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4누4745

선고일자:

199409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소득세법시행령 부칙 제2항이 소득세납세의무 성립시기에 관한 특례규정인지 여부

판결요지

구 소득세법시행령(1990.12.31. 대통령령 1319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은그 부칙 제1항에서 "이 영은 1990.9.1.부터 시행한다"고 규정하는 한편, 같은 부칙 제2항은 "일반적 적용례"라는 제목 하에 "이 영은 이 영 시행 후 최초로 양도하는 것부터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부칙 제2항의 취지는 양도소득은 납세의무의 성립시기 등이 다른 일반적인 소득과 다르므로 같은 부칙 제1항과는 별도의 조항을 규정한 것일 뿐, 부칙 제2항의 규정이 소득세의 납세의무 성립시기에 관한 일반원리를 배제하기 위하여 특례규정을 둔 것이 아니라고 할 것이므로, 양도소득세의 납세의무 성립시기가 1990.9.1. 이후라면 양도계약이 그 이전에 체결되었다 하더라도 개정된 소득세법시행령을 적용하여야 하고 개정 전의 시행령을 적용할 수 없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구 소득세법시행령 부칙 제1항,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0.10.16. 선고 90누2406 판결(공1990,2326)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남산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3.17. 선고 93구1915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 소송대리인들의 상고이유를 본다. 1. 제1, 2점에 대하여 소득세법시행령 제115조 제1항 제1호가 개정된 1990.5.1.자 개정시행령은 그 부칙 제1항에서 이 영은 1990.9.1.부터 시행한다고 규정하는 한편, 같은 부칙 제2항은 “일반적 적용례"라는 제목하에 ”이 영은 이 영 시행 후 최초로 양도하는 것부터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바, 위 부칙 제2항의 취지는 양도소득은 납세의무의 성립시기 등이 다른 일반적인 소득과 다르므로 같은 부칙 제1항과는 별도의 조항을 규정한 것일 뿐, 위 시행령 부칙 제2항의 규정이 소득세의 납세의무성립시기에 관한 일반원리를 배제하기 위하여 특례규정을 둔 것이 아니라고 할 것이므로, 양도소득세의 납세의무성립시기가 1990.9.1. 이후라면 위 개정된 소득세법시행령을 적용하여야 하고 위 개정전의 시행령을 적용할 수 없다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당원 1990.10.16. 선고 90누2406 판결 참조).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거시증거 및 관련법규에 의하여 이 사건 부동산의 양도일을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등기접수일인 1991.7.23.과 같은 달 26.로 확정한 다음 당시 시행되던 위 개정된 소득세법시행령 제115조 제1항을 적용하여 양도차익을 산정하여야 한다고 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나 판단유탈의 위법이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 없다. 2. 제3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부동산의 실지 양도가액이 금 54,065,000원이라는 사실에 부합하는 거시증거들은 이를 믿을 수 없다고 하여 그를 전제로 하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는 바, 기록과 대조 검토하여 볼 때 원심의 위 인정은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의 위법이 없으므로 논지 역시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안용득 지창권(주심)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양도소득세 계산, 언제 기준으로 할까요?

법 시행 이후 양도하는 자산에 대해서만, 시행 전 예상치 못했던 새로운 계산방법을 적용하더라도 이는 소급입법이 아니며, 공평과세 원칙에도 어긋나지 않는다.

#양도소득세#계산방법 변경#소급입법#공평과세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소득세 계산, 취득 시점이 중요해요! (장기할부 계약 시 취득시점 판단)

1994년 1월 1일 이후 부동산을 양도할 때, 취득 시기가 장기할부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기준도 1994년 개정된 소득세법 시행령을 적용해야 한다.

#부동산#장기할부#취득시점#소득세법시행령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시점이 불분명할 때,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계산될까요?

부동산 양도 시점이 불분명할 때 세무서가 등기일을 기준으로 양도소득세를 부과했더라도, 소송 과정에서 실제 양도 시점이 밝혀지면 그 시점을 기준으로 세금을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양도소득세#실제 양도시점#등기일#기준시가

세무판례

부동산 교환 시 양도소득세 계산, 언제부터?

부동산 교환 계약에서 등기 이전 전이라도 상대방이 실질적인 처분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면 대금 청산이 완료된 것으로 본다.

#부동산 교환#대금청산#처분권#양도소득세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시기와 개별공시지가 경정에 따른 양도소득세 계산

부동산 매매에서 실제 잔금 지급일이 양도시기이며, 양도소득세 계산은 판결 시점에 시행 중인 법률을 따른다. 또한, 공시지가가 정정되면 정정된 공시지가를 소급 적용해 세금을 계산한다.

#양도시기#양도소득세#잔금지급일#판결시점 법률적용

세무판례

땅 판 돈 받는 날짜가 중요해요! 양도소득세 계산은 언제 기준으로 할까요?

토지 매매 계약은 법 개정 전에 했지만, 잔금 지급은 법 개정 후에 이루어졌다면, 잔금 지급일 기준의 법을 적용해 양도소득세를 계산해야 한다.

#토지#양도소득세#잔금일#법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