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

사건번호:

92므389

선고일자:

199304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가사

사건종류코드:

400103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인정사실과 저촉되는 증거를 배척한다는 취지를 명시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그 증거가치를 배척한다는 취지로 볼 수 있는지 여부(적극) 나. 조선민사령 시행 당시 입양합의 후 입양신고 대신 한 친생자 출생신고의 입양으로서의 효력 유무(적극) 다. 제3자를 사실상 양자로 여겨 왔다는 사실만으로써 기존의 양친자관계가 소멸되었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증거들이 인정사실과 저촉되고 이를 배척한다는 취지를 명시하지 않았더라도 그 증거가치를 배척한다는 취지로 보지 못할 바 아니다. 나. 양자로 삼기로 하면서 친생자인 것처럼 출생신고가 있던 때에 조선민사령이 적용되고 있었다 하여 위 출생신고에 의하여 입양의 효력이 발생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다. 양부의 가에서 제3자를 사실상 양자인 것처럼 여겨 왔다 하여 그로써 곧바로 이미 성립되어 있던 양부모와 피청구인 사이의 양친자관계가 소멸되었다고 볼 수 없다.

참조조문

가. 민사소송법 제187조, 제193조 제2항, / 나. 민법 제878조, / 다. 민법 제898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3.3.8. 선고 80다3198 판결(공1983,646), 1992.2.25. 선고 91다14192 판결(공1992,1118), 1992.9.14. 선고 92다21104,21111 판결(공1992,2883) / 나. 대법원 1977.7.26.선고77다492 전원합의체판결(공1977,10219), 1990.7.27. 선고 89므1108 판결(공1990,1791), 1991.12.13. 선고 91므153 판결(공1992,517)

판례내용

【청구인, 상고인】 【피청구인,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5.19. 선고 90르368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청구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청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상고이유 제1,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망 청구외 1은 그의 처인 망 청구외 2와의 사이에 딸을 여섯이나 두었는데도 아들을 두지 못하자 막내동생인 망 청구외 3과 상의하여 망 청구외 3이 그의 처인 청구외 4와의 사이에 출생한 피청구인을 자신의 양자로 삼기로 하면서 다만 피청구인의 장래를 고려하여 피청구인이 망 청구외 1, 2 사이에 친생자인 것처럼 출생신고를 하기로 하여 1940.2.17. 그와 같이 출생신고를 마친 사실, 피청구인은 태어난 직후에는 생모인 청구외 4가 양육하였는데 그러던 중 피청구인의 지능이 약간 정상인에 미치지 못함이 드러나서 망 청구외 1과의 관계가 소원하게 되었으나 여전히 망 청구외 1의 가에서는 피청구인을 아들로 여기고 내왕하도록 하여 왔으며, 피청구인이 성년이 된 후인 1961년경부터는 망 청구외 1의 집에 거주하면서 망 청구외 1과 함께 농사를 지으며 생활하다가 1964년경 망 청구외 1이 사망한 후에도 망 청구외 2와 함께 거주하였으나 1966년경 역시 망 청구외 2와 함께 거주하던 망 청구외 1의 다른 동생인 망 청구외 5의 아들인 망 청구외 6과 사이가 좋지 아니하여 생가로 돌아온 사실을 각 인정하고, 망 청구외 1, 2 및 피청구인 사이에는 양친자관계가 성립하였으며 망 청구외 1, 2와 피청구인 사이에 양친자적 사실관계도 존재하였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위배 내지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소론이 들고 있는 갑 제12호증의 2, 갑 제13호증의 2는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사실과 반드시 저촉된다고 볼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가사 위 증거들이 원심의 인정사실과 저촉되고, 원심이 이를 배척한다는 취지를 명시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이는 원심이 그 증거가치를 배척한다는 취지로 보지 못할 바 아니므로( 당원 1992.9.14. 선고 92다21104,21111 판결 참조), 원심의 위와 같은 조치에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피청구인의 위 출생신고가 있던 때에 조선민사령이 적용되고 있었다 하여 피청구인의 위 출생신고에 의하여 입양의 효력이 발생할 수 없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고( 당원 1977.7.26. 선고 77다492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원심도 같은 취지로 판시하여 청구인의 주장을 배척하였음이 명백하므로 원심판결에 이 점에 관한 법리오해나 판단유탈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도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상고이유 제3,4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망 청구외 1과 3은 1943년경 피청구인을 파양하기로 하였고 그 무렵 망 청구외 1이 망 청구외 6을 새로이 양자로 입양하여 그 이래 망 청구외 6을 아들로 삼아왔으니 이로써 피청구인과 망 청구외 1, 2 사이의 양친자관계는 해소되었다는 청구인의 주장에 대하여 망 청구외 1과 3이 피청구인을 파양히기로 합의하였다는 점은 인정하기 어렵고, 위 우흥복의 가에서 1943년경부터 위 우상은을 사실상 양자인 것처럼 여겨왔다 하여 그로써 곧바로 이미 성립되어 있던 위 우흥복, 박부업과 피청구인 사이의 양친자관계가 소멸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고 판단하였는 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위배나 양친자관계의 소멸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청구인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최재호 김석수 최종영(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지만, 사실은 입양? 그 효력은?

부부의 한쪽이 배우자가 아닌 사람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를 친자로 출생신고 했더라도, 입양의 의사가 있었고 실질적인 요건을 갖춘 경우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후 친생자 관계 부존재 확인 판결이 확정되면 더 이상 양친자 관계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출생신고#입양#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양친자관계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으로 인정된 사례

남자가 아내와 혼인 중 내연녀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들을 자기와 아내의 친자로 출생신고한 경우에도, 실제로 양육하고 부양하는 등 입양의 의사가 있었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양육#부양

가사판례

계부가 친자로 출생신고한 아이, 진짜 가족이 될 수 있을까? - 출생신고와 입양의 효력

이미 사망한 전남편의 자녀를 계부가 친자식으로 출생신고한 경우, 실제로는 입양으로 볼 수 있으며, 친자관계 부존재 확인 소송은 부적법합니다.

#계부#친생자 출생신고#입양#친자관계 부존재 확인 소송

가사판례

입양은 마음대로 되는 게 아니에요! - 진짜 가족처럼 살아야 인정!

단순히 서류상으로 입양을 추인했더라도 실제로 양부모-자녀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다면 입양은 무효다.

#입양#추인#무효#실질적 양육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 효력을 가질 때, 사망한 양부와 양자 관계를 정리할 수 있을까?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의 효력을 갖는 경우, 양부가 사망한 후 그 아들은 양부와 양딸 사이의 법적 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소송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양부 사망#양딸#친생자 출생신고(입양)#파양소송

가사판례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 소송, 과연 승소할 수 있을까? - 복잡한 가족사와 법의 딜레마

과거 출생신고가 사실은 입양이었던 경우, 당시 법으로는 유효하지 않았던 입양이라도 현재 법에 따라 유효한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을 청구할 수 없다는 판결.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입양#소급효#사실상 양친자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