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3누10828
선고일자:
199403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표준지인 토지의 공시지가에 대한 불복방법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 제4조 제1항에 의하여 표준지로 선정되어 공시지가가 공시된 토지의 공시지가에 대하여 불복을 하기 위하여는 같은 법 제8조 제1항 소정의 이의절차를 거쳐 처분청인 건설부장관을 피고로 하여 위 공시지가 결정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하여야 한다.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 제4조 제1항, 제8조
【원고, 상고인】 은진송씨 참판공(청죽당)파 종중 【피고, 피상고인】 대전직할시 동구청장 【원심판결】 대전고등법원 1993.4.16. 선고 92구65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의 상고이유를 본다(상고이유서제출기간경과 후에 제출된 보충상고이유서 기재의 상고이유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한도 내에서 판단한다). 1. 대전 동구 (주소 1 생략) 토지 부분에 관한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은, 원고 소유의 이 사건 토지 중 대전 동구 인동 83의 1 토지에 대하여는 건설부장관이 1992.3.2.자로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 제4조 제1항에 의하여 이를 표준지로 선정하여 1992. 1. 1.현재의 위 토지의 ㎡당 공시지가를 금 2,100,000원으로 공시하였으므로, 원고가 그와 같은 공시지가에 대하여 불복을 하기 위하여는 동법 제8조 제1항 소정의 이의절차를 거쳐 처분청인 건설부장관을 피고로 하여 위 공시지가 결정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하여야 할 것인데, 위와 같은 전심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 처분청이 아닌 대전 동구청장을 피고로 하여 제기한 이 사건 소는 부적법하다고 판단하였는바, 관계법령의 규정과 기록에 의하여 살펴볼 때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된다. 그런데 소론은 원고의 이 사건 소가 적법함을 전제로 피고의 개별토지가격결정의 적정성을 다투고 있으니, 이는 필경 원심의 판결취지를 잘못 이해하였거나 행정소송의 대상을 오해한데서 비롯된 것으로서 더 나아가 살필 필요없이 이유 없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2. 대전 동구 (주소 2 생략) 토지 부분에 관한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대전 동구 (주소 2 생략) 토지에 대한 이 사건 개발토지가격결정은 표준지의 선정, 토지가격비준표에 의한 가격조정율의 적용 기타 그 가격산정 방법에 아무런 잘못이 없어 그 가격결정이 적법하다고 하였는바, 관계법령의 규정과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나 채증법칙 위배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우만(재판장) 김용준 천경송(주심) 안용득
일반행정판례
표준지 공시지가에 불만이 있을 경우, 바로 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정해진 이의신청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일반행정판례
개별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는 경우, '재조사청구'와 '행정심판' 중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그리고 그 절차는 어떤 효력을 갖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특히 재조사청구의 성격과 기간, 그리고 이의제기 의도가 불명확할 경우의 해석에 대해 다룹니다.
일반행정판례
개별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는 경우 이의신청 후 행정심판을 거쳐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이때 행정소송 제기 기간은 행정심판 재결서를 받은 날부터 시작됩니다.
일반행정판례
땅값(개별 공시지가)에 이의가 있어 소송을 낼 때, 그 기준이 되는 표준지의 공시지가에 대한 문제는 이 소송에서 다룰 수 없고, 별도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또한, 개별 땅값을 정할 때 세금 계산 기준이 되는 가격과 차이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위법한 것은 아니다.
일반행정판례
개별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는 경우, 그 산정 기준이 된 표준지 공시지가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할 수 있는지, 그리고 비교표준지 변경 자체가 위법한지, 개별공시지가가 부당하다는 것을 누가 입증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결론적으로, 표준지 공시지가에 이의가 있으면 별도의 행정소송을 제기해야 하고, 비교표준지 변경 자체는 위법이 아니며, 개별공시지가가 부당하다는 것은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입증해야 합니다.
세무판례
표준지 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는 경우, 재산세 부과처분 취소소송에서 바로 다툴 수 없고 정해진 절차(국토부 이의신청 또는 행정소송)를 따라야 합니다. 또한, 건물 시가표준액이 감정가액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는 위법하다고 볼 수 없으며, 구체적인 산정 기준 적용의 적정성을 따져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