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조합설립변경인가신청반려처분취소

사건번호:

92누17402

선고일자:

199404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행정소송에서 법원이 직권으로 심리할 수 있는 범위

판결요지

행정소송법 제26조가 규정하는 바는 행정소송의 특수성에서 연유하는 당사자주의, 변론주의에 대한 일부 예외규정일 뿐 법원이 아무런 제한 없이 당사자가 주장하지 아니한 사실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기록상 현출되어 있는 사항에 관하여서만 직권으로 증거조사를 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판단할 수 있을 따름이다.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2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1.11.8. 선고 91누2854 판결(공1992,130), 1992.3.10. 선고 91누6030 판결(공1992,1327), 1992.7.10. 선고 92누3199 판결(공1992,2434)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부산직할시 금정구청장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2.10.16. 선고 92구211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행정소송법 제26조에 "법원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직권으로 증거조사를 할 수 있고, 당사자가 주장하지 아니한 사실에 대하여도 판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기는 하나, 이는 행정소송의 특수성에서 연유하는 당사자주의, 변론주의에 대한 일부 예외규정일 뿐 법원이 아무런 제한 없이 당사자가 주장하지 아니한 사실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일건 기록상 현출되어 있는 사항에 관하여서만 직권으로 증거조사를 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판단할 수 있을 따름이라 할 것이다(당원 1988.4.27. 선고 87누1182 판결; 1991.11.8. 선고 91누2854 판결; 1992.7.10. 선고 92누3199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원심에서 서울 마포구 (주소 1 생략) 소재의 아파트에 관하여 원고 명의로 경료되어 있던 소유권이전등기는 원고의 의사에 기하여 경료된 것이 아니고 원고의 언니인 소외 1이 원고 몰래 경료한 것으로서 무효라는 주장을 하였을 뿐이고, 위 소외 1이 원고에게 위 아파트를 명의신탁하였던 것이라는 주장을 한 바는 없음이 명백하므로 원심이 원고명의의 등기가 명의신탁에 의한 등기인지의 여부에 관하여 직권으로 사실을 조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 위 소외 1이 원고에게 위 아파트를 명의신탁하였다 함은 원고가 상고심에 이르러 비로소 주장하는 새로운 사실이므로 이는 원심판결에 대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도 없다. 원심이 원고명의의 위 소유권이전등기가 무효라고 볼 증거가 없다고 판단한 것은 기록상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심리미진등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배만운 김석수 정귀호(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행정소송에서 법원의 직권조사 범위는 어디까지일까요?

행정소송에서 법원은 당사자가 주장하지 않은 사실이라도 직권으로 조사하고 판단할 수 있지만, 그 범위는 **기록에 나타난 내용에 한정**되며, **법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만 청구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행정소송#직권심리#제한적#기록

일반행정판례

행정소송에서 법원의 직권조사 범위와 사정판결

법원은 행정소송에서 당사자가 주장하지 않은 사실이라도 기록에 나타난 범위 내에서는 직권으로 조사하여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고심에서 처음으로 사정판결을 주장하는 것은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행정소송#직권조사#사정판결#기록

생활법률

행정소송, A to Z: 요건심리부터 증거조사까지!

행정소송은 요건심리(소송 적법성 검토), 본안심리(처분 적법성 판단), 증거조사 등의 과정을 거치며, 원고와 피고의 주장과 증명책임, 법원의 직권조사 등 여러 법적 원칙이 적용된다.

#행정소송#요건심리#본안심리#제소요건

생활법률

억울한 행정처분, 혼자 끙끙 앓지 마세요! 행정심판 심리 절차 A to Z

행정심판은 행정심판위원회가 요건심리와 본안심리를 통해 위법·부당한 행정처분을 판단하는 절차로, 당사자의 주장과 증거조사를 바탕으로 대심주의와 직권심리주의를 병행하여 구술 또는 서면으로 비공개 심리하며, 필요시 심리기일 변경, 사건 병합·분리, 청구 취하 등이 가능하다.

#행정심판#심리절차#행정심판위원회#심리기일

가사판례

이혼 소송에서 법원의 심리 의무 - 배우자의 폭력이 드러난 경우

이혼 소송에서 이미 제출된 자료만으로도 배우자 한쪽의 잘못이 의심되는 경우, 법원은 적극적으로 추가 조사를 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혼소송#법원#심리의무#직권조사

민사판례

법원 관할, 내 마음대로 정할 수 없어요!

재판을 진행할 법원을 잘못 정했을 때, 소송 당사자가 직접 법원에 이송을 신청할 권리는 없고, 법원이 스스로 판단하여 이송해야 한다. 또한, 이송 결정에 대한 항고(이의제기)는 가능하지만, 항고심의 결정에 대해서는 재항고(다시 이의제기)할 수 없다.

#관할위반#이송신청권#즉시항고#재항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