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총회무효확인

사건번호:

94누2602

선고일자:

199501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지방의회의 의장선임의결이 행정처분으로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판결요지

지방의회의 의장은 지방자치법 제43조, 제44조의 규정에 의하여 의회를 대표하고 의사를 정리하며, 회의장 내의 질서를 유지하고 의회의 사무를 감독할 뿐만 아니라 위원회에 출석하여 발언할 수 있는 등의 직무권한을 가지는 것이므로, 지방의회의 의사를 결정공표하여 그 당선자에게 이와 같은 의장으로서의 직무권한을 부여하는 지방의회의 의장선거는 행정처분의 일종으로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된다고 할 것이다.

참조조문

지방자치법 제42조, 제43조, 제44조, 행정소송법 제2조, 제1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4.10.11. 자 94두23 결정(공1994하,3131)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김제군의회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4.1.13. 선고 93구1137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광주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의 회의규칙 제8조의 규정에 의하면 의장과 부의장은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의원 과반수의 득표로 당선되고 위 득표자가 없을 때에는 2차투표를 하여 위 득표자를 당선자로 하며, 2차투표를 하여도 위 득표자가 없을 때에는 최고득표자가 1인이면 최고득표자와 차점자에 대하여, 최고득표자가 1인 이상이면 최고득표자에 대하여 결선투표를 하여 다수득표자를 당선자로 한다고 규정되어 있는 사실, 피고는 1993.4.23. 10:00경 제25회 임시회(회기는 1일)를 개최하여 의원 14명이 출석한 가운데 임시의장인 소외 1의 사회로 피고의 의장선거를 하였는데, 1차투표에서 원고 1이 5표, 소외 2가 5표, 소외 3이 4표를 각 득표하였고, 2차 투표를 하여 원고 1이 7표, 위 소외 2가 7표를 각 득표하였고, 결선투표를 하기에 앞서 같은 날 10:35경 정회를 하게 되었으나 그 이후로는 과반수출석미달로 결선투표를 하지 못하여 같은 날 24:00경 자동 폐회된 사실, 그리하여 피고는 같은 달 28. 10:00경 제26회 임시회(회기는 1일)를 개최하여 의원 14명이 출석한 가운데 임시 의장인 위 소외 1의 사회로 의장선거를 하여 위 소외 3이 8표, 원고 1이 5표를 각 득표(기권 1표)하여 위 소외 1은 위 소외 3이 의장으로 당선되었음을 선포한 사실을 각 인정한 다음, 지방의회의 의장선거는 지방의회의 내부의 조직이나 구성을 위한 행위로서 지방의회의 의원 개개인이 투표한 집계에 불과하고 의회 자체의 의사결정이라고 볼 수 없고 당선자의 선포도 투표한 결과 내지 집계를 확인하여 선포하는 행위에 불과하므로 지방의회의 의장선거는 항고소송의 대상인 행정처분이라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주위적으로는 위 의장선임의결의 무효확인을 구하고, 예비적으로는 위 의장선임의결의 취소를 구하는 원고들의 이 사건 소가 부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2. 그러나. 지방의회의 의장은 지방자치법 제43조, 제44조의 규정에 의하여 의회를 대표하고 의사를 정리하며, 회의장 내의 질서를 유지하고 의회의 사무를 감독할 뿐만 아니라 위원회에 출석하여 발언할 수 있는 등의 직무권한을 가지는 것이므로, 지방의회의 의사를 결정 공표하여 그 당선자에게 이와 같은 의장으로서의 직무권한을 부여하는 지방의회의 의장선거는 행정처분의 일종으로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된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지방의회의 의장선거가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원고들의 이 사건 소가 부적법하다고 판단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지방의회의 의장선임의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고, 이와 같은 위법은 판결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것이다. 3. 그러므로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성택(재판장) 천경송 안용득(주심) 지창권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 의장 불신임, 행정처분 맞나요? 효력정지 요건은 뭘까요?

지방의회 의장에 대한 불신임 의결은 행정처분이며, 그 효력 정지는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고, 본안 소송에서 승소 가능성이 있어야 합니다.

#지방의회 의장#불신임 의결#행정처분#효력 정지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 의원 제명, 어디에 소송을 걸어야 할까요?

지방의회 의원에 대한 징계처분은 행정처분으로, 이에 불복하는 소송은 지방의회 소재지를 관할하는 고등법원에 제기해야 합니다.

#지방의회#의원 제명#행정소송#고등법원

형사판례

지방자치단체장의 의회 세미나 지원, 선거법 위반일까?

선거를 앞둔 지방자치단체장이 지방의회 의원들의 세미나 출장 경비를 직접 지원한 행위는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판결되었습니다. 관행적인 행위라 하더라도 선거 전 특정 기간에는 금지되는 기부행위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지방자치단체장#의회#세미나 지원#경비 지급

일반행정판례

지방자치단체장의 인사권, 의회가 왈가왈부 할 수 있을까?

상위 법령에서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위원회 위원 임명권을 부여한 경우, 지방의회가 조례로 단체장의 임명권을 제한할 수 없다.

#지방자치단체장#위원회#위원#임명권

형사판례

지방의회 의장 선거 담합, 공무집행방해죄일까?

지방의회 의원들이 의장 선거 전에 특정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투표용지 기표 위치를 미리 정해놓은 행위는, 비밀투표 원칙에 어긋나더라도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할 수 없다.

#지방의회#의장 선거#사전 투표 위치 합의#공무집행방해죄

일반행정판례

지방공기업 사장 임명, 지방의회가 관여할 수 있을까?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공사·공단의 사장 임명 권한은 법률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있으며, 지방의회는 조례를 통해 이 권한을 제한할 수 없다.

#지방공기업#사장 임명#지방의회#인사청문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