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물손괴

사건번호:

93도648

선고일자:

199308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민법(1990.1.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상 분묘에 부속된 비석의 소유자

판결요지

구 민법(1990.1.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상 분묘의 수호, 관리권은 망인의 호주상속인에게 있고, 분묘에 부속된 비석은 분묘와 일체를 이루는 제구로서 호주상속인의 소유로 된다.

참조조문

구 민법 (1990.1.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96조, 민법 제1008조의3

참조판례

대법원 1980.10.27. 선고 80다409 판결, 1985.11.12. 선고 84다카1934 판결(공1986,233), 1988.11.22. 선고 87다카414 판결(공1989,14)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3.2.12. 선고 92노792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형사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의 시부모인 망 B와 C를 안치한 분묘에 설치된 이 사건 비석이 피고인의 아들 소유가 아니라 이를 설치한 피고인의 시누이인 공소외 D 등 위 B의 자녀들의 소유임을 전제로 하여, 그것을 제거한 피고인의 행위가 타인의 재물을 손괴한 것에 해당한다고 보아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구 민법(1990.1.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상 분묘의 수호, 관리권은 망인의 호주상속인에게 있고, 분묘에 부속된 비석은 분묘와 일체를 이루는 제구(祭具)로서 호주상속인의 소유로 된다 할 것이므로, 원심이 위 분묘의 수호, 관리권을 가진 호주상속인이 누구인지와, 피고인의 행위의 위법성 유무를 심리 판단하지 아니한 채, D 등이 비석을 설치하였다는 사유만으로 그것이 이들의 소유라고 단정하고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것은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고 나아가 분묘에 설치된 비석 등의 소유권의 귀속에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쳤다 할 것이니,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논지는 이유가 있다. 이에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우만(재판장) 김상원 윤영철 박만호(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묘지에 비석 두 개? 누가 철거할 수 있을까?

이미 비석이 있는 묘지에 다른 사람이 비석을 추가로 설치했더라도, 먼저 설치한 사람이 나중에 설치된 비석의 철거를 요구할 권리는 없다. 또한, 묘지가 있는 땅 주인이라도 분묘기지권의 범위를 넘지 않는 비석 설치는 막을 수 없다. 분묘 관리는 원칙적으로 제사 주재자(보통 종손)의 권한이다.

#묘지#비석#분묘기지권#제사주재자(종손)

민사판례

묘지, 누구 땅인가요? 파헤쳐진 묘와 분묘기지권 이야기

조상의 묘가 있는 땅의 소유권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갔더라도, 후손이나 종중이 계속해서 묘를 관리해 왔다면 묘를 그 자리에 둘 권리(분묘기지권)를 인정받을 수 있다. 설령 묘가 일시적으로 훼손되었더라도 유골이 있다면 분묘기지권은 유지된다.

#분묘기지권#종중#임야#소유권이전

민사판례

묘지 철거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남의 땅에 설치된 분묘를 철거하려면, 단순히 묘를 설치한 사람이 아니라 실제로 그 묘를 관리하고 처분할 권한을 가진 사람을 상대로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종손이 그 권한을 가지지만, 종손이 제사를 주재할 수 없는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다른 사람이 그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분묘#철거#관리처분권#종손

민사판례

묘지 땅 분쟁, 소유권은 누구에게?

이 판결은 소송대리권 확인, 사문서 진정성립 입증 책임, 분묘기지 점유의 소유의사 추정 여부, 채권자대위소송의 적법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소송대리권#사문서 진정성립#분묘기지 점유#채권자대위소송

민사판례

묘지가 있는 땅, 누구 땅일까요? 분묘기지권과 지료에 대한 이야기

남의 땅에 분묘를 설치할 때 땅 주인의 동의를 받았다면, 땅 주인은 분묘기지권을 인정해야 합니다. 분묘기지권이란 묘지를 위해 타인 소유의 토지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이때, 땅 주인과 묘 관리자 사이에 지료(토지 사용료)에 대한 약정이 있었다면, 땅 주인이 바뀌더라도 그 약정은 유효합니다. 또한, 자신의 땅에 묘를 설치한 후 땅을 팔았더라도 이장 약정이 없었다면, 땅을 산 사람에게 지료를 지급해야 합니다.

#분묘기지권#지료#토지사용료#땅 주인

민사판례

묘지 철거, 누구에게 요구해야 할까? - 제사, 분묘 관리, 그리고 권리 남용

타인 소유의 땅에 설치된 분묘를 철거해달라는 소송에서, 누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야 하는지, 분묘기지권은 언제까지 유지되는지, 그리고 분묘 철거를 거부하는 것이 권리남용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분묘기지권#분묘철거#피고적격#관리처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