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2누8194

선고일자:

199209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양도소득세부과징수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점(=과세표준확정신고기간만료일의 다음날) 나. 납세의무자로부터 소득세법 소정의 자산양도차익예정신고나 과세표준확정신고가 없어서 과세관청이 양도사실을 모르고 있었다는 사유가 소멸시효진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구 소득세법(1976.12.22. 법률 제293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하에서 토지의 양도대금을 1975.5.5.까지 전액 수령하였다면 위 토지의 양도시기는 늦어도 1975.5.5.로 보아야 할 것이고, 과세권자로서는 위의 양도소득에 대하여 그 과세표준확정신고기간만료일의 다음날인 1976.3.1.부터 양도소득세의 부과징수를 할 수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이때부터 위의 양도소득에 대한 양도소득세부과징수권의 소멸시효가 진행된다. 나. 납세의무자로부터 소득세법 소정의 자산양도차익예정신고나 과세표준확정신고가 없어서 과세관청이 위 토지의 양도에 인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기까지는 그 양도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하더라도 그와 같은 사유는 권리행사를 할 수 없는 법률상의 장애사유에는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양도소득세부과징수권의 소멸시효진행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참조조문

가.나. 국세기본법 제27조 / 가. 구 소득세법(1976.12.22. 법률 제293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00조 제1항, 제27조, 민법 제166조 / 나. 민법 제168조

참조판례

가.나. 대법원 1984.12.26. 선고 84누572 전원합의체판결(공1985,272), 1987.5.12. 선고 86누651 판결(공1987,996) / 가. 대법원 1985.7.23. 선고 85누212 판결(공1985,1205), 1985.12.10. 선고 84누371 판결(공1986,247) / 나. 대법원 1982.1.29. 선고 80다2626 판결(공1982,257)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광주세무서장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2.4.24. 선고 91구228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의하여 살펴본바, 원심이 그 채택증거들을 종합하여, 원고가 1975.4.4. 소외인에게 이 사건 토지를 대금 1,500,000원에 매도하고 그 해 5.5. 동인으로부터 그 잔대금을 전부 수령한 사실을 인정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 위반으로 인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그리고 이 사건 토지의 양도 당시에 시행되던 구 소득세법 제27조 제1항에 의하면, 자산의 양도차익을 계산함에 있어서 자산의 양도 또는 취득시기는 당해 계약을 체결하고 그 계약금 이외의 대가의 일부를 영수한 날 또는 영수할 날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100조 제1항에는 당해연도의 양도소득금액이 있는 거주자는 그 양도소득과세표준을 당해연도의 다음 연도 2.1.부터 2.말일까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정부에 신고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이 원고가 이 사건 토지의 양도대금을 1975.5.5.까지 전액 수령하였다면 이 사건 토지의 양도시기는 늦어도 1975.5.5.로 보아야 할 것이고, 과세권자인 피고로서는 위의 양도소득에 대하여 그 과세표준확정신고 기간만료일의 다음날인 1976.3.1.부터 양도소득세의 부과징수를 할 수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이때부터 위의 양도소득에 대한 양도소득세 부과징수권의 소멸시효가 진행된다고 할 것이고,소론과 같이 원고로부터 소득세법 소정의 자산양도차익예정신고나 과세표준확정신고가 없어서 피고로서는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위의 양도에 인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기까지는 그 양도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하더라도 그와 같은 사유는 권리행사를 할 수 없는 법률상의 장애사유에는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이 사건 양도소득세 부과징수권의 소멸시효진행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볼 것이다(당원 1987.5.12. 선고 86누651 판결 등 참조). 원심이 이와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양도소득세의 부과징수권은 1976.3.1.부터 기산하여 5년이 경과함으로써 이미 시효소멸되었으므로, 그 후에 이루어진 이 사건 과세처분은 결국 당연무효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조치도 역시 옳고, 거기에 조세채권의 소멸시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김상원 윤영철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땅 팔았는데 면적이 애매하다면? 양도소득세는 언제 내야 할까?

아직 정확한 면적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의 토지를 팔았을 때, 중도금을 지급한 시점을 기준으로 양도소득세 부과 제척기간(소멸시효)이 시작되는 것은 아니다.

#양도소득세#부과제척기간#기산점#가분할토지

세무판례

세금 안 내도 된다고 신고했는데, 나중에 세금 내라고 하면 어떡하죠?

양도소득세를 납부할 필요가 없다고 신고한 경우, 과세관청이 이를 나중에 다시 확인하여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부과제척기간 이내라면 과세관청은 세금을 다시 계산하여 부과할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경정#부과제척기간#신의성실

세무판례

세금, 제때 내라고 하더니 너무 늦었잖아요!

토지 양도 후 9년이 지나서 세금을 부과한 경우, 세금 부과 기간(제척기간)이 지났으므로 세금 부과는 무효라는 판결입니다.

#양도소득세#제척기간#부과 무효#9년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세, 신고 안했어도 실거래가 인정받을 수 있다?

부동산 양도 후 양도소득세 신고기한 내에 신고는 못했지만, 기한 전에 실거래가 증빙서류를 제출했다면 세금 계산 시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는 판결.

#양도소득세#실거래가#증빙서류#신고기한

세무판례

땅 팔고 세금 내는 이야기: 취득 시기와 필요경비, 그리고 가산세

토지 양도 후 양도소득세 신고 당시 취득시기를 잘못 계산하여 세금을 적게 낸 경우, 과세관청은 나중에라도 세금을 다시 계산하여 추가로 징수할 수 있고, 이 경우 납세자는 가산세를 부담해야 한다.

#양도소득세#취득시기 오류#가산세#예정신고

세무판례

땅 판 돈 받는 날짜가 중요해요! 양도소득세 계산은 언제 기준으로 할까요?

토지 매매 계약은 법 개정 전에 했지만, 잔금 지급은 법 개정 후에 이루어졌다면, 잔금 지급일 기준의 법을 적용해 양도소득세를 계산해야 한다.

#토지#양도소득세#잔금일#법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