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등

사건번호:

93누9460

선고일자:

199309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소송상 청구금액을 감축한다는 것의 의미 나. 소취하에 대한 동의 및 동의거절을 묵시적으로 할 수 있는지 여부 다. 일부소취하 및 청구감축에 대한 동의가 없음을 간과하여 이의재결에서의 보상액 중 과다부분을 공제하지 아니한 채 과소부분만을 합하여 지급을 명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가. 소송상 청구금액을 감축한다는 것은 소의 일부취하를 뜻한다. 나. 소취하에 대한 피고의 동의 및 동의의 거절은 반드시 명시적으로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묵시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다. 일부소취하 및 청구감축에 대한 동의가 없음을 간과하여 이의재결에서의 보상액 중 과다부분을 공제하지 아니한 채 과소부분만을 합하여 지급을 명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참조조문

가.나. 민사소송법 제239조 제2항 / 다. 구 토지수용법(1991.12.31 법률 제44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6조 제2항, 제75조의2 제2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3.8.23. 선고 83다카450 판결(공1983,1415) / 다. 대법원 1992.9.8. 선고 92누5331 판결(공1992,2898)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의령남씨 의랑공파 종중 【피고, 상고인】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외 1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홍익법무법인 담당변호사 김정규 외 6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3.17. 선고 91구6414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소송상 청구금액을 감축한다는 것은 소의 일부취하를 뜻하는 것이고(당원 1983.8.23. 선고 83다카450 판결 참조),민사소송법 제239조 제2항에 의하면 피고가 본안에 관하여 응소한 때에는 소의 취하에 피고의 동의가 있어야 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바, 소취하에 대한 피고의 동의 및 동의의 거절은 반드시 명시적으로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묵시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피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가 원고에 대하여 1991.2.23.자로 원심판결 별지1목록 기재 1 내지 8 토지에 관하여 한 이의신청에 대한 재결처분을 취소하고 피고 한국도로공사에 대하여 금 2,646,947,000원 및 그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구하였다가, 원심 감정인 소외인의 감정평가결과 이의재결시의 보상액에 비하여 위 목록의 1 내지 5 토지는 그 보상액이 증가되었으나 6, 7, 8 토지는 오히려 감소되자, 원고 소송대리인은 1993.1.12. 위 6, 7, 8 토지에 대한 수용재결취소 및 금원지급청구의 소를 취하하는 내용의 소일부취하서를 원심법원에 제출하여 같은 달 13. 제15차 변론기일에 피고들 소송대리인에게 송달되었고, 한편 같은 달 27. 제16차 변론기일에서, 원고 소송대리인은 위 6, 7, 8 토지를 제외한 나머지 토지에 대한 이의재결의 취소 및 그 보상액 금 29,218,650원의 지급을 구하는 취지의 같은 달 26.자 청구취지감축신청서를 진술하였고, 피고들 소송대리인은 이의재결은 적법하며 가사 원심 감정인의 감정결과에 따른다 하더라도 위 1 내지 8 토지의 항목 상호간의 유용을 허용하여 과다부분과 과소부분을 합산하여 보상금계액을 합산하면 정당보상액은 이의재결시의 보상액에 비하여 금 13,435,450원만이 증가된다고 주장하는 취지의 같은 달 25.자 준비서면을 진술한 사실이 인정된다. 그런데 원심판결은 그 이유에서, 위 3필지의 토지는 원고의 소취하로 소송의 대상에서 제외되었음을 전제로 하여 나머지 토지에 대하여만 판단하면서, 이 사건 이의재결의 기초가 된 ○○, △△ 두 평가사합동사무소의 감정평가가 법령의 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평가된 것으로 볼 수 없으니 그 평균액을 보상액으로 정한 이 사건 이의재결이 위법한 것이라고 판단한 다음, 보상금의 증감에 관한 판단부분에서 위 나머지 토지에 관하여 이의재결에서 정한 보상금이 원심 감정인의 평가액보다 과소평가되었다 하여 피고 한국도로공사에게 원고가 구하는 위 과소부분 합계액의 지급을 명하고 피고의 위 항목 상호간의 유용에 관한 항변을 배척하였다. 그러나 기록상 피고들 대리인이 원고의 위 일부소취하 및 청구감축에 대하여 명시적으로든 또는 묵시적으로든 동의를 하였다는 흔적을 찾아볼 수 없고, 오히려 피고들 대리인은 위 준비서면에서 이 사건 3필지의 토지에 대하여 이의재결에서 정한 보상액이 원심 감정인의 감정결과에 따른 정당한 보상액보다 합계 금 15,783,200원이나 과다하게 재결되었으므로 나머지 토지에 대한 정당보상액과 이의재결보상액의 차액에서 위 3필지의 토지에 대하여 과다재결된 금액을 공제하여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묵시적으로 위 일부취하 및 청구감축에 대한 동의를 거절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원고 소송대리인의 위 일부소취하 및 청구감축은 소취하로서의 효력이 없으므로 위 3필지에 대한 소송은 여전히 계속중이라 할 것임에도 원심은 위 3필지가 소송의 대상에서 제외되었음을 전제로 이의재결에서의 과다부분(이의재결에서 과다재결한 위 3필지에 대한 합계 금 15,783,200원)을 공제하지 아니한 채 오로지 과소부분(이의재결에서 과소재결한 나머지 토지들에 대한 합계 금 29,218,650원)만을 합하여 그 지급을 명하고 있는 바, 이는 민사소송법 제239조 제2항 소정의 일부소취하 및 이에 대한 피고의 동의의 거절에 관한 법리 또는 토지수용법 제75조의2 제2항 소정의 보상금증감에 관한 소의 소송물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고, 이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재호(재판장) 배만운 김석수(주심) 최종영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송 중 청구금액 감액과 법원의 절차

소송 중 원고가 청구금액을 줄였는데, 법원이 상대방(피고)의 동의를 확인하지 않고 원래 청구금액대로 판결을 내려서 절차상 위법하다는 판례입니다.

#청구금액 감액#소 일부취하#피고 동의#절차 위반

민사판례

소송 도중 취하하거나 청구금액을 줄이면 소송비용은 어떻게 될까?

소송 중 일부만 취하하거나 청구 금액을 줄이면, 취하/감축된 부분과 남은 부분의 소송비용을 별도로 계산해야 합니다.

#소송비용#일부취하#청구감축#별도계산

일반행정판례

토지보상금, 항목별로 따로 소송할 수 있을까?

토지보상 재결에 불복할 때 모든 항목에 대해 다툴 필요 없이 일부 항목만 골라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법원은 소송 대상 항목들 간에 금액을 더하고 빼서 최종 보상금을 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송 중에 토지 소유자나 사업시행자가 불리한 항목에 대한 청구를 철회하더라도, 상대방은 해당 항목을 보상금 계산에 포함시켜 달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토지보상금#재결#부분불복#보상항목 유용

일반행정판례

토지보상금 증액 청구 소송에서 일부청구와 항소이익에 대한 대법원 판단

토지보상금 증액 소송에서 처음 소송을 제기할 때 일부만 청구했더라도, 그게 명시적인 일부청구였다면 나중에 별도의 소송 없이도 항소심에서 청구금액을 늘릴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왜냐하면, 법에서 정한 소송 제기 기간 안에 일부 청구를 했다면, 나중에라도 기간이 지나기 전까지는 추가 소송을 통해 나머지 금액을 청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토지보상금#증액청구#일부청구#항소이익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보상금, 제대로 알고 받자!

토지 수용 시 보상금 증감 청구 소송은 사업시행자도 함께 피고가 되어야 하며, 보상금은 수용 당시의 토지 상황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하고, 최종 확정된 보상금과 기존 지급액의 차액에 대해서는 지연손해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토지수용#보상금#증감청구소송#사업시행자

일반행정판례

토지보상금 증액 소송, 제대로 알고 진행해야 합니다!

토지수용으로 인한 손실보상금을 더 받기 위한 소송은 법에서 정한 절차를 따라야 하며, 그 절차를 지키지 않으면 소송 자체가 부적법합니다.

#토지수용#보상금#소송절차#부적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