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2다25489

선고일자:

199211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행정재산이 취득시효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소극) 나. 국유재산법 제5조 제2항 규정을 잡종재산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이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결정으로 인하여 행정재산에 대한 점유에 영향이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행정재산은 공용폐지시까지 시효취득의 대사이 될 수 없다. 나. 헌법재판소 1991. 5. 13. 자, 89헌가97결정은 민법상의 시효취득 규정의 적용을 배제한 국유재산법 제5조 제2항 규정을 잡종재산인 국유재산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이 위헌이라는 것이 아니므로 위 결정으로 인하여 행정재산에 대하여 공용폐지가 있기까지의 점유에 어떤 영향이 있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민법 제245조, 국유재산법 제5조 제2항(헌법재판소 1991. 5. 13. 자, 89헌가97결정으로 잡종재산에 대하여는 실효)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2.12.14. 선고 80다236 판결(공1983,262), 1983.6.14. 선고 83다카181 판결(공1983,1082) / 나. 대법원 1992.2.14. 선고 91다39917 판결(공1992, 1031) / 가. 대법원 1982.12.14. 선고, 80다236 판결(공1983,262), 헌법재판소 1991.5.13. 자 89헌가97 결정(관보 제11829호 제19면)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대한민국 【피고보조참가인】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2.5.22. 선고 92나470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1. 제4점에 대하여 원심이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1991. 7. 11. 자 공용폐지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하여 이 사건 부동산이 행정재산으로서 위 공용폐지시까지 시효취득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인정한 조치는 당원의 견해( 당원 1983.6.14. 선고 83다카181 판결 참조)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고 거기에 논지가 지적하는 것과 같은 사실오인, 심리미진 및 입증책임을 전도한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제1, 2점에 대하여 원심은 헌법재판소 1991.5.13. 자 89헌가97 결정은 민법상의 시효취득 규정의 적용을 배제한 국유재산법 제5조 제2항 규정을 잡종재산인 국유재산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이 위헌이라는 것이지 행정재산에 대하여 민법의 시효취득의 규정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이 위헌이라는 것이 아니므로 위 결정으로 인하여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하여 공용폐지가 있은 1991.7.11. 이전의 원고 점유에 어떤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할 것이고 원고는 공용폐지가 되지 아니한 기간동안의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점유를 내세워 취득시효를 주장할 수 없다는 취지로 판시하였는바, 기록에 의하면 원심의 인정과 판단은 정당하여 수긍이 되고 원심판결에 국유재산법 제5조 제2항 및 민법 제245조 제1항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는 논지는 이유 없다. 3. 제3점에 대하여 원심은 원고가 1991.7.12.을 시효기간 완성시점으로 잡은 것이 잘못이라는 취지의 판단을 한 바 없으므로 원심판결에 취득시효기간의 기산점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원고가 인용하는 당원의 판례는 이 사건과 무관한 것이다. 논지도 이유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국유지, 그냥 오래 썼다고 내 땅 되는 거 아니에요!

국가 소유의 땅(행정재산)은 비록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더라도 국가가 공식적으로 용도 폐지를 하지 않는 한 개인이 점유하여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다.

#국유지#행정재산#취득시효#용도폐지

민사판례

국유지, 그냥 안 쓴다고 내 땅 되는 거 아니에요!

국가 소유의 땅(행정재산) 일부를 원래 목적대로 사용하지 않고 방치했다고 해서, 그 땅이 자동으로 국가 소유에서 제외되는 것은 아니다. 국가가 그 땅을 더 이상 공적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명확한 의사표시(공용폐지)가 있어야 한다.

#국유지#행정재산#공용폐지#시효취득

민사판례

국유지 뺏기(?) 20년 넘게 살았는데도 내 땅이 안 된다고?

국가 소유의 임야를 개인이 매수했다고 주장하며 시효취득(오랫동안 점유하면 소유권을 인정받는 제도)을 주장했으나, 법원은 해당 임야가 시효취득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기각했습니다.

#국유림#무단점유#시효취득#기각

민사판례

국유지 내 땅을 내 땅이라고 우기려면? 증거를 대세요!

국가 소유의 땅을 더 이상 공적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의사표시(공용폐지)는 말이나 글로 명확하게 표현하지 않더라도 행동으로도 가능하지만, 그 의사표시가 명확해야 합니다. 단순히 그 땅이 공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는 공용폐지되었다고 볼 수 없으며, 국가 땅을 시효취득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공용폐지 사실을 입증해야 합니다.

#국유지#공용폐지#시효취득#입증책임

민사판례

국유지에 대한 시효취득, 언제 가능할까?

단순히 공원으로 지정 고시된 국유지는 점유하여도 시효취득할 수 없고, 공원 조성계획이 확정되어야 비로소 시효취득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미 잡종재산(국가 소유이지만 일반재산처럼 활용 가능한 땅)일 때 시효취득을 했다 하더라도, 이후 행정재산(공공용으로 사용하기로 결정된 국가 소유 땅)으로 바뀌면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국유지#시효취득#공원#행정재산

민사판례

국유지라도 함부로 내 땅이라고 할 수 없다? - 취득시효와 공용폐지에 대한 오해

국가 소유의 도랑(구거)을 오랫동안 개인이 점유했더라도, 국가가 공식적으로 용도 폐지하지 않았다면 해당 토지를 시효취득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사용하지 않는다는 사실만으로는 국가 소유의 땅을 개인이 가질 수 없다는 뜻입니다.

#행정재산#시효취득#용도폐지#구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