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임처분무효확인

사건번호:

94누7409

선고일자:

199604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향토예비군설치법시행규칙 제11조에 정한 예비군 지휘관에 대한 해임의 성질 및 절차

판결요지

예비군부대의 지휘관의 해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향토예비군설치법시행규칙 제11조 제1항, 제2항은 그 규정형식, 각 해임사유의 내용에 비추어 해임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임명권자가 직권에 의하여 해임시키도록 하는 규정이라고 봄이 상당하고, 그러한 직권해임에 있어서 징계의 경우에 필요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해임처분을 위법하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향토예비군설치법시행규칙 제11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육군 제2162부대장 【원심판결】 대전고법 1994. 4. 15. 선고 93구81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원고의 상고이유를 본다. 1. 제1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결에서 들고 있는 증거들을 종합하여 그 판시와 같은 원고의 비행사실을 인정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없다. 2. 제2점에 대하여 예비군부대의 지휘관의 해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향토예비군설치법시행규칙 제11조 제1항, 제2항은 그 규정형식, 각 해임사유의 내용 등에 비추어 해임사유에 해당할 때에는 임명권자가 직권에 의하여 해임시키도록 하는 규정이라고 봄이 상당하다.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은 직장예비군 중대장인 원고의 비행사실의 내용, 근무성적, 근무태도 등을 종합하면 원고는 향토예비군설치법시행규칙 제11조 제2항 제2호 소정의 해임사유인 '근무평정 또는 감사결과 예비군지휘관으로서 부적당하다고 인정된 자' 또는 제11조 제2항 제1호, 제1항 제1호, 제10조 제3항 제7호 소정의 해임사유인 '기타 예비군지휘관으로서 부적당하다고 인정된 자'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므로, 피고는 원고를 직권으로 해임시킬 수 있는 것이고 징계의 경우에 필요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이 사건 해임처분을 위법하다고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옳고, 거기에 직장예비군 지휘관의 해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사건 해임이 군무원인사법 소정의 징계처분임을 전제로 하는 논지 역시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안용득 지창권(주심)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직장예비군 중대장 해임과 공무원 보상 관련 판례 해설

회사에 직장예비군 중대장 요원으로 입사하여 중대장으로 임명받았다가 해임되어 퇴사한 경우, 이는 공무원 해직으로 볼 수 없으므로 해직공무원 보상 대상이 아니다.

#직장예비군#중대장#해임#공무원

민사판례

예비군 중대장 해임, 보상금 지급 거부는 정당할까?

예비군 중대장 해임은 법에 따라 적법하며, 보상 의무는 없다.

#예비군 중대장#해임#보상 청구 기각#적법

민사판례

직장 예비군 중대장 직에서 해임되면 회사에서도 해고될 수 있을까?

직장예비군 중대장으로 채용된 근로자가 연령정년에 도달하여 중대장 직에서 해임된 경우, 이를 이유로 한 회사의 면직처분은 정당하다.

#직장예비군#중대장#연령정년#면직

일반행정판례

사면 받았어도 군대에서 쫓겨날 수 있다? 현역복무부적합 전역에 대한 이야기

특별사면은 징계의 효력을 없애지만, 그 징계의 원인이 된 비위사실 자체는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 비위사실이 군 복무에 부적합한 사유라면 전역 처분을 할 수 있다.

#특별사면#군인#전역#비위사실

생활법률

군인 징계,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군인 징계는 군인사법 등 관련 규칙 위반, 품위 손상, 직무 위반/태만 시 3년(특정 사유는 5년) 이내 파면/해임, 강등, 정직(중징계), 감봉, 근신, 견책(경징계) 처분을 받는 것으로, 징계위원회 심의 및 의견 청취, 진술 기회 보장 등 절차를 거치며, 처분에 불복 시 30일 이내 항고 가능하다. (단, 현역병 징계는 제외)

#군인#징계#사유#시효

일반행정판례

면장 면직, 인사위원회 동의 없어도 적법할까?

면장이 직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을 경우, 군수는 인사위원회의 동의 없이도 면직시킬 수 있다.

#면장#면직#인사위원회 동의#적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