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반환

사건번호:

93다61222

선고일자:

199408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도로부지의 자주점유 추정

판결요지

취득시효에 있어서의 자주점유의 요건인 소유의 의사는 객관적으로 점유권원의 성질에 의하여 그 존부를 결정하는 것이나 다만 그 점유권원의 성질이 분명하지 않을 때에는 민법 제197조 제1항에 의하여 자주점유로 추정되는바, 위와 같은 자주점유의 추정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점유하는 도로의 경우에도 적용되는 것이고 그 도로개설 당시 도로법이나 도시계획법 등 관계법령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적법하게 점유권원을 취득한 사실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이 사실만으로 자주점유의 추정이 번복되어 그 점유권원의 성질상 타주점유라고 볼 수는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197조 제1항, 제245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2.6.9. 선고 92다8446 판결(공1992,2125), 1993.1.26. 선고 92다50775 판결(공1993상,866), 1993.4.13. 선고 92다45506 판결(공1993상,1386)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광주직할시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3.11.19. 선고 93나569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뒤에 제출한 상고이유보충서에 기재된 보충상고이유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한도 내에서)에 대하여 판단한다. 취득시효에 있어서의 자주점유의 요건인 소유의 의사는 객관적으로 점유권원의 성질에 의하여 그 존부를 결정하는 것이나 다만 그 점유권원의 성질이 분명하지 않을 때에는 민법 제197조 제1항에 의하여 자주점유로 추정되는바 위와 같은 자주점유의 추정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점유하는 도로의 경우에도 적용되는 것이고, 그 도로개설 당시 도로법이나 도시계획법 등 관계법령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적법하게 점유권원을 취득한 사실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이 사실만으로 자주점유의 추정이 번복되어 그 점유권원의 성질상 타주점유라고 볼 수는 없는 것이다(당원 1992.6.9.선고 92다8446 판결 참조).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판시사실을 인정한 다음 전라남도와 피고의 이 사건 토지에 대한 점유는 자주점유로 추정되므로 1945.8.15.경부터 기산하여 20년이 경과한 날에 이 사건 토지에 대한 피고의 점유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고 판단하였는바 관계증거 및 기록과 위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소론이 내세우는 당원의 판결들은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한 것이 아니다. 논지는 모두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성택(재판장) 천경송 안용득(주심) 지창권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땅을 국가가 도로로 쓰고 있다면? - 자주점유와 시효취득

국가나 지자체가 적법한 절차 없이 사유지를 도로로 사용했다면, 아무리 오랜 시간이 흘렀더라도 해당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다. 즉, 무단으로 도로에 편입시킨 경우 점유취득시효를 주장할 수 없다.

#점유취득시효#국가#지자체#무단 도로 편입

민사판례

국가가 도로로 쓰고 있다고 내 땅이 아닌 건 아니에요!

지목이 도로이고, 실제로 도로로 사용되고 있더라도, 국가가 주변 토지를 수용하여 도로를 확장하고 포장했다는 사실만으로는 국가가 그 땅을 시효취득했다고 볼 수 없다.

#도로#시효취득#국가#점유

민사판례

나라에서 내 땅을 도로로 쓰고 있다면? - 자주점유에 대한 이야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법적 근거 없이 사유지를 도로로 사용해왔더라도, 토지 소유권을 취득하기 위한 법적 절차를 밟지 않았다면 점유취득시효를 주장할 수 없다.

#점유취득시효#국가#사유지#도로

민사판례

나라 땅, 오랫동안 쓰면 내 땅 될까? - 자주점유와 취득시효에 대한 이야기

국가가 오랫동안 공공용으로 땅을 사용해 왔는데, 취득 관련 서류가 없더라도 무단 점유로 단정지어 취득시효를 부정해서는 안 된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전쟁 등으로 서류가 소실된 경우, 국가의 점유는 적법한 절차를 거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점유취득시효#국가#공공용지#서류소실

민사판례

내 땅인데, 국가가 도로로 쓰고 있다면? - 자주점유와 시효취득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정당한 절차 없이 사유지를 도로로 사용한 경우, 아무리 오랜 기간 사용했더라도 점유취득시효를 주장할 수 없다.

#점유취득시효#국가#사유지#도로

민사판례

국가가 사유지를 도로로 사용할 때, 그냥 가져갈 수 있을까?

국가가 사유지를 도로로 사용하면서 정당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면, 20년간 점유했다 하더라도 해당 토지를 시효취득했다고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하지만, 징발재산을 매수한 경우에는 등기부상 소유자가 실제 소유자가 아니더라도 국가의 소유권 취득을 인정함.

#국가 토지점유#취득시효#자주점유#정당한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