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1누223

선고일자:

199105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구 소득세법(1982.12.21. 법률 제35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시행 당시 계약금만 받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넘겨주면서 중도금 없이 잔대금을 지급받기로 한 토지매매계약에 있어 그 양도시기가 그 후 잔대금 지급의 지체로 당초 그 담보조로 경료한 가등기의 본등기 경료 후 위 토지상에 신축된 주택의 입주자로부터 손해배상을 받고 다시 이전등기를 경료하여 준 바 있어도 위 계약상의 잔대금을 영수할 날이라고 본 사례 나. 위 “가”항의 경우의 토지의 양도로 인한 양도소득세 등의 부과징수권의 소멸시효

판결요지

가. 구 소득세법(1982.12.21. 법률 제35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시행 당시 주택건설회사와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함에 있어 계약금만 받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넘겨주면서 중도금 없이 잔대금을 지급받기로 하되 그 담보조로 가등기를 경료한 경우 그 후 잔대금 지급이 지체되자 본등기를 경료하였다가 위 회사가 폐업됨에 이르러 위 토지상에 신축된 주택의 입주자로부터 손해배상을 받고 위 회사 앞으로 다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여 준 바 있어도 위 토지의 양도시기가 위 계약상의 잔대금을 영수할 날이라고 본 사례. 나. 위 “가”항의 경우 위 토지의 양도로 인한 양도소득세 등의 부과징수권은 그 과세표준확정신고 기한의 다음날부터 5년이 경과하면 시효완성으로 인하여 소멸한다.

참조조문

가.나.구 소득세법(1988.12.21 법률 제35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7조 제1항 / 나. 국세기본법(1984.8.7 법률 제34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7조 제1항

참조판례

가.나. 대법원 1991.5.10. 선고 91누230 판결(동지), 나. 1987.5.26. 선고 87누50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진우 외 1인 【피고, 상고인】 이천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11.20. 선고 89구1554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 소송수행자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증거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인정하였다. 즉 원고와 소외 최영규, 임미준는 1982.6.21. 소외 주식회사 우신주택에게 그들 소유의 이 사건 토지를 대금 1억8천8백만원에 매도하면서 계약금 3천만원은 당일 수령하고, 중도금 지급은 없이 잔대금 1억5천8백만원을 1982.8.22. 지급하기로 약정한 사실, 원고 등은 위 토지 위에 소외 회사가 다세대주택 건축을 위한 건축허가를 얻는 데 편의를 보아 주기 위하여 위 계약 다음날 위 토지에 관하여 위 회사명의로 미리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해 주면서 그 잔대금 지급의 담보를 위하여 같은날 원고 등 명의로 소유권이전청구권보전을 위한 가등기를 경료하였는데, 위 회사가 약정잔대금 지급기일에 잔대금을 지급하지 아니하여 원고 등은 1982.10.26. 잔대금지급 확보를 위하여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를 경료해 버리자 위 회사는 같은 해 12.1. 위 잔대금의 이행지체를 사죄하면서 그로 인한 모든 손해를 12.30.까지 배상한다고 하여 원고 등은 같은 해 12.2. 다시 위 토지의 소유명의를 위 회사에 넘겨 주고 그 잔대금이행 확보를 위하여 다시 원고 등 명의로 가등기를 경료하였으나, 위 회사가 약정한 날까지 잔대금을 지급하지 아니하여 원고 등은 1983.2.26. 다시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를 경료한 사실, 그 후 소외 회사는 이 사건 토지 위에 다세대주택을 완공하여 이를 분양하고 난 다음 그 대표자 등이 회사를 폐업하고 도주하자 위 주택의 입주자들이 그 동안 원고 등이 입은 손해를 배상해 주기로 하여 원고 등은 1986.12.16. 소외 회사 앞으로 다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한 사실 등이다. 원심은 나아가 이 사건 토지에 관한 매매계약상의 잔대금을 영수할 날인 1982.8.22. 당시 시행되던 구 소득세법(1982.12.21. 법률 제35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7조 제1항에 의하여 이 사건 토지의 양도시기는 그 매매계약서상 원고가 잔금을 영수할 날인 1982.8.22. 이라 할 것이고, 따라서 위 토지의 양도로 인한 양도소득세 등의 부과징수권은 이 사건 과세표준확정신고 기한의 다음날인 1983.6.1.부터 5년이 경과한 1988.6.1. 시효완성으로 인하여 소멸하였다고 판단하였다. 한편 원심은 원고 등이 1982.10.26. 및 1983.2.26. 두 차례에 걸쳐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소외 회사 앞으로 이전되었던 소유자 명의를 원고 등 명의로 다시 환원시켰던 것은 잔대금 지급의 담보를 위하여 이미 설정하였던 가등기에 기하여 본등기를 경료한 것뿐이고, 원고와 소외 회사 사이의 기존 매매계약을 해제하고 새로운 매매계약을 체결함과 아울러 잔대금 지급일자를 새로 약정한 것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은 수긍되고 그 과정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위배나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구 소득세법 제27조 제1항에 의하면, 계약금 이외의 중도금 등 명목의 금원을 영수할 날이 그 양도시기로 되어 있으므로, 계약해제 등의 사유로 양도가 있었다고 볼 수 없게 된 경우가 아니면 과세관청으로서는 그 부동산의 양도로 인한 소득에 대하여 과세할 수 있는 만큼 그 때에 과세요건이 완성된다고 하는 이치는 변할 수 없는 것이다.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소멸시효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이상의 이유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박우동 배석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토지 매매와 양도소득세, 언제 내야 할까요?

토지 매매 후 등기가 넘어갔더라도, 매매 대금 정산 및 토지 범위 확정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양도소득세 부과 대상이 아니다. 또한, 세금 관련 분쟁에서 세법에 명시된 절차 외에는 유추 적용할 수 없다.

#양도소득세#토지매매#등기#잔금

민사판례

땅 주인 바뀌었는데 등기는 안 해줬다고? 소멸시효 지났어도 등기해줘야 하는 경우!

오래전 토지를 샀는데, 매도인이 등기를 안 해줘서 소유권 이전 등기를 요구할 권리가 시효로 사라진 상황이었지만, 매도인이 나중에 매수인의 친척에게 등기 관련 서류를 주고 해결하라고 한 행동이 시효 완성의 이익을 포기한 것으로 인정되어 결국 매수인 측이 승소한 사례.

#토지#소유권이전등기#시효완성#시효이익포기

민사판례

중도금 냈어야 할 날짜, 잔금 냈어야 할 날짜, 다 지나도 등기서류 안 줬으면? 계약해지 할 수 있어요!

매수인이 중도금을 내지 않았더라도 잔금 날까지 매도인이 등기서류를 제공하지 않으면 매수인은 중도금 미지급에 대한 책임이 없다.

#중도금 미지급#지체책임#동시이행#등기서류 제공

민사판례

땅 샀는데 등기는 안 해줬다고? 10년 넘었으니 소멸시효 완성?

땅을 산 후 실제로 사용하고 있었는데도 법원이 이를 인정하지 않아 판결이 뒤집힌 사례.

#토지 매매#점유 인정#원심 파기 환송#소멸시효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 돈 안 받았으면 등기 안 해줘도 된다고?

부동산 매매에서 매수인이 매매계약을 입증하면 매도인은 등기의무를 지며, 매도인은 대금을 받지 못했다면 '동시이행의 항변'을 해야 합니다. 법원은 매도인이 이런 항변을 할 때에만 대금 지급 여부를 판단합니다.

#부동산 매매#등기의무#동시이행의 항변#대금미지급

세무판례

땅 판 돈 받는 날짜가 중요해요! 양도소득세 계산은 언제 기준으로 할까요?

토지 매매 계약은 법 개정 전에 했지만, 잔금 지급은 법 개정 후에 이루어졌다면, 잔금 지급일 기준의 법을 적용해 양도소득세를 계산해야 한다.

#토지#양도소득세#잔금일#법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