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감호(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절도)

사건번호:

93감도89

선고일자:

199310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감호사건만 상고한 경우 피고사건에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는 사유를 상고이유로 할 수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피감호청구인이 항소심판결 중 감호사건에 관하여만 상고하고 피고사건에 관하여는 상고포기한 경우 피감호청구인이 공소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항소심판결에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는 사유를 들어 감호사건에 관한 상고이유로 할 수 없다.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87.12.22. 선고 87감도185 판결(공1988,375), 1989.11.14. 선고 89감도144 판결(공1990,67), 1990.2.9. 선고 89도205 판결(공1990,693)

판례내용

【피감호청구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 호 인】 변호사 이용식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7.20. 선고 93노1504, 93감노74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1. 피감호청구인들의 각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한 판단. 피감호청구인이 항소심판결 중 감호사건에 관한 부분에 대하여만 상고를 하고 피고사건에 관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고의 포기를 한 경우에는, 피감호청구인이 공소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항소심판결에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는 사유를 들어 감호사건에 관한 상고이유로 할 수 없는 것이므로, 논지는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않는다. 2. 국선변호인의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한 판단 사회보호법 제5조가 헌법 제11조제12조나 제13조에 위반된다고 볼 수 없으므로, 논지는 받아들일 것이 못 된다. 3. 피감호청구인들과 국선변호인의 각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한 판단.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이 채용한 증거들을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면, 피감호청구인들이 보호대상자로서 재범의 위험성이 있다고 인정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심리를 제대로 하지 아니한 채 채증법칙을 위반하거나 재범의 위험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논지도 이유가 없다. 4. 피감호청구인들의 각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한 판단. 보호대상자가 사회보호법 제5조 각호 소정의 보호감호 요건에 해당하고 재범의 위험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느 법원은 보호감호에 처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피감호청구인들을 보호감호에 처한 것이 과중하여 부당하다는 취지의 논지도 이유가 없는 것임이 명백하다. 5. 그러므로 피감호청구인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김주한 김용준(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죄 확정 후 보호감호만 다툴 수 있을까?

범죄에 대해 유죄 판결이 확정된 후 보호감호 처분에 대해서만 상고하는 경우, 이미 확정된 범죄사실 자체는 다시 다툴 수 없다.

#보호감호#상고#범죄사실#유죄확정

형사판례

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보호감호를 선고할 때, 이전 판결에 대한 불만을 어떻게 다룰까요?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재범 위험성 때문에 보호감호 처분을 받은 사람이 감호 처분에 대해서만 불복하여 상고할 경우, 유죄 판결 자체에 대한 이의는 제기할 수 없다.

#보호감호#상고#유죄판결#별개

형사판례

보호감호 기간과 상고이유에 대한 오해와 진실

보호감호 기간이 길다는 이유만으로는 상고할 수 없으며, 범죄 사실에 대한 상고를 포기하고 보호감호 부분만 상고하는 경우, 범죄 사실 인정 과정의 문제를 상고 이유로 삼을 수 없다.

#보호감호#상고기각#기간#범죄사실인정

형사판례

보호감호 기간과 상고이유에 대한 대법원 판단

이 판례는 보호감호 처분의 기간을 정하지 않고 선고하는 것이 위헌인지, 그리고 범죄사실에 대한 상고를 포기한 경우 보호감호 처분에 대한 상고이유로 범죄사실 인정의 오류를 주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기간 미정의 보호감호 처분은 위헌이 아니며, 범죄사실에 대한 상고를 포기한 경우 그 인정의 오류를 보호감호 상고이유로 삼을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보호감호#기간미정#위헌성#상고이유제한

형사판례

착오로 상고 취하했는데, 다시 재판받을 수 있을까요?

보호감호 선고를 받은 피고인이 교도관의 잘못된 정보를 듣고 상고를 취하했지만, 판결문을 확인하지 않고 성급하게 취하한 본인의 과실이 인정되어 상고 취하를 무효로 볼 수 없다는 판결.

#상고취하#착오#본인과실#무효

형사판례

형량이 부당하다고만 항소했다면, 사실관계 다툼으로 상고는 어려워요!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형량이 너무 무겁거나 가볍다는 이유로만 항소했는데, 항소심에서 기각된 경우, 대법원 상고 단계에서는 사실관계를 다툴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항소#형량#사실관계#상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