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직처분무효확인

사건번호:

92누6891

선고일자:

199212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행정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가 패소확정되었음에도 다시 그 무효확인을 구하는 소를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행정처분취소청구를 기각하는 판결이 확정되면 그 처분이 적법하다는 점에 관하여 기판력이 생기고 그 소의 원고뿐만 아니라 관계 행정기관도 이에 기속된다 할 것이므로 면직처분이 위법하지 아니하다는 점이 판결에서 확정된 이상 원고가 다시 이를 무효라 하여 그 무효확인을 소구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3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60.9.26. 선고 4291행상60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전북농지개량조합장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2.4.10. 선고 91구266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광주고등법원 89구274호로 이 소에서의 주장과 동일한 주장을 하면서 이 사건 의원면직처분에 대한 취소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1989.10.17. 패소판결을 받고 상고를 제기하였으나 1990.7.24.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는 판결(당원 89누7030)이 선고됨으로써 위 판결이 확정된 사실을 인정하고서 행정처분취소청구를 기각하는 판결이 확정되면 그 처분이 적법하다는 점에 관하여 기판력이 생기고 이는 그 소의 원고뿐만 아니라 관계 행정기관도 이에 기속된다 할 것인즉( 대법원 1960.9.26. 선고 4291행상60 판결 참조), 위 면직처분이 위 판결에서 위법하지 아니하다는 점이 확정된 이상 원고가 다시 이를 무효라 하여 그 무효확인을 소구할 수는 없다 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기록에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 인정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아무런 위법사유가 없으며 소론은 이미 확정된 위 광주고등법원 89구274호 판결의 기판력에 반하는 주장으로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므로 원심이 이에 관하여 심리를 하지 않았다 하여 위법이라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부과 처분 취소 소송 패소 후, 무효확인 소송은 가능할까?

이미 세금 부과처분 취소소송에서 패소하여 확정판결을 받았다면, 같은 세금 부과처분에 대해 다시 무효확인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세금부과처분#취소소송#패소#확정판결

일반행정판례

이미 취소된 행정처분, 다시 취소해달라고 소송할 수 있을까요?

이미 취소된 행정처분에 대해 다시 취소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행정청이 스스로 잘못을 인정하고 이전 처분을 취소한 후 새로운 처분을 내렸다면, 이전 처분에 대한 소송은 더 이상 효력이 없습니다.

#취소된 행정처분#소의 이익#소 각하#행정소송

일반행정판례

이미 취소된 처분, 다시 소송할 수 있을까?

행정기관이 잘못된 처분을 내렸다가 스스로 취소한 경우, 이미 취소된 처분에 대해서는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취소된 행정처분#소송 불가#소의 이익#행정소송법

일반행정판례

징계처분, 무죄 확정되면 당연히 무효일까?

직원이 징계받은 사유와 동일한 사안으로 1심에서 유죄를 받았다가, 최종적으로 무죄가 확정되었다면 그 징계처분은 당연히 무효가 되는가? (답: 아니다)

#징계처분#무죄확정#당연무효#1심유죄

일반행정판례

행정처분 취소소송, 기간 지나면 안돼요!

행정처분이 당연히 무효라고 주장하더라도, 취소소송을 제기할 때에는 정해진 기간 안에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기간을 넘기면 소송 자체가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행정처분#취소소송#당연무효#제소기간

생활법률

행정심판 재결에 불복하려면? 재결취소소송 vs. 원처분 취소소송

행정심판 재결에 불복하려면 재심판청구는 불가능하고, 재결 자체의 위법성이 있는 경우에 한해 90일/1년 이내에 재결취소소송을 제기해야 하며, 감사원 재심의판정, 중앙노동위원회 재심판정 등은 재결주의에 따라 재결에 대해서만 소송 가능하다.

#행정심판 재결 불복#재결취소소송#재심판청구 불가#원처분중심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