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90다카24359

선고일자:

199010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귀속재산인 토지를 매수하여 점유하여 온 경우 1965.1.1.부터 1977.5.1.의 전까지 사이에 시효취득이 가능한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원래 귀속재산의 점유자는 그 권원의 성질상 타주점유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나, 1963.5.29. 법률 제1346호로 공포시행된 귀속재산처리에관한특별조치법 제2조 제1호, 동 부칙 제5조에 의하여 1964.12.말일까지 매매계약이 체결되지 아니한 귀속재산은 1965.1.1.부터 국유재산법의 적용을 받는 국유재산이 됨으로써 그 토지를 그 이전부터 매수 점유하여 온 경우에는 그 점유가 1965.1.1.부터는 자주점유로 전환되었다고 할 것이고, 국유재산이 시효취득이 되지 아니한다고 규정한 국유재산법 제5조 제2항은 1976.12.31. 법률 제2950호로 제정·공포되어 실시된 1977.5.1. 이후에만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당원1990.1.12. 선고 88다카24622 판결참조)

참조조문

민법 제245조, 귀속재산처리에관한특별조치법(1963.5.29. 법률 제346호, 실효) 제2조 제1호, 귀속재산처리에관한특별조치법 부칙 제5조, 구 국유재산법(1976.12.31. 법률 제2950호) 제5조 제2항, 구 국유재산법 부칙 제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0.1.12 선고 88다카24622 판결(공1990,451)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정혁진 외 3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윤행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6.20. 선고 89나4534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 소송수행자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래 귀속재산의 점유자는, 그 재산이 국유 또는 공유재산 등으로 지정되거나 국민 또는 법인에게 매각될 때까지 정부의 지시하에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서 보관하여야 할 법상의무를 지게되어 그 권원의 성질상 타주점유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나, 1963.5.29. 법률 제1346호로 공포시행된 귀속재산처리에관한특별조치법 제2조 제1호, 동 부칙 제5조에 의하여 1964.12.말일까지 매매계약이 체결되지 아니한 귀속재산은 1965.1.1.부터 국유재산법의 적용을 받는 국유재산이 됨으로써 위와 같은 보관의무가 해제되어 그 토지를 매수·점유하여 온 경우에는 1965.1.1.부터는 그 토지에 대한 점유는 자주점유로 전환되었다고 할 것이고, 국유재산이 시효취득이 되지 아니한다고 규정한 국유재산법 제5조 제2항은 1976.12.31. 법률 제2950호로 제정·공포되어 실시된 1977.5.1. 이후에만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 당원 1990.1.12. 선고 88다카24622 판결 참조) 원심은, 이 사건 토지는 원래 소외 망 이민희가 1933.부터 점유하여 오던 토지인데, 원고들의 선대인 소외 정시철이 1950.3.경 이를 동인으로부터 매수하여 점유.경작하여 오다가 1957.11.23. 이 토지가 미등기토지인 것으로 알고 그 앞으로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치고1982.10.22. 그가 사망할 때까지 점유.경작하여 온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와 같은 법리에 따라서 이 사건 토지가 피고의 주장대로 귀속재산이라고 하더라도(위 이민희가 무권리자라 하더라도)위 정시철이는 1965.1.1.부터 이 사건 토지를 자주점유하였다 할 것이고, 또 그 점유의 시초에 있어서 과실이 없었음이 인정되므로 그로부터 10년이 되는 1974.12. 말로써 등기부 시효취득하였고, 위 정시철이 위와 같이 이 사건 부동산을 시효취득한 이상 정시철의 위 소유권보존등기가 이미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료된 후에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위 정시철의 등기가 실체적 권리관계에 부합하는 유효한 등기라고 판시하였는바,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의 인정과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이재성 윤영철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20년 넘게 산 땅, 내 땅 맞죠? - 귀속재산과 취득시효

해방 후 국가 소유가 된 귀속재산을 매수해서 점유하고 있던 사람이라도, 정부의 귀속재산 처리 절차가 완료되면 그때부터는 자기 땅처럼 점유한 것으로 인정되어 취득시효(일정 기간 점유하면 소유권을 취득하는 제도)를 주장할 수 있다.

#귀속재산#취득시효#자주점유#1965년 1월 1일

민사판례

옛날 땅, 내 땅 될 수 있을까? - 귀속재산 점유와 소유권에 대한 이야기

과거 귀속재산이었던 땅을 매수하여 오랫동안 경작해 온 사람의 점유가 '자주점유'(내 땅이라고 생각하며 점유)인지, 아니면 '타주점유'(남의 땅이라고 생각하며 점유)인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법원은 해당 점유를 자주점유로 판단했습니다.

#귀속재산#자주점유#타주점유#점유취득시효

민사판례

20년 넘게 살았던 땅, 내 땅이 될 수 있을까? - 귀속재산과 시효취득 이야기

과거 귀속재산이었던 토지에 대해, 귀속재산 지정 이전부터 점유해 왔던 사람이라면, 귀속재산이 국유재산으로 바뀐 시점부터 다시 자주점유(내 땅이라고 생각하고 점유)한 것으로 인정되어 시효취득을 주장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단순히 도로로 도시계획 결정 및 지적승인만 됐을 뿐 실제 도로로 사용되지 않은 토지는 시효취득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건물 소유자는 실제 거주하지 않더라도 건물 부지를 점유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귀속재산#자주점유#시효취득#국유재산

민사판례

20년간 점유한 땅, 내 땅이 될 수 있을까? - 귀속재산 점유와 시효취득

일제시대 때 일본 기업 소유였던 땅이 해방 후 국가 소유가 되었는데, 개인이 오랫동안 점유해왔다면 언제부터 자기 땅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20년 이상 점유하면 자기 땅이 된다는 '취득시효'를 주장하려면, 국가 소유가 확정된 1965년 1월 1일부터 20년을 채워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귀속재산#취득시효#자주점유#타주점유

민사판례

나라 땅인 줄 알면서 샀다면? 20년 써도 내 땅 안될 수 있어요!

국가 소유의 귀속재산인 줄 알면서 매입한 경우, 20년간 점유했다 하더라도 시효취득을 인정할 수 없다.

#귀속재산#시효취득#20년 점유#자주점유

민사판례

20년 넘게 살았던 집, 내 땅이 될 수 있을까? - 귀속재산 점유와 시효취득

원래 국가 소유였던 땅(귀속재산)을 개인에게 판 후, 그 땅을 오랫동안 점유해온 사람은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을까요? 이 판례는 그 점유가 '소유할 의사'를 가지고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므로 시효취득을 주장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법원은 분쟁 당사자들의 주장에 얽매이지 않고 스스로 증거를 조사하여 진실을 밝혀 판결할 수 있다고 확인했습니다.

#귀속재산#매각#점유#자주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