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3다14783
선고일자:
199307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매수인이 매도인에게 하자 있는 매매목적물을 하자 없는 물건으로 교환하여줄 것을 청구할 권리가 있다고 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매수인이 매도인에게 하자 있는 매매목적물을 하자 없는 물건으로 교환하여 줄 것을 청구할 권리가 있다고 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민법 제581조
【원고, 상고인】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임동진 외 1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3.2.10. 선고 92나30114 판결 【주 문】 원심판결중 원고의 패소부분을 파기한다. 이 부분에 관하여 사건을 서울민사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원고소송대리인들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1. 원심은, 원고가 1989.9.12. 피고 1에게 피고 2의 연대보증하에 원고 회사의 제품인 이 사건 중기(미니도자 1대)를 대금 28,000,000원에 매도하면서, 계약금 3,400,000원은 그날, 인도금 5,000,000원은 10.12.에, 잔대금 19,600,000원은 1989.11.13.부터 36개월에 걸쳐 매월 13일에 금 705,600원씩 분할하여 지급받기로 약정한 사실, 원고가 피고 1로부터 할부대금 중 1회부터 16회분까지 합계 금 11,289,600원을 지급받은 사실, 위 피고가 1989.10.12.경 이 사건 중기를 인도받아 사용한 지 2개월만에 위 중기의 프레임부분이 부러져 12.10.경 원고로부터 1차 수리를 받고, 1990.3.10.경 같은 부분이 다시 부러져 재차 수리를 받았으나, 1990.12.5.경 같은 부분이 또 다시 부러진 사실, 프레임부분은 도자의 중요한 부분이어서 그곳이 부러지면 도자의 성능을 전혀 발휘할 수 없는 사실, 위 피고는 원고에게 새로운 물건으로 교환하여 줄 것을 요구하였으나 원고는 위 피고의 위와 같은 요구에 불응하고 다만 1991.8.경에 이르러 위 피고에게 부품을 공급하여 주면서 위 피고가 아는 정비공장에서 수리하도록 한 사실, 위 피고는 원고로부터 공급받은 부품과 함께 위 중기를 중기정비공장인 대일중기에 입고시키고 수리를 의뢰하였으나 아직까지 수리를 마치지 못하고 그대로 방치하고 있는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중기는 약 1년 2개월의 단기간에 핵심부분인 프레임부분이 3차례나 부러지는 등 당초부터 그 본래의 용도에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하자가 있는 물건이므로, 매수인인 위 피고로서는 민법 제581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매도인인 원고에게 하자 없는 물건으로 교환하여 줄 것을 청구할 수 있고, 나아가 민법 제583조 및 제536조의 규정에 따라 원고가 하자 없는 동종의 물건으로 교환하여 줄 때까지 잔대금의 지급을 거절할 수 있는 것이므로, 위 피고가 원고로부터 이 사건 중기와 동일한 종류의 중기를 인도받음과 동시에 피고들은 원고에게 이 사건 중기의 잔대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설시하고, 이어 원고와 위 피고는 1991.8.경 이 사건 중기의 하자보수문제의 처리와 관련하여 원고가 위 피고에게 시가 금 4,000,000원 상당의 프레임부품을 무상으로 공급하여 주면 위 피고가 이를 이용하여 자신이 아는 수리업체에 의뢰하여 하자보수를 끝내기로 약정한 바 있고 이에 따라 원고가 위 피고에게 위 부품을 무상으로 공급하였으므로 원고로서는 하자보수책임을 모두 이행한 것이라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판단하기를, 원고가 위 피고에게 새로운 프레임부품을 공급한 점만으로는 하자보수의무를 다하였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위 주장을 배척하였다. 2. 그러나 원고가 2회에 걸쳐 이 사건 중기의 프레임부분을 수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프레임부분이 또 다시 부러지자, 위 피고는 원고에게 같은 종류의 새로운 물건으로 교환하여 줄 것을 요구하였는데, 원고는 위 피고의 요구에 불응하고 다만 1991.8.경 위 피고에게 프레임부품을 공급하면서 위 피고가 아는 정비공장에서 수리하도록 한 사실, 위 피고는 원고로부터 공급받은 부품과 함께 위 중기를 중기정비공장인 대일중기에 입고시키고 수리를 의뢰하였으나 아직까지 수리를 마치지 못하고 그대로 방치하고 있는 사실 등은 원심도 인정한 바이고, 또 원심이 채용한 제1심증인 소외 1 및 원심증인 소외 2의 각 증언에 의하면, 위 피고는 당초 원고에게 원고가 직영하는 정비공장에서 프레임부분을 수리하여 달라고 요구하였다가 원고측으로부터 직영정비공장의 사정상 위 피고가 원하는 기간 내에는 수리가 불가능하다는 대답을 듣고서는 그렇다면 자신이 직접 잘 아는 정비공장에 맡겨 수리하겠다고 하면서 시가 금 4,000,000원 상당의 프레임부품 등을 인도받아 간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사실관계가 이와 같다면, 원고와 위 피고 사이에 원고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원고가 프레임부품을 무상으로 공급하여 줌으로써 이 사건 중기의 하자보수문제를 매듭짓기로 약정이 되었다고 까지는 보기 어려울지 모르지만, 적어도 위 피고가 원고로부터 공급받은 프레임부품을 이용하여 자신의 책임하에 중기의 수리를 마치고 그 결과 중기의 사용에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 같은 종류의 새로운 물건으로 교환하여 달라는 청구는 하지 않기로 약정이 된 것으로는 볼 여지가 있고, 또 특별한 다른 사정이 없는 한 그렇게 보는 것이 형평의 이념이나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합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다면 원심으로서는 이 사건 중기가 수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이유가, 원고가 공급한 프레임부품으로는 수리가 불가능하다는 등 원고측이 책임질 사유 때문인지, 그렇지 않으면 위 피고의 태만 등 피고들측이 책임질 사유 때문인지를 밝혀 보아 원고의 위 주장이 이유가 있는 것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였어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이 점을 밝히지 아니한 채 막연히 원고가 위와 같이 위 피고에게 프레임부품을 공급한 점만으로는 원고가 하자보수의무를 모두 이행하였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위 주장을 배척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심리를 제대로 하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고, 이와 같은 위법은 판결에 영향을 미친 것임이 분명하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가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중 원고의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에 관하여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김주한 김용준(주심) 천경송
민사판례
자동차를 샀는데 계기판 속도계가 고장 났다. 소비자가 신차 교환을 요구했지만, 법원은 수리가 간단하고 비용도 적게 드는 경미한 하자이므로 신차 교환은 과도한 요구라고 판결했다.
상담사례
농기계 부품 하자로 교환을 요구했으나 판매자 부도로 새 부품을 구매한 경우, 6개월이 지났더라도 기존 교환 요구(완전물급부청구권 행사)를 근거로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상담사례
하자 있는 제품을 할부로 구매했고 판매자가 하자를 해결해주지 않는다면, 할부금 지급을 거부하고 하자 없는 제품으로의 교환을 요구할 수 있으며, 부당한 지급명령 신청에는 이의신청으로 대응 가능하다.
민사판례
하도급 받은 제품에 일부 하자가 있더라도, 계약의 주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고 최종 공정까지 마쳤다면 일이 완성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하도급 업체는 잔금을 청구할 수 있다. 최종 검수는 단순한 기한이므로, 원도급 업체가 검수를 거부하더라도 잔금 지급 의무는 발생한다.
민사판례
구조 변경된 중고 화물차를 구입한 원고가 차량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자 매매계약 해제를 요구했고, 대법원은 원고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수리 비용이 매매대금의 40%에 달하는 등 하자의 정도가 심각하여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민사판례
주문 제작된 자동차 부품에 하자가 발생했을 때, 제작업체는 하자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지만, 부품을 납품받은 업체에도 하자 확인을 소홀히 한 과실이 있다면 손해배상액이 조정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