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보존등기말소등

사건번호:

93다29181

선고일자:

199310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토지조사령에 따라 조제된 지적원도에 소유자로 성명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그 사람이 토지를 사정받은 것으로 추정되는지 여부

판결요지

어떤 토지의 지적원도에 어떤 사람의 성명이 기재되어 있는 사실이 인정된다면, 그와 같은 사실은 그 사람이 그 토지의 소유자로 사정을 받은 것으로 짐작케 하는 유력한 자료가 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토지의 지번·지목·지적·소유자 등 토지의 조사에 관한 사항을 토지조사부에 기재하는 외에 지적원도에 지번·지목·지적과 함께 소유자의 성명까지 병기한 것은 법령의 근거 없이 행정의 편의를 위하여 한 것으로 보이므로, 지적원도에 사람의 성명이 기재되어 있는 사실만으로 그 사람이 그 토지의 소유자로 사정을 받은 사실이 추정된다고 볼 수는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187조, 토지조사령(1912.8.13. 제령 제2호) 제9조, 제15조, 같은령시행규칙 제3조, 조선총독부임시토지조사국조사규정 제31조 제32조, 조선총독부임시토지조사국측량규정 제2조 제7조 제46조 제51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3.5.12. 선고 92나14860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사건을 서울민사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피고들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판단한다. 1. 원심은, 이 사건 분할 전 토지[강원 철원군 (주소 생략) 전 890평]에 관하여 조선총독부의 토지조사령 당시인 1915. 측도착수하여 1916. 측도완성한 토지조사반의 지적원도상에 원고의 조부인 망 소외인의 이름이 그 소유자로 병기되어 있는 사실을 인정한 다음, 그렇다면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 사건 분할전 토지는 망 소외인의 명의로 사정되어 그 사정이 확정되었던 것으로 봄이 상당하다고 판단하였다. 2. 그러나 토지조사령(1912.8.13. 제령 제2호, 이 뒤에는 “령”이라고 약칭한다), 토지조사령시행규칙(이 뒤에는 “규칙”이라고 약칭한다), 조선총독부임시토지조사국조사규정(이 뒤에는 “조사규정”이라고 약칭한다), 조선총독부임시토지조사국측량규정(이 뒤에는 “측량규정”이라고 약칭한다)에 의하면, 임시토지조사국장은 령 제4조·규칙 제1조·조사규정 제10조 등의 규정에 의한 토지소유자 등의 신고를 받아, 령 제6조 내지 제8조 등의 규정에 의한 토지의 조사 및 측량을 마쳤을 때는 토지조사부를 조제하고(조사규정 제31조), 토지조사부와 측량규정 제7장의 지적도의 조제를 마쳤을 때에는 이를 도지방토지조사위원회에 제출하여 그 자문을 거쳐 토지의 소유자 및 그 경계를 사정한 다음 30일간 이를 공시하고 종람(縱覽)에 공하여야 하는바(령 제9조, 시행규칙 제3조, 조사규정 제32조), 토지소유자의 권리는 사정의 확정 또는 사정에 대한 불복신청에 관한 재결에 의하여 확정되고(령 제15조), 토지를 측량함에 있어서는 대삼각측량·소삼각측량·도근측량 등의 기초측량과 아울러 세부측량을 하여 이에 따라 지적원도, 일람도 등을 조제하고(측량규정 제2조 내지 제7조, 제46조), 지적원도를 등사하여 측량규정 제7장의 규정에 의한 지적도를 조제하도록 규정되어 있을 뿐(측량규정 제51조), 토지측량의 결과에 따라 조제된 지적원도에 소유자의 성명을 기재하도록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다만 조선임야조사령시행수속 제51조에 의하면 임야에 대하여는 원도에 소유자 또는 국유임야의 연고자의 씨명·명칭을 기재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은 관계법령의 규정내용에 의하면 토지의 측량은 토지의 소유자 및 경계 등의 조사와 동시에 또는 그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토지측량의 결과에 따라 조제된 지적원도에 의하여 조제되는 지적도는 토지조사부와 함께 토지의 소유자 및 경계를 사정하는 기초자료가 되는 것이므로, 이 사건의 경우와 같이 어떤 토지의 지적원도에 어떤 사람의 성명이 기재되어 있는 사실이 인정된다면, 그와 같은 사실은 그 사람이 그 토지의 소유자로 사정을 받은 것으로 짐작케 하는 유력한 자료가 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토지의 지번·지목·지적·소유자 등 토지의 조사에 관한 사항을 토지조사부에 기재하는 외에 지적원도에 지번·지목·지적과 함께 소유자의 성명까지 병기한 것은 법령의 근거없이 행정의 편의를 위하여 한 것으로 보이므로, 지적원도에 사람의 성명이 기재되어 있는 사실만으로 그 사람이 그 토지의 소유자로 사정을 받은 사실이 추정된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토지조사령에 따라 조제된 지적원도에 망 소외인의 성명이 소유자로 병기되어 있다는 사실만으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 사건 분할 전 토지는 위 망인의 명의로 사정되어 그 사정이 확정되었던 것으로 봄이 상당하다고 판단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토지조사령에 의한 토지의 사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고, 이와 같은 위법은 판결에 영향을 미친 것임이 분명하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가 있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는 판단하지 아니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위 망인이 이 사건 분할 전 토지의 소유자로 사정을 받은 사실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김주한 김용준(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옛날 지적원도에 이름 있다고 내 땅? 쉽게 알아보는 토지 소유권

일제강점기 토지조사 때 만들어진 지적원도에 이름이 적혀있더라도, 그것만으로 그 사람이 땅 주인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라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지적원도#토지소유권#증거#대법원 판결

민사판례

옛날 지적원도에 이름이 있다면? 내 땅이라는 증거가 될까?

일제 강점기 때 만들어진 지적원도에 이름이 적혀 있다고 해서 그 사람이 바로 땅 주인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땅 주인으로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는 된다는 판결입니다. 다른 증거들과 함께 고려해서 최종 판단해야 합니다.

#일제시대#지적원도#토지소유권#토지조사부

민사판례

옛날 지적원도에 이름 있다고 내 땅? 그렇게 간단하지 않아요!

일제강점기 토지조사 당시 만들어진 지적원도에 이름이 있다고 해서 그 사람이 땅 주인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지적원도#토지소유권#일제강점기#토지조사령

민사판례

옛날 지도에 이름 있다고 내 땅? 그렇게 쉽지 않아요!

일제시대 만들어진 임야원도에 누군가의 이름이 적혀있다고 해서 그 사람이 땅 주인으로 인정받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일제시대#임야원도#소유권#증거불충분

민사판례

토지조사부에 이름이 있다고 무조건 내 땅? 숨겨진 진실!

일제시대 토지조사부에 소유자로 등록된 사람은 추가적인 반증이 없는 한 토지 사정을 받아 소유권을 확정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단, 토지조사부만으로 소유권을 확정적으로 증명하는 것은 아니다.

#토지조사부#소유자#추정력#반증

민사판례

100년 전 토지 소유권, 증명하려면? 꼼꼼한 증거 제시가 필수!

일제강점기 토지조사부에 소유자로 등록된 사람의 후손이 상속을 통해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려면, 조상과 토지조사부상 소유자가 동일 인물임을 **명확하게 증명**해야 합니다. 단순히 이름과 과거 주소가 비슷하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토지 취득 경위, 사용 및 관리 내역 등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일제강점기#토지조사부#소유권#상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