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법위반

사건번호:

91도2234

선고일자:

19911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도시계획법 제21조 제2항 소정의 형질변경의 의의 나. 개발제한구역 내의 잡종지를 장기간 임차하여 모래야적장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종래의 토지의 형상이 운동장처럼 변하여 원상회복이 어려운 상태에 있다면 위 “가”항의 형질변경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가. 도시계획법 제21조 제1항에 의하여 개발제한구역을 지정하는 목적은 주로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보전의 필요에 있으므로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허가를 받지 않으면 안되는 형질변경의 범위도 널리 해석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어서 같은 조 제2항의 형질변경이라 함은 토지의 형상을 일시적이 아닌 방법으로 변경하는 행위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나. 개발제한구역 내의 잡종지를 장기간 임차하여 모래 등을 수십 톤 쌓아놓고 중기와 트럭을 이용하여 이를 운반하는 등 모래야적장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종래의 토지의 형상이 운동장처럼 변하여 원상회복이 어려운 상태에 있다면 위 “가”항의 형질변경에 해당한다고 본사례.

참조조문

도시계획법 제21조 제2항, 제3항, 토지의형질변경등행위허가기준등에관한규칙 제2조 제1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강구태 외 1인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1.7.10. 선고 90노620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사건을 서울형사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이 개발제한구역 내에 있는 이 사건 잡종지를 임차하여 모래 등 골재야적장으로 사용하면서 사전에 정지작업을 하였다는 증거가 없고, 잡종지의 유휴상태를 이용하여 모래 등을 쌓아 놓는 것만으로는 도시계획법상 허가를 받아야 할 형질변경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하여 피고인에게 유죄를 선고한 제1심을 파기하고 무죄를 선고하고 있다. 살피건대 도시계획법에 의하여 개발제한구역을 지정하는 목적은 주로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보전의 필요에 있고 이렇게 볼 때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허가를 받지 않으면 안되는 형질변경의 범위도 널리 해석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어서 원심설시의 건설부령이 규정하는 바와 같이 여기서의 형질변경이라 함은 토지의 형상을 일시적이 아닌 방법으로 변경하는 행위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위와 같은 개발제한구역지정의 목적에 유의하여 이 사건을 살피건대, 피고인과 증인의 진술에 의하면 이 사건 토지는 골재야적장으로 조성되기 전에는 비교적 평탄하기는 하였으나 잡초가 우거진 유휴지상태였다는 것이고 수사기록에 편철된 현장사진을 보면 토지의 일부의 모양이 마치 운동장처럼 변하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바, 피고인이 이 사건 토지를 장기간 임차하여 모래 등을 수십 톤 쌓아놓고 중기와 트럭을 이용하여 이를 운반하는 등 모래야적장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종래의 토지의 형상이 운동장처럼 변하여 원상회복이 어려운 상태에 있다면 이는 골재야적장 조성으로 인하여 생기는 필연적 결과로서 토지의 형상이 변경된 형질변경임에 틀림없으며 피고인도 골재야적장 조성 당시 이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원심이 모래야적장으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생기는 토지의 형상의 변경을 간과한 채, 모래를 쌓아놓는 것만으로는 형질변경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한 것은 토지의 형질변경에 대한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판결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을 범한 것이라고 아니할 수 없고 이를 지적하는 검사의 상고논지는 이유있다 할 것이다. 이에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이회창 이재성 배만운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주차장 사용, 토지 형질 변경일까?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잡종지를 음식점 주차장으로 사용한 것만으로는 토지의 형질을 변경한 것으로 볼 수 없다. 토지 형질변경은 땅의 모양을 눈에 띄게 바꾸고, 원래대로 되돌리기 어렵게 만드는 행위를 말한다.

#개발제한구역#주차장#토지형질변경#절토

형사판례

땅을 그냥 쓴다고 다 형질변경은 아니에요!

개발제한구역 내 이미 평탄화된 땅을 주차장이나 야외영업장으로 사용하는 행위 자체는 토지의 형질변경에 해당하지 않아 도시계획법 위반이 아니다.

#개발제한구역#토지 형질변경#주차장#야외영업장

형사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무단 형질변경, 처벌은 어떻게?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허가 없이 땅의 모양을 바꾸는 행위를 했을 때,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이용법)'이 아니라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개발제한구역법)'을 위반한 것이므로, 국토이용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

#개발제한구역#무단 형질변경#국토이용법 위반#개발제한구역법

형사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도로 확장, 형질 변경에 해당할까?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좁은 산길을 포크레인으로 넓힌 경우, 토지의 형질변경에 해당하므로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건설교통부 훈령(내부 지침)에 허가 없이 할 수 있는 행위로 예시되어 있다고 해도, 법률에 따른 허가를 받지 않으면 안 됩니다.

#개발제한구역#도로 확장#형질변경#허가

일반행정판례

산림 훼손 우려되는 임야, 형질 변경 불허가 적법한가?

도시계획구역 내 임야를 택지로 개발하기 위한 형질변경 허가 신청을 불허한 행정처분은 산림 및 경관 훼손, 주변 개발 유발 등 공공목적상 원형 유지 필요성이 인정되어 적법하다.

#임야#형질변경#불허가#적법

일반행정판례

자연녹지에서의 추가 형질변경, 안될 수도 있습니다!

자연녹지지역에서 이미 법으로 정해진 면적(1만㎡) 이상 형질변경된 토지에 대해서는, 법에 명시된 예외 사유 없이는 추가적인 형질변경이 허용되지 않는다.

#자연녹지지역#형질변경#면적제한#허가불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