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지번확인

사건번호:

92다20217

선고일자:

199302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분할토지의 지번이 임야대장 및 등기부에는 제대로 기재되었으나 임야도에는 잘못 기재된 경우 잘못 기재된 지번의 소유 명의자는 정당한 소유자의 지번표시정정신청을 승낙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토지소유자의 분할신청에 따라 관할 관청이 1필지의 토지를 2필지로 분할하여 새로운 지번을 부여하고 지적공부에 등록함에 있어 임야대장 및 등기부에는 제대로 기재하였으나 임야도에는 착오로 지번을 서로 바꾸어 잘못 기재하였다면 잘못 기재된 지번의 소유명의자는 정당한 소유자의 지번표시정정신청을 승낙할 의무가 있다.

참조조문

지적법 제3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0.11.9. 선고 90다카15966 판결(공1991,46)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대구지방법원 1992.4.24. 선고 91나6670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들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원심은, 경북 영일군 (주소 1 생략) 임야 3정 4단 8무보는 원래 망 소외 1의 소유인 사실, 위 유동소이 1925.7.14. 소외 김석진, 최호진, 김영남에게 그중 임야 3정 1무보(임야도상 산 74의 1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를 특정하여 매도하고, 분할을 신청하여 소관청인 영일군수가 1926.2.15. 위와 같이 매도된 임야 3정 1무보와 매도되지 아니한 임야 4단 7무보로 분할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함에 있어서, 임야대장에는 3정 1무보에 대하여 산 74의 2 지번을, 4단 7무보에 대하여 산 74의 1 지번을 부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임야도에는 착오로 인하여 3정 1무보 부분에 산 74의 1 지번을,4단 7무보 부분에 산 74의 2 지번을 잘못 기재함으로써 잘못 등록된 사실, 한편 등기부에는 (주소 3 생략) 임야 3정 1무보에 관하여 1926.2.27. 위 소외인들 3인의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지고, (주소 2 생략) 임야 4단 7무보에 관하여는 1971.7.14. 피고 1과 그 밖의 피고들의 피상속인인 망 소외 5의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가 마쳐진 사실, 위 소외 4가 1974.5.13. 사망하였는데 원고가 그의 공동상속인 중의 1인인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등기부상의 산74의2 임야 3정 1무보의 공유자의 1인인 원고가 공유물의 보존행위인 소유물방해제거청구권의 행사로서 구하는 바에 따라, 피고들은 원고에게 소관청인 영일군수가 관리하는 지적공부인 임야도에 산 74의 1으로 등록되어 있는 지번의 표시를 산 74의 2으로 정정함에 대하여 승낙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관계증거 및 기록과 관계법령의 규정내용에 비추어 볼 때,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하거나 지적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소론과 같이 지적법시행령 제3조 제1항에 지번은 북서에서 남동으로 순차적으로 설정하도록 규정되어 있다고 하여, 이 사건의 경우 소관청인 영일군수가 북서에서 남동으로 (주소 2 생략)과 74의 2로 지번을 설정하여 임야도에 등록을 한 것이 착오로 인한 것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결국 논지는 원심의 전권에 속하는 증거의 취사판단과 사실의 인정을 비난하거나 원심이 인정한 사실과 상치되는 사실을 전제로 원심의 판단을 헐뜯는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피고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 사고 팔 때 지번 잘못 적었어도, 진짜 사고팔려던 땅이 중요해요!

매매계약서에 적힌 땅 번호(지번)가 잘못되었더라도, 실제로 사고팔기로 합의한 땅이 무엇인지가 중요합니다. 계약서에 적힌 지번이 아닌, 실제 합의한 땅을 기준으로 매매계약이 성립됩니다.

#지번착오#매매계약#실제합의#등기무효

민사판례

땅 지번이 잘못 등기됐어요! 어떻게 고치죠?

등기된 토지의 지번이 잘못 기재된 경우, 소송이 아닌 등기 경정 신청을 통해 바로잡아야 합니다. 특히, 지번 중복으로 자신의 토지 소유권 행사에 지장을 받는 미등기 토지 소유자는 잘못 등기된 토지의 등기명의인을 대신하여(대위) 경정등기를 *신청*해야 하며,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지번중복#경정등기#신청#소송각하

민사판례

땅 사고팔았는데, 계약서에 적힌 땅이 아니면 어떡하죠? 😱

계약서에 적힌 땅(지번)이 잘못되었더라도, 실제로 사고팔기로 한 땅이 명확하다면 계약은 유효합니다. 등기가 잘못된 땅으로 되었더라도 그 등기는 무효입니다.

#계약#착오#지번#실제 매매 목적물

민사판례

엉뚱한 땅에 등기가 되어도 내 땅 등기는 안전할까?

등기공무원의 실수로 갑의 땅과 을의 땅 지번이 같게 등기되었지만, 실제 토지 위치가 다르다면 갑은 을 명의의 등기를 말소하라고 요구할 수 없다.

#지번 중복#등기 착오#말소등기 청구#권리 침해 부존재

상담사례

등기 지번 잘못 썼어요! 경정등기 가능할까요? 😱

지번과 면적의 차이가 커서 경정등기는 어렵고, 새 등기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

#등기#지번오류#경정등기#면적차이

민사판례

토지 소유자 정보 불일치와 손해배상 책임: 공무원의 착오와 법무사의 역할

공무원의 임야대장 소유자 오기재와 이를 이용한 제3자의 경정등기 및 임야 처분으로 인한 진정한 소유자의 손해에 대해, 공무원의 행위와 제3자의 손해배상 사이에 인과관계가 없다는 판결. 즉, 공무원의 실수가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판단.

#임야대장 오기재#경정등기#손해배상#인과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