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경쟁방지법위반

사건번호:

91도1333

선고일자:

199112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다른 회사의 상호나 상표 등의 표지가 국내에서 널리 인식된 것이라는 점에 관하여 판시하지도 아니한 채, 자기의 상품에 다른 회사의 영자표기를 붙여 판매한 행위를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소정의 부정경쟁행위로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자기의 상품에 다른 회사의 영자표기를 붙여 판매한 행위를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소정의 부정경쟁행위로 인정하여 처벌하기 위하여는 위 회사의 상품임을 표시하는 상호나 상표 등의 표지가 국내에 널리 인식된 것이라는 점이 먼저 확정되어야 하는 것인데도, 원심이 이에 관하여 판시하지도 아니한 채 위 법을 적용하여 유죄로 인정한 것은 범죄의 구성요건을 오해하였거나 위 법조 소정의 부정경쟁행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참조조문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제11조 제1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1.4.12. 선고 90노6893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형사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기록에 의하면 원심은 제1심판결을 인용하여, 피고인은 1989.9.28.부터 주식회사 파워 트로닉스에서 근무하다가 퇴사하여 “B”를 설립하여 무정전 전원장치를 생산하는 C, D, E로부터 무정전 전원장치 14대를 납품받으면서 그 본체 하단에 위 회사의 영자표기(F)를 부착하게 한 후 위 회사의 상품임을 표시한 상품을 판매하여 경상남북도와 강원도 내의 단위농협에 판매하여 부정경쟁행위를 하였다고 인정하고, 부정경쟁방지법(이하 법이라고 한다) 제11조 제1호, 제2조 제1호를 적용하여 처단하였다. 2. 그러나 법 제11조 제1호는 제2조의 규정에 의한 부정경쟁행위를 한 자를 처벌하게 되어 있고, 법 제2조 제1호 소정의 부정경쟁행위는 “국내에 널리 인식된 타인의 성명, 상호, 상표, 상품의 용기, 포장 기타 타인의 상품임을 표시한 표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을 사용하거나 이러한 것을 사용한 상품을 판매, 반포 또는 수입, 수출하여 타인의 상품과 혼동을 일으키게 하는 행위”를 말하는 것이므로, 피고인의 위와 같은 행위를 위의 부정경쟁행위로 인정하여 처벌하기 위하여는 위 회사의 상품임을 표시하는 상호나 상표 등의 표지가 국내에 널리 인식된 것이라는 점이 먼저 확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3. 따라서 원심이 위 회사의 상호나 상표 등의 표지가 국내에서 널리 인식된 것인지 판시하지도 아니한 채 위와 같은 법을 적용하여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것은 이 사건 범죄의 구성요건을 오해하였거나 법 제2조 제1호 소정의 부정경쟁행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아니할 수 없고 , 이는 판결에 영향을 미친 것이므로 논지는 이 범위 안에서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이재성 배만운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내 상표인데 왜 못쓰나요? - 상표권과 부정경쟁행위

이 판결은 국내에 등록되지 않은 상표라도, 이미 널리 알려진 상표와 유사해서 소비자들이 혼동할 우려가 있다면 보호받을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했습니다. 기존 판례 중 일부 상반된 판례도 변경했습니다.

#미등록상표#상표권침해#소비자혼동#상표법

형사판례

남의 상표와 비슷한 상호 쓰면 안 돼요! (승낙 받았어도!)

이미 등록된 상표와 유사한 상호를 사용하는 것은, 설령 다른 사람에게서 사용 허락을 받았더라도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등록상표#유사상호#부정경쟁행위#소비자혼란

형사판례

'컴닥터119'는 내꺼야! 유사 상호 사용, 부정경쟁행위로 처벌될 수 있어요!

이미 널리 알려진 상호('컴닥터119')에 단순히 '컴퓨터서비스'라는 일반적인 용어를 추가하여 사용한 경우에도 부정경쟁행위로 인정될 수 있다.

#컴닥터119#컴퓨터서비스#부정경쟁행위#영업표지

형사판례

상표권 악용? 부정경쟁행위로 처벌될 수 있다!

이미 널리 알려진 상표를 의도적으로 먼저 등록하여, 원래 사용자의 영업을 방해하고 이익을 취하려는 행위는 부정경쟁행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상표권 악용#부정경쟁행위#상표 선점#부당이득

형사판례

짝퉁 상품과 부정경쟁, 어디까지 처벌할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의 상품과 유사한 상표를 등록해서 부당한 이익을 얻으려는 행위는 부정경쟁행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상표권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 정당한 것은 아니며, 상표권의 행사가 다른 법률, 특히 부정경쟁방지법에 위배되는 경우에는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상표권 남용#부정경쟁행위#상표 유사#부당이득

민사판례

우리 회사 이름, 함부로 따라하지 마세요! - 상호 도용과 부정경쟁

'한국교직원공제회'라는 이름이 이미 널리 알려진 상황에서 '대한교직원공제회 주식회사'라는 유사한 상호를 사용한 것은 소비자에게 혼란을 야기하는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한다는 판결.

#한국교직원공제회#부정경쟁행위#유사상호#소비자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