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속어음금

사건번호:

91다25727

선고일자:

199111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제권판결을 이유로 어음금청구를 기각한 항소심판결 후 그 제권판결을 취소하는 판결이 선고되어 확정된 경우와 상고이유

판결요지

제권판결로 말미암아 어음의 효력이 상실되었다는 이유로 약속어음금청구를 기각한 원심판결이 선고된 후에 그 제권판결을 취소하고 어음에 대한 공시최고신청을 기각하는 내용의 판결이 선고되어 확정되었다면 원심판결에는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8호가 규정하고 있는 재심사유인 “판결의 기초로 된 민사나 형사의 판결 기타의 재판 또는 행정처분이 다른 재판이나 행정처분에 의하여 변경된 때”에 해당하는 위법이 있다고 볼 수밖에 없고, 같은 법 제422조 제1항 단서의 규정내용 등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위법은 상고이유가 되는 것이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단서,제46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62.8.2. 선고 62다204 판결(집10③민200),1987.6.9. 선고 85다카2192 판결(공1987,1127)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대구지방법원 1991.6.21. 선고 90나9818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사건을 대구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원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원심은, 피고가 발행한 이 사건 약속어음에 제1배서인으로부터 소외인들을 거쳐 원고와 최후의 소지인인 소외인에게 이르기까지 순차로 각 그 배서가 연속되어 있는 사실, 위 소외인이 만기에 지급을 위한 제시를 하였으나 지급거절되자, 원고가 위 소외인에게 위 어음금 상당액을 지급하고 위 어음을 환수하여 소지하고 있는 사실 등을 인정하면서도, 1990.10.29. 대구지방법원 90카10592호 공시최고절차에서 위 어음의 무효를 선언하는 제권판결이 선고되고 그 판결이 그 무렵 확정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위 어음의 효력이 위 제권판결로 말미암아 상실되었다는 이유로, 원고의 이 사건 약속어음금청구를 기각하였다. 그러나 원고가 제출한 판결등본과 판결확정증명서에 의하면, 원고가 대구지방법원에 위 제권판결에 대한 불복의 소송을 제기(91가단16669)한 결과, 원심판결이 선고된 후인 1991.8.13. 위 법원이 위 제권판결을 취소하고 위 어음에 대한 공시최고신청을 기각하는 내용의 판결을 선고하고, 그 판결이 10.8. 확정되었음을 인정할 수 있는바, 그렇다면 원심판결에는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8호가 규정하고 있는 재심사유인 “판결의 기초로 된민사나 형사의 판결 기타의 재판 도는 행정처분이 다른 재판이나 행정처분에 의하여 변경된 때”에 해당하는 위법이 있다고 볼 수 밖에 없고, 같은 법 제422조 제1항 단서의 규정내용 등에 비추어 볼 때 위와 같은 위법은 상고이유가 되는 것이라고 해석되므로(당원 1962.8.2. 선고 62다204 판결; 1987.6.9. 선고 85다카2192 판결 등 참조), 이 점을 지적하는 취지의 논지는 이유가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최재호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약속어음 분실 시 제권판결의 효력과 권리행사 방법

약속어음을 분실했을 때 법원에 '제권판결'을 신청해서 어음을 무효화할 수 있습니다. 이 판결은 누가 신청했는지와 관계없이 어음을 무효로 만듭니다. 즉, 어음 발행인 자신이 신청해도 어음은 효력을 잃습니다.

#약속어음#제권판결#무효#발행인

상담사례

분실된 어음, 제권판결 뒤집혔다면? 은행에 다시 받을 수 있을까?

분실된 어음에 대한 제권판결이 뒤집힌 경우, 은행이 어음교환소 규약(제권판결 후 1개월 이후 지급)을 어기고 조기 지급했다면 은행의 과실로 인정되어 원래 어음 소지자는 은행에 어음 금액을 청구할 수 있다.

#어음분실#제권판결#은행책임#과실

민사판례

잃어버린 어음, 찾았다고 돈 달라고 할 수 있을까?

분실된 어음에 대해 법원이 제권판결을 내린 경우, 그 어음을 나중에 얻은 사람은 어음에 적힌 금액을 청구할 수 없다.

#분실어음#제권판결#어음금청구불가#공시최고

민사판례

잃어버린 어음, 찾았다고 끝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약속어음을 잃어버린 사람이 법원에서 제권판결을 받으면, 그 이후에 누군가 그 어음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어음금을 청구할 수 없다. 선의로 어음을 취득했더라도 마찬가지다.

#약속어음#분실#제권판결#어음금청구불가

상담사례

부도난 어음, 돌려줬는데 돈 안 주면 어떡하죠? 😰

부도난 약속어음을 채무자에게 돌려줬더라도, 채무자가 어음을 가지고 있다면 어음 없이도 돈을 받을 수 있다는 판례가 있어 좌절하지 말고 관련 자료를 챙겨 청구해야 한다.

#약속어음#부도#어음반환#대금청구

상담사례

약속어음 찢겼다고 돈 못 받나요? 😰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해결하세요!

약속어음이 찢어져도 제권판결을 통해 금전 청구 권리를 행사할 수 있으며, 어음 훼손자에게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고, 원래 채무자에게도 물건 대금을 청구할 수 있다.

#약속어음#찢어진 어음#제권판결#형사고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