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사정

사건번호:

90후748

선고일자:

199011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컴퓨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수선보수업을 지정서어비스업으로 하는 출원서어비스표 "digital"의 등록 가부(소극)

판결요지

[#text: 본원서어비스표인 “ ][Img: null][#text: ”은 “손가락 모양의, 디지틀형의, 계수형의”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지정서어비스업(제105류 컴퓨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수선보수업)과 관련하여 볼 때 “디지틀형(계수형)의 컴퓨터업, 계수형의 컴퓨터업”으로 인식되어 지정서어비스업의 성질(형상)을 직접적으로 표시한 것이라고 할 것이므로 ]구 상표법 제8조 제1항 제3호[#text: 의 규정에 해당되어 등록을 받을 수 없다. ]

참조조문

참조판례

판례내용

【출원인, 상고인】 디지탈 이큅먼트 코오포레이션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중앙국제법률특허사무소 담당변호사 이병호【상대방, 피상고인】 특허청장【원 심 결】 특허청 1990.3.31. 자 89항원313호 심결【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출원인의 부담으로 한다.【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심판시의 본원서어비스표인 “ ”은 “손가락 모양의, 디지틀형의, 계수형의”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고 지정서어비스업과 관련하여 볼 때 “디지틀형(계수형)의 컴퓨터업, 계수형의 컴퓨터업”으로 인식되어 지정서어비스업(제105류 컴퓨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수선보수업)의 성질(형상)을 직접적으로 표시한 것이라고 할 것이므로 상표법 제8조 제1항 제3호의 규정에 해당되며, 또한 본원 서어비스표의 “digital”은 “degital computer”, “digital radio” 등의 약어로 전자계통에 흔히 사용되는 용어로서 자타 서어비스업의 식별력이 없으므로 상표법 제8조 제1항 제7호의 규정에도 해당되어 등록을 받을 수 없다고 판시하고 있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본원서어비스표가 지정서어비스업의 성질(형상)을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것이어서 고 한 원심의 판단부분은 정당하고, 거기에 논지가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 심리미진 및 이유불비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으나 원심이 “digital”은 “dig-ital computer”, “digital radio” 등의 약어로 전자계통에 흔히 사용되고 있다고 판시한 부분에 관하여는 기록상 이를 인정할 아무런 자료가 없으므로 원심이 이를 전제로 본원서어비스표가 자타 서어비스업의 식별력이 없어 위 법 제8조 제1항 제7호의 규정에 해당된다고 판단한 것은 소론의 지적과 같이 잘못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본 바와 같이 본원서어비스표가 상표법 제8조 제1항 제3호에 해당되어 등록을 받을 수 없는 이상, 위와 같은 원심의 잘못은 그 결론에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어서 논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대법관 배석 대법관 김상원 대법관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컴퓨터 서비스업 상표 등록 거절 사례

컴퓨터 서비스업을 하는 회사가 "디지털"이라는 단어를 상표로 등록하려 했지만, 법원은 해당 단어가 컴퓨터 서비스업의 성질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일반적인 단어이기 때문에 상표 등록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디지털#상표#컴퓨터 서비스업#등록거절

특허판례

PC DIRECT, 상표로 등록될 수 있을까? - 기술적 표장 이야기

컴퓨터 관련 서비스업에 사용될 "PC DIRECT"는 서비스의 특징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이라 상표로 등록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PC DIRECT#서비스표#등록거절#기술적 표장

특허판례

"DIGITAL MEDIA" 상표, "digital" 상표와 유사할까? - 상표 유사 판단 이야기

"DIGITAL MEDIA"라는 상표와 "digital"이라는 상표는 비슷해 보이지만, 법원은 두 상표가 유사하지 않다고 판결했습니다. "DIGITAL"이라는 단어가 인쇄물 등의 상품에서 디지털 기술을 사용했음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상표로서의 식별력이 약하다고 본 것입니다.

#상표#DIGITAL MEDIA#digital#유사상표

특허판례

안경나라, 상표 등록 안 돼요! 왜 그럴까요?

"안경나라"는 안경 판매 관련 서비스업에서 누구나 흔히 쓰는 표현이므로 상표로 등록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안경나라#서비스표#등록거절#식별력

특허판례

상표 등록, 아무 그림이나 붙인다고 되는 게 아니에요!

단순한 C와 R 조합 그림과 "INDUSTRIES"라는 단어를 결합한 상표는 상품 출처를 구분하기 어려워 상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상표#식별력#등록거절#CR 조합

특허판례

전자식 탁상계산기 상표 "DIGITAL DIARY", 등록 가능할까?

"DIGITAL DIARY"라는 상표를 전자식 탁상계산기에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해당 상표가 계산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상표 등록을 허용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상표#DIGITAL DIARY#전자식 탁상계산기#등록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