 따라 운전자 개인에게도 배상 책임이 있다.

#공무중 사고#배상책임#공무원 개인#국가배상법

민사판례

군인 공상 사고, 누가 책임져야 할까? - 민간인과 군인의 공동 불법행위

군인이 직무 수행 중 민간인과 관련된 사고로 다쳤을 때, 민간인은 국가에 구상권을 행사할 수 없으며, 손해배상 책임도 자신의 과실 비율만큼만 부담한다.

#군인#공상#민간인#배상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