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공자등록거부처분취소

사건번호:

91누12868

선고일자:

199205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1988.12.31. 대통령령 제12589호로 개정된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시행령 제3조의2 별표 1의 2-13의 규정이 그 개정 이전에 상이(공무상 질병)를 입은 자에 대하여 적용될 것인지 여부(소극) 나. 같은법시행령 소정의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의학적으로 판단된”이라는 문언의 의미

판결요지

가. 1988.12.31. 대통령령 제12589호로 개정된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시행령 제3조의2 별표 1의 2-13의 규정은 그 개정 이전에 상이(공무상 질병)를 입은 자에 대하여 적용될 것이 아니다. 나. 같은법시행령 소정의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의학적으로 판단된”이라는 문언도 질병과 공무수행 사이에 자연과학적인 인과관계가 인정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상당인과관계의 존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의학적인 지식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이를 참작하여야 하고, 의학적인 지식과 배치되는 판단을 하여서는 안된다는 취지로 해석함이 상당한 것이다.

참조조문

가.나.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시행령 제3조의2 별표 1의 2-13 / 가.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 제4조 제1항 제6호, 부칙(1988.12.31) 제1조, 같은법시행령 부칙(1988.12.31.) 제1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90.10.30. 선고 90누5474 판결(공1990,2449)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수원보훈지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11.1. 선고 90구1253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 소송수행자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은 원고의 신장질환의 발병과 그 악화과정은 원고의 직무수행의 내용 등에 비추어 직무수행으로 인한 과로와 무리 등이 겹쳐서 발병되거나 악화된 것으로서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 제4조 제6호 소정의 직무수행 중 입은 질병에 해당한다고 인정하고 (원고는 1985.1.1.부터 시행된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 부칙 제2조에 의하여 폐지된 군사원호보상법 제5조제2항제1항에 해당하는 상이군경으로서 위 예우등에관한법률 부칙 제3조에 의하여 같은 법률 제4조 제6호 소정의 공상군경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원고로부터 위 법률 제6조 제1항 및 그 시행령(1988.12.31. 대통령령 제1258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제1항에 의거한 국가유공자등록신청을 받은 피고로서는 위 법률 제6조 제2항 및 위 시행령 제13조 제2항의 각 규정에 의하여 원고의 상이정도에 관한 신체검사를 실시한 후 그 판정에 따라 등록여부를 결정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나아가지 아니한 채 원고의 위 등록신청을 거부하여 버린 피고의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고 판시하였다.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은 정당하고 그 과정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피고는 1988.12.31. 대통령령 제12589호로 개정된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시행령 제3조의 2 별표 1의 2-13의 규정을 들어 질병과 공무수행 사이에 의학적 인과관계가 인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나, 피고가 주장하는 위 시행령의 규정은 그 개정 이전에 상이(공무상 질병)를 입은 원고에 대하여 적용될 것이 아니며(당원 1990.10.30. 선고 90누5474 판결 참조), 위 시행령 소정의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의학적으로 판단된” 이라는 문언도 질병과 공무수행 사이에 자연과학적인 인과관계가 인정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상당인과관계의 존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의학적인 지식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이를 참작하여야 하고, 의학적인 지식과 배치되는 판단을 하여서는 안된다는 취지로 해석함이 상당한 것이다. 논지는 이유 없다. 이상의 이유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 김상원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과로로 악화된 만성신부전증, 공무상 질병으로 인정될까?

이미 만성신부전증을 앓고 있던 군무원이 과로로 인해 병세가 악화된 경우, 이를 공무상 질병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 원심은 과로와 질병 악화 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하지 않았으나, 대법원은 과로가 기존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돌려보냈다.

#공무상 질병#만성신부전증 악화#과로#인과관계

일반행정판례

공무상 질병 인정 기준, 핵심은 '상당인과관계'!

공무원이 공무로 인해 질병이 발생하거나 악화되었다면, 비록 그 질병의 주된 원인이 공무와 직접 관련 없더라도, 공무상 질병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업무상 과로나 스트레스가 기존 질병을 악화시킨 경우에도 상당인과관계를 인정하여 공무상 질병으로 볼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공무상 질병#과로#스트레스#질병 악화

일반행정판례

군 복무 중 악화된 질병, 국가유공자 인정받을 수 있을까?

해병대에서 복무 중 다발성 근염 진단을 받은 원고가 국가유공자 등록을 신청했으나 거부당하자 소송을 제기, 대법원은 군 복무와 질병 악화 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하여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

#군복무#다발성 근염#국가유공자#공상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유족보상금, 어떤 질병이 '공무상 질병'일까요?

공무원이 공무로 인한 과로로 기존 질병이 악화되어 사망한 경우, 공무와 사망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더라도 공무상 재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공무상재해#과로#기존질병악화#유족보상금

일반행정판례

군복무 중 만성췌장염, 국가유공자 인정받을 수 있을까?

육군 부사관이 군복무 중 만성췌장염을 앓게 되었는데, 이 질병이 공무상 질병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법원은 질병과 공무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입증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군복무#만성췌장염#공무상 질병#인과관계

일반행정판례

군 복무 중 발병한 희귀 질환, 국가유공자 인정받을 수 있을까?

샤르코 마리 투스 타입 2라는 희귀 유전 질환을 가진 군인이 군 복무 중 부상으로 질환이 악화된 경우, 군 복무와 질병 악화 사이에 인과관계를 인정하여 국가유공자로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

#샤르코 마리 투스#군인#국가유공자#인과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