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2다22831

선고일자:

199407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인 "손해를 안 날"의 의미

판결요지

민법 제766조 제1항 소정의 손해를 안 날이라 함은 단순히 손해발생의 사실만을 안 때라는 뜻이 아니고 가해행위가 불법행위로서 이를 원인으로 하여 손해배상을 소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안 때를 의미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766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0.1.12. 선고 88다카25168 판결(공1990,457), 1993.8.27. 선고 93다23879 판결(공1993하,2628) , 1994.1.25. 선고 93다55845 판결(공1994상,812)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한국상업은행 소송대리인 변호사 심훈종 외 4인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1992.5.7. 선고 91나792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1. 제1점에 대하여 관계증거와 기록에 의하면 소론이 지적하는 점에 관한 원심의 인정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가 없다. 2. 제2점에 대하여 민법 제766조 제1항 소정의 손해를 안 날이라 함은 단순히 손해발생의 사실만을 안 때라는 뜻이 아니고 가해행위가 불법행위로서 이를 원인으로 하여 손해배상을 소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안 때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당원 1990.1.12. 선고 88다카25168 판결 참조).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그 판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들은 이 사건 면직처분무효확인 판결이 확정된 때인 1990.2.9.에 손해를 알았다고 판단하여 피고의 소멸시효항변을 배척하였는바 기록과 위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논지도 이유가 없다. 3. 제3점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면, 소론이 지적하는 중식대와 교통비에 관한 원심의 인정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휴가보상금에 관한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으므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논지도 이유가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성택(재판장) 천경송 안용득(주심) 지창권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손해배상 소멸시효, 언제부터 시작될까? 가해자를 '안 날'의 의미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소멸시효)은 언제부터 시작될까요? 특히 회사 직원의 잘못으로 손해를 입었을 때, 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려면 언제까지 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회사에 책임을 묻기 위한 소멸시효 기산점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불법행위#손해배상#소멸시효#기산점

민사판례

진폐증으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 언제부터 가능할까?

직업병인 진폐증의 경우, 질병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손해 발생 사실을 인지한 시점을 판단해야 하며, 이 사건에서는 노동부로부터 진폐요양급여 대상자로 확정된 날을 손해를 안 날로 보아 소멸시효 기산점을 정했습니다.

#진폐증#손해배상#소멸시효#기산점

상담사례

의료사고 손해배상, 소멸시효 언제부터 시작될까요? ⏰

의료사고 손해배상 소멸시효는 형사고소 시점이 아니라, 환자가 의사의 과실과 손해 발생 사이의 인과관계를 실제로 안 날부터 시작된다.

#의료사고#손해배상#소멸시효#기산점

민사판례

사고 후유증, 손해배상 청구는 언제까지 해야 할까? - 소멸시효에 대한 이야기

불법행위로 다쳤을 때 손해배상 청구는 언제까지 할 수 있을까? 다친 사실과 누구 때문에 다쳤는지 알게 된 날로부터 3년! 단, 예상치 못한 후유증이 나중에 발생한 경우는 그 후유증을 알게 된 날부터 3년!

#불법행위#손해배상#소멸시효#기산점

민사판례

형사판결과 손해배상 소멸시효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손해와 가해자를 '안 날'이란 단순히 사건 발생 사실을 아는 것이 아니라 가해자의 불법행위를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인식한 날을 의미하며, 이는 형사재판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불법행위#손해배상#소멸시효#기산점

민사판례

계약 불이행! 손해배상은 언제까지 청구할 수 있을까?

채무불이행으로 손해를 입었을 때 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채무불이행이 발생한 시점부터 계산됩니다.

#채무불이행#손해배상#소멸시효#기산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