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헌제청신청

사건번호:

92초40

선고일자:

199206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4조(상소제기후 판결전 구금일수의 산입)가 헌법 제11조, 제12조 제1항, 제2항, 제27조, 제37조에 위반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4조(상소제기후 판결전 구금일수의 산입)는 소송지연의 방지, 국민의 권리 의무의 신속한 실현, 분쟁처리의 촉진(위 특례법 제1조 참조) 이라는 공공복리의 실현을 위한 필요에 의하여 헌법상 허용되는 입법정책상의 선택의 범위 내에서 규정된 것으로서 위 조항이 헌법 제11조, 제12조 제1항, 제2항, 제27조, 제37조에 위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4조, 헌법 제11조, 제12조 제1항, 제2항, 제27조, 제37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신청인】 【주 문】 위헌제청신청을 기각한다. 【이 유】 위헌제청신청 이유를 본다. 형사소송법 제35조와 제55조 제1항이 소론과 같이 소송계속중의 공판조서 등 관계서류 또는 증거물에 관하여 피고인으로 하여금 그 열람이나 등사를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형사소송규칙 제30조 참조). 이들 조항이 헌법 제11조 제1항, 제12조, 제27조 제1항, 제4항, 제34조 제1항, 제37조 제2항이나 “알”권리의 근거가 되는 헌법 제21조 등의 관계규정에 위반되는 것이라는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그리고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4조는 소송지연의 방지, 국민의 권리 의무의 신속한 실현, 분쟁처리의 촉진(위 특례법 제1조 참조)이라는 공공복리의 실현을 위한 필요에 의하여 헌법상 허용되는 입법정책상의 선택의 범위 내에서 규정된 것으로서 위 조항이 소론과 같이 헌법 제11조, 제12조 제1항, 제2항, 제27조, 제37조에 위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어느 것이나 이유 없으므로 이 사건 위헌제청신청을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배만운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송촉진 특례법, 헌법 위반 아니다!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의 일부 조항이 재산권 및 재판받을 권리를 침해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으나, 법원은 위헌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위헌법률심판#재산권#재판받을 권리

민사판례

소송촉진 특례법과 평등권, 위헌 여부는?

옛날 소송촉진 특례법의 한 조항이 평등권을 침해하는지에 대한 판결로, 대법원은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소송촉진특례법#평등권#위헌#기각

형사판례

헌법 위반 법률로 진행된 재판은 무효! + 임금 체불, 무조건 불법일까?

피고인에게 소환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음에도 재판을 진행한 것은 위헌이며, 임금 지급 연장 기간을 제한한 근로기준법 시행령 조항은 무효라는 판결입니다.

#소송절차위반#소환장#위헌#근로기준법시행령

형사판례

상고심에서의 재판받을 권리와 불이익변경금지 원칙

대법원은 형사소송법상 상고심에서 상고이유를 특정 범위로 제한하고 서면심리만으로 판결하는 것이 헌법상 재판받을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의 특정 조항이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확인했습니다.

#상고이유 제한#서면심리#재판받을 권리#헌법

형사판례

구금일수 산입 오류 정정과 위헌법률심판 제청

판결 선고 전 구금일수 산입 오류를 이유로 판결 정정을 신청하고 관련 법률 조항에 대해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신청했으나, 법원은 판결 정정 신청을 기각하고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을 각하했습니다.

#판결정정 기각#위헌법률심판 제청 각하#구금일수 산입#형사소송법 제55조

민사판례

소송 취하와 헌법 위반 여부

1990년 개정 전 민사소송법에서 소송 취하로 간주하는 규정(소취하 의제)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

#소취하 의제#위헌#민사소송법#재판받을 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