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부과처분취소등

사건번호:

94누7027

선고일자:

199503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과세관청이 부과의 취소를 다시 취소함으로써 원부과처분을 소생시킬 수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국세기본법 제26조 제1호는 부과의 취소를 국세납부의무 소멸사유의 하나로 들고 있으나, 그 부과의 취소에 하자가 있는 경우의 부과의 취소의 취소에 대하여는 법률이 명문으로 그 취소요건이나 그에 대한 불복절차에 대하여 따로 규정을 둔 바도 없으므로, 설사 부과의 취소에 위법사유가 있다고 하더라도 당연무효가 아닌 한 일단 유효하게 성립하여 부과처분을 확정적으로 상실시키는 것이므로, 과세관청은 부과의 취소를 다시 취소함으로써 원부과처분을 소생시킬 수는 없고 납세의무자에게 종전의 과세대상에 대한 납부의무를 지우려면 다시 법률에서 정한 부과절차에 좇아 동일한 내용의 새로운 처분을 하는 수밖에 없다.

참조조문

국세기본법 제26조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79.5.8. 선고 77누61 판결(공1979,11988)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북부산세무서장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4.5.12. 선고 93구7587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하여 국세기본법 제26조 제1호는 부과의 취소를 국세납부의무 소멸사유의 하나로 들고 있으나, 그 부과의 취소에 하자가 있는 경우의 부과의 취소의 취소에 대하여는 법률이 명문으로 그 취소요건이나 그에 대한 불복절차에 대하여 따로 규정을 둔바도 없으므로, 설사 부과의 취소에 위법사유가 있다고 하더라도 당연무효가 아닌 한 일단 유효하게 성립하여 부과처분을 확정적으로 상실시키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과세관청은 부과의 취소를 다시 취소함으로써 원부과처분을 소생시킬 수는 없고 납세의무자에게 종전의 과세대상에 대한 납부의무를 지우려면 다시 법률에서 정한 부과절차에 좇아 동일한 내용의 새로운 처분을 하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당원 1979.5.8. 선고 77누61 판결 참조). 원심이 확정한 사실에 의하면, 피고가 1992.3.16. 소외인(1990.12.7. 사망)의 상속인들인 원고들에게 상속세 및 방위세부과처분을 하였다가(1993.2.23. 이를 일부 감액결정하였음), 이에 대한 부과취소소송이 계속 중이던 1993.4.22. 부산지방국세청으로부터의 업무지시에 의하여 상속재산의 평가방법에 관한 경과규정인 상속세법시행령(1990.5.1. 대통령령 제12993호로 개정된 것) 부칙 제2항 중 상속세법 제20조 소정의 신고를 하지 아니한 이 사건에도 종전의 평가방법을 적용하기로 하여 상속재산가액을 평가한 결과 과세미달이라 하여 원부과처분을 취소하였다가, 다시 부산지방국세청으로부터 위 부칙 제2항을 상속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에게는 그대로 적용하라는 추가지시가 있자 1993.6.24. 위 4.22. 자 부과취소처분을 다시 취소하는 이 사건 처분을 하였다는 것이다. 사정이 위와 같다면, 피고의 위 1993.4.22. 자 원부과처분의 취소는 당연무효라고 볼 수 없어 원부과처분은 그 효력을 확정적으로 상실하였다고 할 것이므로, 원심이 이와 달리 이 사건 취소처분은 원부과처분취소가 법령에 위반되어 이를 바로 잡기 위한 것이고 이 사건 취소처분이 허용될 수 없을 정도의 법적안정성이나 공익 등에 위반되는 점이 있다고 볼 만한 사정도 없다는 이유로 이 사건 취소처분으로 원부과처분이 그대로 존속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음은, 부과의 취소의 효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고 이는 판결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가 있다. 그러므로 원고의 다른 상고논지에 대한 판단을 할 것 없이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박만호(주심) 박준서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부과, 다시 할 수 있을까? - 위법한 세금 부과 후 정정

세무서가 처음에 세금을 잘못 계산해서 법원에서 취소 판결을 받았더라도, 잘못된 부분을 고쳐서 다시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문제없다는 판결입니다.

#세금 재부과#기판력#증여세#토지 가격

세무판례

세금 부과, 다시 할 수 있을까? - 확정판결의 기판력

이전 과세처분이 취소된 후, 과세당국이 *다른 이유*로 다시 과세처분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이전 판결에서 지적된 문제점만 고치면 새로운 과세가 가능합니다.

#기판력#과세처분#취소소송#저가양도

세무판례

세금 부과, 마음대로 번복할 수 없다!

세무서가 세금 부과를 취소했다면, 특별한 사정 없이 똑같은 이유로 다시 세금을 부과할 수 없다.

#세금 취소#재부과#일사부재리#국민 권리 보호

세무판례

세금 부과, 번복했다가 다시 원래대로? 안됩니다!

세무서가 세금 감면 결정을 내린 후, 특별한 사유 없이 이를 번복하고 다시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위법입니다. 이미 옳다고 인정된 세금 감면 사유를 뒤집고 다시 과세하는 것은 불복 절차와 시정 방식을 규정한 국세기본법의 취지에 어긋납니다.

#세금 감면#기속력#조세심판원#국세기본법

세무판례

세금 돌려줬다가 다시 뺏어가면 안 되겠죠?

세무서가 한번 잘못된 과세를 인정하고 취소했으면 특별한 사유 없이 다시 같은 과세를 할 수 없고, 소득금액변동통지는 행정소송의 대상이 아니다.

#과세처분 번복#소득금액변동통지#행정소송#위법

세무판례

세금 부과 취소됐다면, 소송도 끝!

세무서가 세금 부과를 취소하면, 그 처분에 대한 소송은 더 이상 진행할 필요가 없어 각하된다는 판례입니다.

#세금부과취소#소의이익#각하#행정소송법 제12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