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지초과소유부담금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3누20498

선고일자:

199402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이른바 맹지가 택지초과소유부담금 부과대상인지 여부 나. 건축법상 건축과 관련한 노폭 등의 제한규정과 주위토지통행권

판결요지

가. 주위가 모두 다른 사람 소유의 토지로 둘러싸여 도로에 접하는 부분이 전혀 없는 이른바 맹지는 건축법상의 건축허가를 할 수 없는 토지이므로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 제20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건축법에 의하여 주택의 건축이 금지된 나대지"에 해당하여 택지초과소유부담금 부과대상에서 제외된다. 나. 건축법에 건축과 관련하여 도로에 관한 폭 등의 제한규정이 있다 하더라도 이는 건물 신축이나 증 개축 허가시 그와 같은 범위의 도로가 필요하다는 행정법규에 불과할 뿐 위 규정만으로 당연히 포위된 토지 소유자에게 그 반사적 이익으로서 건축법에서 정하는 도로의 폭이나 면적 등과 일치하는 주위토지통행권이 바로 생긴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가.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 제20조 제1항 제3호 / 나. 민법 제219조, 건축법 제2조 제11호, 제33조 제1항, 제8조 (1993.8.5. 법률457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항, 건축법시행령 제3조 제4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90.6.26. 선고 90누2741 판결(공1990,1618) / 나. 대법원 1990.8.28. 선고 90다카10091,10107 판결(공1990,2021), 1991.5.28. 선고 91다9961,9978 판결(공1991,1766), 1991.6.11. 선고 90다12007 판결(공1991,1898)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서울특별시 서초구청장 소송대리인 변호사 신선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8.17. 선고 93구734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주위가 모두 다른 사람 소유의 토지로 둘러싸여 도로에 접하는 부분이 전혀없는 이른바 맹지는 건축법상의 건축허가를 할 수 없는 토지이므로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 제20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건축법에 의하여 주택의 건축이 금지된 나대지"에 해당하는 택지초과소유부담금 부과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할 것이고, 한편 민법상의 주위토지통행권은 주위토지소유자의 그 토지에 대한 독점적 사용권을 제한하는 권리로서 인접한 토지소유자간의 이해를 조정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사람이 출입하고, 다소의 물건을 공로로 운반할 정도의 폭만 확보할 수 있다면 주위토지소유자의 손해가 가장 적은 장소와 방법을 선택하여야 하는 것이고, 이에 더 나아가 위요지소유자에게 장래 그 토지에 건축을 할 것에 대비하여 건축허가에 필요한 폭의 통행로를 미리 보장하고 주위토지소유자로 하여금 이를 수인하도록 하는 것까지를 그 내용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당원 1991.5.28. 선고 91다9961,9978 판결 참조). 또한 건축법에 건축과 관련하여 도로에 관한 폭 등의 제한규정이 있다 하더라도 이는 건물 신축이나 증 개축 허가시 그와같은 범위의 도로가 필요하다는 행정법규에 불과할 뿐 위 규정만으로 당연히 포위된 토지 소유자에게 그 반사적 이익으로서 건축법에서 정하는 도로의 폭이나 면적 등과 일치하는 주위토지통행권이 바로 생긴다고 할 수도 없다(당원 1991.6.11. 선고 90다12007 판결 참조).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택지는 취득당시부터 도로에 접하지 않은 이른바 맹지로서 건축법상 건축허가를 받을 수 없는 토지이어서 이는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 제20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건축법에 의하여 건축이 금지된 나대지에 해당되어 택지초과소유부담금 부과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판단한 다음, 나아가 원고가 민법상의 주위토지통행권을 취득하여 건축할 수 있는데도 주위토지통행권에 의한 통로개설을 위한 아무런 노력을 기울이지 아니하고 그대로 방치하여 왔으므로 이는 법령에 의하여 건축이 금지된 나대지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하는 피고의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김상원(주심) 윤영철 박준서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맹지에 건물 짓기, 어디까지 허용될까? - 주위토지통행권과 건축법의 관계

맹지(도로와 연결되지 않은 땅)에 건물을 지으려면 이웃 땅을 지나갈 권리(주위토지통행권)가 필요한데, 그 통행로의 폭은 건축법에서 정한 도로 폭과 같아야 하는 건 아니지만, 건축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는 판결.

#맹지#주위토지통행권#통행로 폭#건축법

일반행정판례

맹지, 집 지을 수 없으면 '택지소유상한제' 적용 대상?

도로와 연결되지 않은 맹지에 건축 허가를 받을 수 있는 통로가 없다면, 주택 건축이 법적으로 금지된 땅으로 간주한다는 판결입니다.

#맹지#건축금지#통로#건축법

민사판례

맹지, 내 땅인데 왜 마음대로 못 써? - 주위토지통행권 이야기

이웃 땅을 지나가는 통행권은 원칙적으로 땅을 나눈 사람과 땅을 받은 사람 사이에서만 효력이 있으며, 그 후 땅 소유자가 바뀌면 새로운 소유자에게는 주장할 수 없다. 또한, 건축법상 도로 규정이 있다고 해서 맹지 소유자가 건축법상 도로 폭과 같은 통행권을 자동으로 갖는 것은 아니다.

#맹지#통행권#무상통행권 승계#건축법상 도로

민사판례

맹지에 갇혔어요! 내 땅에 가려면 남의 땅을 지나가야 한다면? 주위토지통행권 완벽 정리!

맹지에 아파트를 건설하려는 조합이 이웃 토지에 6m 폭의 진입로를 요구했지만, 법원은 현재 토지 이용 상황을 고려하여 제한된 범위의 통행권만 인정하고, 배수로 철거 의무는 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진입로 개설 및 유지 비용은 맹지 소유자가 부담해야 합니다.

#맹지#주위토지통행권#진입로#범위

민사판례

맹지에 둘러싸인 내 땅, 어떻게 드나들지? 주위토지통행권 이야기

이웃 땅을 지나다니는 길의 권리(주위토지통행권)는 원래 땅 주인끼리 정한 약속이 제3자에게는 효력이 없고, 현재 필요한 만큼만 인정되며, 미래의 상황을 고려하여 더 넓은 길을 요구할 수는 없다.

#주위토지통행권#제3자 효력 없음#현재 필요#미래 고려 불가

일반행정판례

맹지에 집을 지을 수 있을까요? 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과 건축법 이야기

다른 사람 땅에 둘러싸인 맹지라도 도로와 연결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건축이 가능하고, 택지초과소유부담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맹지#건축#도로#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