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특수강도,강도상해,특수절도

사건번호:

90도1365

선고일자:

199009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습강도죄와 강도상해죄가 상상적 경합범 관계에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형법 제333조, 제334조, 제337조, 제341조,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4 제3항, 제5조의5의 각 규정을 살펴보면 강도죄와 강도상해죄는 따로 규정되어 있고 상습강도죄( 형법 제341조)에 강도상해죄가 포괄흡수될 수는 없는 것이므로 위 2죄는 상상적 경합범 관계가 아니다.

참조조문

형법 제40조 , 제333조 , 제334조 , 제337조 , 제341조,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4 제3항 , 제5조의5

참조판례

대법원 1982.10.12. 선고 82도1764 판결(공1982,1120)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피고인 1, 2에 대하여), 피고인(피고인 3) 【변 호 인】 변호사 주문기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1990.5.23. 선고 90노233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인 1, 2에 대한 부분을 파기한다. 위 파기 부분사건을 대구고등법원에 환송한다. 피고인 3의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후 이 판결선고전 구금일수 중 40일을 피고인 3의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1. 검사 상고에 대한 판단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 1, 2에 대한 공소사실을 모두 유죄로 인정하고 형벌법규를 적용함에 있어서 판시 제1, 제2의 특수강도와 제5의 가, 나의 특수강도 및 특수강도미수의 점은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4 제3항, 형법 제334조 2항, 제333조에 해당하고 제5의 가, 나의 각 행위 중 각 강도상해의 점은 형법 제337조, 제30조에 해당한다고 보고 제5의 가, 나,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죄와 강도상해죄는 각 1개의 행위가 수개의 죄에 해당하는 상상적경합범이라고 하여 형법제40조, 제50조에 의하여 형이 무거운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죄에정한 형으로 처단한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형법 제333조, 제334조, 제337조, 제341조,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4 제3항, 제5조의5의 각 규정을 살펴보면 강도죄와 강도상해죄는 따로 규정되어 있고 상습강도죄(형법 제341조)에 강도상해죄가 포괄 흡수될 수는 없는 것이다 ( 당원 1982.10.12. 선고82도1764호 판결 참조). 그러므로 원심이 상습강도죄와 강도상해죄가 1개의 행위로 수개의 죄에 해당하는 경우라고 한 것은 죄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한 검사의 상고논지는 이유있다. 2. 피고인 3의 상고에 대한 판단 이 사건에서는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는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는 것이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인 1, 2에 대한 부분을 파기하여 그 부분 사건을 대구고등법원에 환송하고, 피고인 3의 상고는 이유없다 하여 기각하고 상고후 이 판결선고전 구금일수중 일부를 본형에 산입(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4조 적용)하기로 관여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박우동 이재성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상습강도와 강도예비, 하나의 죄?

상습적으로 강도를 저지르는 사람이 추가 강도를 위해 준비하다가 실행에 옮기지 못한 경우에도, 그 준비행위가 상습적인 강도 성향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별도의 강도예비죄가 아닌 상습강도죄에 포함된다.

#상습강도#강도예비#상습강도죄#흡수

형사판례

강도가 도주 중 피해자를 다치게 하면 어떤 죄일까요?

강도가 훔친 물건을 가지고 피해자와 함께 도주하다가 1시간 20분 후에 피해자를 다치게 한 경우에도 강도상해죄가 성립한다.

#강도상해죄#시간 간격#도주#상해

형사판례

여러 번 강도질을 했는데, 왜 처벌을 따로따로 받아야 하나요? - 포괄일죄에 대한 오해

여러 강도 범죄를 저질렀더라도 강도상해, 강도강간죄는 강도, 특수강도죄와는 달리 상습범 가중처벌 규정이 없기 때문에 각각 별개의 죄로 처벌받는다.

#특수강도죄#강도강간죄#강도상해죄#별개의 죄

형사판례

절도하다 들켰는데, 이게 강도상해가 된다고?

절도를 시도하다가 미수에 그쳤더라도, 그 과정에서 폭력을 행사하여 상해를 입히면 강도상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절도미수#폭행#상해#강도상해죄

형사판례

상습적인 강도의 예비행위, 별도의 죄일까요?

상습적으로 강도를 저지르는 사람이 추가 강도를 위해 준비하다가 실행에 옮기지 못한 경우에도, 그 준비 행위가 상습적인 강도 성향의 일부로 볼 수 있다면, 별도의 범죄(강도예비죄)로 처벌하지 않고 상습강도죄 하나로 처벌한다.

#상습강도#강도예비#상습강도죄#처벌

형사판례

절도와 강도, 상습범 판단은 따로따로?

상습적으로 절도를 저지른 사람이 강도를 저질렀다고 해서 상습강도로 처벌할 수는 없다. 절도와 강도는 비슷해 보이지만, 법적으로는 '상습범'을 판단할 때 같은 유형의 범죄로 보지 않는다.

#절도#강도#상습범#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