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보존등기말소

사건번호:

90다카26133

선고일자:

1990122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소취하 의제에 관한 개정 전 민사소송법 제241조 규정의 헌법 제27조 제1항, 제37조 제2항 위반 여부(소극)

판결요지

소취하 의제에 관한 구 민사소송법 제241조(1990.1.13. 법률 제420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의 규정이 헌법 제27조 제1항, 제37조 제2항에 위반된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민사소송법(1990.1.13. 법률 제420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제241조, 헌법 제27조 제1항, 제37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손세항 【피고, 피상고인】 손현구 외 7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동정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0.7.11. 선고 89나3483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소취하 의제에 관한 민사소송법 제241조(1990.1.13. 법률 제4201호로 개정되기 전)의 규정이 헌법 제 27조 제1항, 제37조 제2항에 위반된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 이재성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송촉진 특례법, 헌법 위반 아니다!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의 일부 조항이 재산권 및 재판받을 권리를 침해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으나, 법원은 위헌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위헌법률심판#재산권#재판받을 권리

민사판례

소송 취하, 실수로 했어도 돌이킬 수 없을까?

소송을 취하하는 행위는 실수로 했더라도 번복할 수 없다. 마음속 생각과 달리 겉으로 드러난 의사표시가 소송에선 중요하다.

#소송취하#실수#번복불가#표시주의

민사판례

대법원 상고 불가능 조항, 위헌 아니다!

특정한 민사소송 결정에 대해서는 바로 대법원에 상고할 수 없도록 제한한 민사소송법 조항은 위헌이 아니다. 헌법 위반 등의 특별한 사유가 있으면 대법원에 불복할 수 있는 다른 절차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민사소송#상고제한#합헌#즉시항고

형사판례

상소 중 구금기간 산입, 헌법 위반 아니다!

재판이 길어져서 상소(항소, 상고) 후 판결 전까지 구금된 기간을 형기에 산입하는 법 조항(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4조)은 합헌이다.

#상소후판결전구금일수산입#합헌#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4조#재판지연방지

민사판례

소송촉진 특례법과 평등권, 위헌 여부는?

옛날 소송촉진 특례법의 한 조항이 평등권을 침해하는지에 대한 판결로, 대법원은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소송촉진특례법#평등권#위헌#기각

일반행정판례

재심 소송이 각하될 게 뻔한데, 위헌법률심판 제청이 가능할까요?

재심 소송이 절차적인 문제(여기서는 관할위반)로 기각될 것이 확실하다면, 그 소송과 관련된 법률의 위헌 여부를 따질 필요도 없다는 판결입니다.

#재심#각하#위헌법률심판#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