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도주차량),도로교통법위반

사건번호:

92도999

선고일자:

199207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음주운전을 할 의사를 가지고 음주만취한 후 운전을 결행하여 교통사고를 일으킨 경우 심신장애로 인한 감경 등을 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형법 제10조 제3항은 “위험의 발생을 예견하고 자의로 심신장애를 야기한 자의 행위에는 전2항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바, 이 규정은 고의에 의한 원인에 있어서의 자유로운 행위만이 아니라 과실에 의한 원인에 있어서의 자유로운 행위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서 위험의 발생을 예견할 수 있었는데도 자의로 심신장애를 야기한 경우도 그 적용 대상이 된다고할 것이어서, 피고인이 음주운전을 할 의사를 가지고 음주만취한 후 운전을 결행하여 교통사고를 일으켰다면 피고인은 음주시에 교통사고를 일으킬 위험성을 예견하였는데도 자의로 심신장애를 야기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위 법조항에 의하여 심신장애로 인한 감경 등을 할 수 없다.

참조조문

형법 제10조 제3항

참조판례

대법원 1968.4.30. 선고 68도400 판결(집16①형50)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4.2. 선고 91노502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피고인변호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의 판시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3 제2항 제1호 위반죄와 도로교통법 제107조의2 제1호 위반죄를 모두 유죄로 인정하여 경합범으로 처단하고 있는바,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3 제2항 제1호는 1992.4.28.자로 헌법에 위반된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있었으므로 위 조항은 소급하여 그 효력을 상실하였다고할 것이고, 따라서 위 조항을 적용한 원심판결은 위법하여 더이상 유지될 수없으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논지는 이유 있다. 2. 이밖에 상고논지는 원심이 형법 제10조 제3항을 적용하여 피고인에게 심신장애로 인한 형의감경을 하지 않은 조치를 위법하다고 탓하고 있다. 형법 제10조 제3항은 「위험의 발생을 예견하고 자의로 심신장애를 야기한자의 행위에는 전 2항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규정은 고의에 의한 원인에 있어서의 자유로운 행위만이 아니라 과실에 의한원인에 있어서의 자유로운 행위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서 위험의 발생을 예견할 수 있었는데도 자의로 심신장애를 야기한 경우도 그 적용대상이 된다고 할것이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피고인이 음주운전을 할 의사를 가지고 음주만취한 후 운전을 결행하여 그 판시와 같은 교통사고를 일으킨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음주시에 교통사고를 일으킬 위험성을 예견하였는데도 자의로 심신장애를 야기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형법 제10조 제3항에 의하여 심신장애로 인한 감경 등을 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음은 정당하고 소론과 같은 위법이 없어 이 점에 관한 논지는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하고 위 1항에서 지적한 사유에 의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이회창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술 마시고 운전하다 사고내면 감형 없다?!

술을 마신 후 운전하여 사고를 낸 경우, 스스로 만든 심신미약 상태이기 때문에 감형받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음주운전#심신미약#감형불인정#자의적 심신장애

형사판례

술 마시고 운전대 잡으면 감형 없다!

음주운전을 할 의도를 가지고 술에 만취한 후 운전하여 사고를 낸 경우, 심신미약을 이유로 감형받을 수 없다.

#음주운전#심신미약#감형불가#자의적 심신장애

형사판례

음주운전 사고와 재판 진행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판단

스스로 술을 마신 후 운전하다 사고를 낸 경우, 사고 당시 심신미약 상태였다 하더라도 심신미약을 이유로 형을 감경받을 수 없다. 또한, 법원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증거는 조사하지 않을 수 있다.

#음주운전#심신미약 감경 불가#증거조사 재량#공판조서 증명력

형사판례

술 7병 마셨다고 심신미약? 법원 "그것만으론 안돼"

범행 직전 술을 많이 마셨다는 진술만으로는 심신미약 상태였다고 주장한 것으로 볼 수 없다.

#심신미약#음주#진술#증명

형사판례

술에 취했어도, 심신상실 아니면 책임 져야죠!

피고인이 범행 당시 술에 취했다고 주장했지만, 1심 판결에서 이미 심신상실이 아님이 명백한 경우, 항소심에서 술 취한 정도에 대해 다시 판단하지 않아도 판결 결과에 영향이 없다.

#심신상실#항소심#상고기각#형량

형사판례

맥주 한 병 마시고 운전하다 사고… 위험운전치사상죄일까? 음주운전 처벌 기준 알아보기

단순 음주운전과 달리 위험운전치사상죄는 혈중알코올농도 수치와 관계없이 **실제 음주로 인해 정상 운전이 곤란한 상태였는지, 그리고 그 상태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는지**가 중요합니다. 본 판례는 음주 후 사고를 냈더라도 운전자의 당시 상태와 사고 경위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위험운전치사상죄#음주운전#정상운전곤란#혈중알코올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