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해행위취소

사건번호:

90다카27198

선고일자:

199011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채무자가 채무액 전액을 변제할 수 없는데도 그 소유의 부동산을 일부 채권자에게 대물변제로 양도한 경우 사해행위의 성부(적극)

판결요지

채무자들이 11억5천만원 상당의 채무를 부도내고 잠적하면서 그들 소유의 부동산들을 채무자들의 가까운 친척들에게 매매를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넘겨준 경우 채무자들에게 다른 재산이 다소간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위 채무액 전액을 변제하고 남을 정도가 된다는 증명이 없는 한 사해행위가 성립하고 위 수익자들이 채무자에게 채권이 있더라도 채무가 초과된 채무자가 특정 부동산을 일부 채권자에게 대물변제로 넘겨주는 것도 사해행위가 될 수 있다.

참조조문

민법 제40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9.23. 선고 86다카83 판결(공1986,2945), 1989.9.12. 선고 88다카23186 판결(공1989,1462)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일신상호신용금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응열 【피고, 상고인】 박귀례 외 1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최기만 【원 판 결】 광주고등법원 1990.7.25. 선고 89나4696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등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채무자 박성관, 동 최말례 등에 대하여 8억여원의 채권이 있었으며 위 채무자들이 1987.3.9.에 위 채무를 포함한 11억5천만원 상당의 채무를 부도내고 잠적하면서 이 사건 소송목적물이 된 부동산들을 박성관의 4촌누이이고, 최말례의 조카가 되는 피고 등에게 각 매매를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넘겨준 사실을 인정하고 그 행위가 사해행위에 해당한다 하여 그 취소와 원상회복의 의미에서 등기의 말소를 명하였는 바 그 이유설시를 기록과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사실인정과 법률적 판단을 수긍할 수 있다. 채무자들에게 논지가 지적하는 것과 같은 다른 재산이 다소간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원심인정의 채무액 11억5천만원을 변제하고 남을 정도가 된다는 증명이 없는 한 원심인정의 사해행위 성립에 영향을 줄 수 없을 것이고 피고들이 채무자들에게 채권이 있다는 주장도 원심이 증거판단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판시한 것일 뿐 아니라 피고들에게 채권이 있더라도 채무가 초과된 채무자가 특정 부동산을 일부 채권자에게 대물변제로 넘겨주는 것도 사해행위가 될 수 있는 것이며 이 사건 거래에서 사해의사가 없었다는 주장은 원심의 사실인정을 근거ㄴ없이 비난하는 취지에 불과하여 받아들일 수 없다. 피고들의 상고논지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에게 부담시키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박우동 이재성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빚 갚을 능력 없는 사람이 특정 채권자에게만 재산을 넘겼다면? 사해행위일까?

빚이 재산보다 많은 채무자가 특정 채권자에게만 빚 대신 재산을 주거나 담보로 제공하는 행위는 다른 채권자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채권자는 해당 행위를 취소하고 재산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재산을 받은 사람이 이미 그 재산을 처분했더라도, 특히 주식처럼 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경우에는, 현금으로 가치를 배상해야 합니다.

#채권자취소권#사해행위#원상회복#증명책임

민사판례

빚 갚을 돈 없는데, 특정 채권자에게만 갚아도 되나요? (사해행위)

빚이 재산보다 많은 채무자가 특정 채권자에게만 빚을 갚거나 담보를 제공하는 경우, 설령 그 재산이 채무자의 전부가 아니거나 빚 전액을 갚기에 부족하더라도 다른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로 볼 수 있다.

#사해행위#채권자취소권#채무초과#대물변제

민사판례

빚 갚을 재산 없애고 배우자에게 증여? 이것도 사해행위일까?

빚이 많은 사람이 유일한 재산인 아파트를 배우자에게 증여했는데, 이것이 채권자를 해하는 사해행위인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사해행위가 되려면 채무자가 재산을 처분하면서 채권자에게 손해가 갈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증여 당시 예상되는 빚이 아파트 가치에 비해 매우 적었던 점 등을 고려하여 사해행위로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사해행위#배우자 증여#채권자취소권#아파트

민사판례

빚 갚을 재산 없는데 가족에게 몽땅 넘겨버렸다면? 사해행위일까?

빚이 재산보다 많은 채무자가 자기 유일한 재산을 공짜로 주거나 일부 채권자에게만 갚는 방식으로 넘긴다면, 다른 채권자들을 해할 의도가 있다고 보아 채권자취소권으로 그 거래를 취소할 수 있다. 재산을 넘길 당시 특정 채권자를 해할 의도가 있었는지 몰랐어도 상관없다.

#채권자취소권#재산은닉#채무초과#사해의도

민사판례

빚 갚을 능력 없는 사람이 재산 빼돌리려고 소송하는 경우, 사해행위일까요?

빚쟁이가 재산을 빼돌리기 위해 지인과 짜고 소송에서 일부러 져서 재산을 넘겨준 경우, 이는 사해행위로 인정되어 취소될 수 있다. 소송 결과로 이루어진 등기도 사해행위 취소 대상이 된다.

#사해행위#짜고치는 소송#재산 빼돌리기#소송

민사판례

빚 탕감하려고 재산 몰래 넘겼다면? 사해행위로 돌려받을 수 있어요!

빚쟁이가 빚을 갚지 않으려고 자기 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공짜로 넘겼다면, 그 행위는 무효이고 빼돌린 재산을 돌려받을 수 있다. 심지어 그 다른 사람이 빼돌린 재산으로 돈을 받아서 빚쟁이에게 줬다고 해도, 돌려받아야 할 재산의 가치에서 그 금액을 빼주지 않는다.

#사해행위#재산회수#채무자#파산관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