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3도799
선고일자:
199305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중앙선침범 사실의 인정에 있어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을 위배한 위법이 있다 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중앙선침범 사실의 인정에 있어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을 위배한 위법이 있다 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형사소송법 제308조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이원형외 1인 【원심판결】 광주지방법원 1993.2.26. 선고 92노141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광주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이 인정한 범죄사실에 의하면, 피고인은 1992. 5. 9. 1톤 화물트럭을 운전하여 영광에서 송정리 쪽으로 가는 하지고개 편도 1차선을 시속 약 65Km의 속도로 진행중, 피고인 진행 전방은 왼쪽으로 구부러진 길이고 오른쪽 도로변으로 피해자 유인수가 걸어 가고 있었으며, 피고인 진행의 전방 약 25m 거리 반대차선에서 피해자 김철기 운전의 광주 1너 5747 르망승용차가 왼쪽으로 구부러진 길에서 중앙선을 물은 채 진행하여 오는 것을 발견하였는바, 이러한 경우 운전업무에 종사하는 피고인으로서는 제동장치를 정확히 조작하여 서행하고 전방좌우 특히 반대차선에서 진행하여 오는 차량 및 위 유인수의 동태를 잘 살펴 안전하게 진행하여 사고를 미리 방지하여야 할 업무상의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황하여 제동장치를 제대로 조작하지 못하고 조향장치를 너무 오른쪽으로 조작하여 진행한 과실로 피고인 운전차량의 오른쪽 후사경부분으로 위 유인수의 왼쪽 팔부위를 충격하고, 다시 조향장치를 왼쪽으로 과대하게 조작하여 중앙선을 침범하여 피해자 김철기 운전의 승용차의 진로를 방해함으로써 그로 하여금 이를 피하여 조향장치를 오른쪽으로 조작하였다가 편도 1차선의 길이어서 도로에서 벗어날 위험을 느끼고 다시 조향장치를 왼쪽으로 조작하여 중앙선을 넘어가 피고인 운전차량 뒤 약 50m 거리에서 진행하여 오던 피해자 김원곤 운전의 전남 7아 9152호 12톤 카고트럭의 왼쪽 앞 범퍼부분을 위 승용차의 오른쪽 앞 펜더부분으로 충격하게 하여 피해자 김철기와 같은 피해자 운전의 승용차에 타고 있던 피해자 정천균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 등 이 사건 교통사고를 일으켰다는 것이다. 2. 기록에 의하여 원심이 들고 있는 증거를 보건대, 피고인은 경찰 이래 원심법정에 이르기까지 피해자 유인수의 왼쪽 팔부위를 충격한 후 핸들을 중앙선쪽으로 약간 틀어 피하기는 하였으나 중앙선을 침범하지는 아니하였다고 진술하고 있고, 다만 경찰에서의 김원곤과의 대질신문에서 약간의 중앙선 침범사실을 시인하였으나 이는 제1심이나 원심이 증거로 쓴 것이 아니다. 한편 피해자 유인수는 검찰 및 법정에서 자신은 피고인 운전의 차량에 어깨를 부딪혀 넘어진 일이 있을 뿐 이 사건 사고경위나 피고인의 중앙선 침범 여부는 알지 못한다는 것이어서 이것만 가지고 판시 사실을 유죄로 인정할 증거가 되지 못하고, 김순기, 정대균의 경찰에서의 진술과 이창호의 진술서는 사망한 피해자들의 유족으로서 사망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진술이거나 피해자의 가족으로서 피해사실을 확인하는 진술에 불과하며, 증인 임영섭의 법정진술은 그가 이 사건 교통사고를 조사한 담당경찰관으로서 그 당시의 사고현장 상황이나 관계인들이 한 진술의 내용에 관한 것을 진술한 것일 뿐 피고인의 중앙선 침범여부에 관한 직접증거가 되지 못하고, 제1심의 검증조서도 피고인이나 김원곤의 진술을 토대로 사고당시의 상황을 재현한 것일 뿐, 이들 증거가 피고인의 중앙선 침범이나 과실을 인정할 증거는 되지 못한다. 3. 그렇게 보면 원심이 든 증거 중 판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 유력한 증거로는 위 김원곤의 검찰 및 공판정에서의 진술뿐인 셈인데, 위 김원곤은 사고직후 경찰에서 “영광 쪽에서 송정리 쪽으로 사고장소를 시속 약 70Km 속도로 진행하여 가는데 앞서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피고인 운전의 화물차량이 도로 오른쪽에서 영광 쪽으로 걸어오는 노인의 오른쪽 팔을 차량 오른쪽으로 충격하면서 중앙선을 침범해 들어가자 송정리 쪽에서 영광 쪽으로 진행해 온 르망승용차가 이를 피하면서 제(김원곤) 차선으로 갑자기 들어와 제가 급제동을 하였으나 승용차가 앞 오른쪽 모서리부분으로 저의 차량 앞 왼쪽 모서리부분부터 오른쪽까지 스치며 충격하였다”고 진술하였고(수사기록 27면), 실황조사서도 위 김원곤의 진술을 토대로 하여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데(수사기록 8면), 그의 이와 같은 진술은 영광 쪽에서 송정리 쪽으로 가다가 왼쪽 팔을 피고인 운전의 차량에 부딪혔다는 피해자 유인수의 진술에 반하고, 또 그는 그 다음날 경찰에서 피고인과의 대질신문에서는 “피고인 운전의 화물차량이 노인(유인수)을 충격하면서 핸들을 왼쪽으로 조작 중앙선을 침범하자 맞은편에서 진행해 온 자가용 승용차가 이를 피하면서 제 차선으로 진행해 들어와 제 차량과 충돌하였는데 그 자가용 승용차가 화물차량을 피할 때 화물차량 앞부분으로 해서 중앙선을 진입해 들어온 것이 아니라 화물차량과 서로 교행하면서 바로 중앙선을 진입해 들어와 제 차량과 충돌한 것으로 생각이 된다”고 하여(수사기록 40면), 피해차량이 피고인 운전차량의 앞으로 중앙선을 침범하여 진입하여 들어왔다는 종전의 진술을 번복하였고, 그 후 다시 경찰, 검찰에서 “르망승용차를 사고 직전 발견치 못했으며 충격 후에야 제 차와 부딪혔다는 것을 알았고”, “전혀 보지도 않은 순간에 반대방향에서 진행해 오는 승용차가 저의 차선으로 45도 각도로 들어와 충격한 후에야 저의 차와 승용차가 충격한 것을 알게 되었다, 피고인 운행의 봉고차는 반대차선편 3분의 1 가량을 점하고 진행하다가 자기 차선 쪽으로 진행하였다”고 하여 피해차량의 진행방향을 자세히 보았다는 위의 진술을 다시 번복하고(수사기록 70면, 137-140면), 법정에서는 “피고인의 차량이 노인을 친 후 45도 정도로 급히 핸들을 왼쪽으로 꺽어 그 차량의 3분의 2 정도가 중앙선을 넘어갔다가 다시 진행차선으로 복귀하여 정차하였다”고 진술하여(공판기록 46면), 피고인 운전차량의 중앙선 침범정도에 대한 종전의 진술을 번복하는 등 그 진술에 일관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동인은 피고인과 반대 이해당사자이어서 그 진술의 객관적 신빙성이 담보되어 있다고 할 수 없고, 그의 검찰 및 법정에서의 진술에 의하면 그는 반대방향에서 오던 르망승용차를 사고 직전까지 발견치 못하였다가 충격 후에야 부딪힌 것을 알았다는 것인데 전방주시의무를 다하지 아니하여 반대방향에서 오던 피해차량을 사고 직전까지 보지 못하였다는 그가 이 사건 사고의 경위를 자세히 알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인지도 의문이다. 한편 그의 검찰진술에 의하면, 그는 앞에 사고가 난 것을 보고 브레이크를 밟으면서 중앙선에 그의 자동차의 뒤 타이어가 물리면서 진행하게 되었고 앞 바퀴는 중앙선을 넘지 않았다는 것이고(수사기록 138-9면), 이러한 사실은 자동차 바퀴의 스키드마크를 고려하여 당시 상황을 재현한 제1심법원의 검증결과에 의해서도 확인되고(공판기록 96-7면), 증인 임영섭의 제1심법정에서의 증언에 의하더라도 사고 직후 위 김원곤 운전의 자동차는 앞바퀴의 스키드마크는 오른쪽으로 조금 나와 있었고, 뒷바퀴의 스키드마크는 중앙선 쪽으로 약간 나와 있었다, 앞바퀴가 노견까지 나올 만큼 각이 지게 길을 가로지르듯이 정차하여 있었다는 것인바(공판기록 75면, 106면), 위 김원곤의 진술대로 반대쪽에서 진행하던 피해차량의 진행상황을 전혀 모른 상태에서 단순히 앞에서 사고가 난 것을 보고 브레이크를 밟은 것이라면 본능적으로 오히려 사고지점의 반대방향인 중앙선 쪽을 향하여 핸들을 틀었을 가능성이 많은데 사고가 난 방향으로 핸들을 틀어 정차한 것으로 되어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그가 중앙선 쪽으로 진행하다가 반대방향에서 진행하여 오던 피해차량을 피하기 위하여 사고지점으로 핸들을 틀어 정차하였을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고, 또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도로는 왕복 2차선(편도 1차선)의 도로로서 그 노폭은 포장부분이 6.6m(편도는 3.3m)이고 비포장의 노견이 0.7 내지 0.9Cm 정도에 지나지 아니한바, 공소사실 자체에 의하더라도 피고인은 피해차량이 먼저 중앙선을 물은 채 침범하여 진행하여 오므로 이를 피할 의도에서 조향장치를 오른쪽으로 너무 조작하여 위 유인수의 왼쪽 팔 부위를 충격하였다는 것이고, 그 순간 이번에는 위 유인수를 피할 의도에서 다시 조향장치를 왼쪽으로 조작하였다는 것인데, 이 사건과 같은 좁은 도로에서 피해차량이 피고인의 차량을 피하여 갈 수 있는 정도라면 피해자 김철기로서는 르망승용차를 자기차선으로 계속 운행하였으면 될 것이고, 위 김철기가 중앙선을 침범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위 유인수의 차량을 충격하였다면 이는 그의 조향장치 조작에 과실이 있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인바, 이러한 여러 사정에 비추어 보면 원심이 들고 있는 증거만으로는 판시 범죄사실이 합리적인 의심을 배제할 정도로 증명이 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4. 원심으로서는 피고인과 위 김철기, 김원곤이 운전하던 자동차의 진행경로를 자세히 살펴서 피고인에게 어떠한 점에서 과실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원심판결에는 형사재판에 있어서의 증명의 정도를 오해하여 심리를 미진하였거나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고, 논지는 이 범위 안에서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종영(재판장) 최재호 배만운(주심) 김석수
민사판례
맞은편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여 사고가 났을 때, 내 차가 단순히 지정차로를 지키지 않았거나 제한속도를 초과했다는 이유만으로 과실이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상대 차량의 중앙선 침범을 예측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있어야 과실이 인정된다.
형사판례
교통사고 재판에서 검사가 주장한 내용(공소사실)과 법원이 인정한 내용(범죄사실)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핵심적인 사실이 같고 피고인의 방어권에 문제가 없다면 유죄 판결이 가능하다.
형사판례
트럭 운전자가 중앙선을 침범했지만, 상대방 차량의 갑작스러운 차선 변경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에 중앙선 침범이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는 판결.
형사판례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중앙선을 침범하여 사고가 났을 경우, 중앙선 침범 자체만으로 운전자의 과실을 인정할 수는 없다는 판결.
민사판례
좁은 커브길에서 중앙선을 침범한 버스와 충돌한 트럭 운전사에게 과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도로 상황과 차량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트럭 운전사가 충돌을 피할 수 있었는지를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자신의 차선을 잘 지키고 운전하던 운전자는 반대편 차량이 갑자기 중앙선을 침범할 것을 예상하고 미리 대비할 의무까지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이 사건에서는 음주 및 제한속도 초과 운행을 했더라도 상대방의 중앙선 침범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었기에 운전자에게 과실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