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저당권말소등기

사건번호:

94다21207

선고일자:

1994110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상소인에게 불이익한 재판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기준 나. 실질상 제1심에서 전부 승소하였다고 보아 항소의 이익이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가. 상소는 자기에게 불이익한 재판에 대하여서만 제기할 수 있는 것이고, 재판이 상소인에게 불이익한 것인지의 여부는 재판의 주문을 표준으로 하여 상소제기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나. 실질상 제1심에서 전부 승소하였다고 보아 항소의 이익이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360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3.10.25. 선고 83다515 판결(공1983,1742), 1992.3.27. 선고 91다40696 판결(공1992,1389), 1993.6.25. 선고 92다33008 판결(공1993하,2100)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명일현대종합상가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종걸 외 1인 【피고, 피상고인】 현대종합상사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오성환 외 6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3.24. 선고 92나64073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원고의 항소를 각하한다. 항소 및 상고소송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직권으로 원고가 제기한 항소의 적법여부를 판단한다. 상소는 자기에게 불이익한 재판에 대하여서만 제기할 수 있는 것이고, 재판이 상소인에게 불이익한 것인지의 여부는 재판의 주문을 표준으로 하여 상소제기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당원 1983.10.25. 선고 83다515 판결 참조).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피고에 대하여 원고로부터 금 586,412,830원 및 이에 대한 1987.12.4.부터 완제일까지 연6푼의 비율에 의한 금원을 지급받은 다음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경료된 판시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할 것을 청구하여, 제1심에서 피고는 원고가 선이행의무가 있음을 자인하고 있는 위 금 586,412,830원 및 이에 대한 1987.12.4.부터 그 판결선고일인 1992.10.2.까지 연 6푼의 비율에 의한 금원(금 756,360,087원 = 586,412,830원 + 586,412,830 X 1763/365 X 0.06)보다 적은 금액임이 계산상 명백한 금 7억 원을 원고로부터 지급받은 다음 위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등기절차를 이행하라는 판결을 선고받았음이 분명한바, 그렇다면 원고는 실질상 모두 승소한 것이나 다름없어 이에 대하여 항소를 제기할 아무런 이익이 없는 것이므로 원심으로서는 원고의 항소를 각하하였어야 할 것이다(다만 제1심 판결은 주문 제2항에서 원고의 나머지 청구를 기각한다고 하면서, 그 제3항에서 소송비용 중의 일부를 원고가 부담하도록 명하고 있으나, 원고의 청구는 주문 제1항에서 위와 같이 청구하는 것보다 더 유리하게 인용되어 실질상 기각당할 부분이 없고, 또 소송비용의 재판에 대하여는 독립하여 상소할 수 없다 할 것이어서 원심이 원고의 항소를 각하하여야 함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그런데도 원심이 이를 간과하여 본안에 들어가 판단하여 항소기각의 판결을 선고하였음은 위법하다 할 것이므로 상고이유에 대하여 나아가 판단할 필요없이 원심판결은 파기를 면할 수 없다 할 것이다. 이에 당원은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민사소송법 제407조 제1호에 의하여 직접 판결하기로 하여 원고의 항소를 각하하고 항소 및 상고소송비용은 패소자인 원고의 부담으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용득(재판장) 천경송 지창권 신성택(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원고만 항소했을 때, 항소심에서 원고에게 더 불리한 판결을 내릴 수 있을까요?

1심에서 원고의 주장 일부를 인정했지만, 피고의 맞주장(상계)을 받아들여 원고가 패소한 사건에서, 원고만 항소했을 때, 항소심은 원고에게 더 불리한 판결을 내릴 수 없습니다. 즉, 1심에서 인정된 원고의 주장을 항소심에서 뒤집어 완전히 패소시키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항소심#불이익변경금지원칙#원고#패소

생활법률

판결 이유가 맘에 안 든다고 항소할 수 있을까요?

판결 금액에 만족한다면 판결 이유에 불만이 있어도 항소할 수 없다. 항소는 불이익한 판결 결과를 바꾸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항소#불이익#판결 이유#주문

민사판례

이겼는데 왜 상소를?! 승소 판결에도 불복할 수 있을까?

이 판례는 원고가 승소했음에도 판결 내용에 이의를 제기하며 상소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단순히 판결 이유에 불만이 있다면 상소할 수 없지만, 법원이 원고의 주장과 다른 내용으로 승소 판결을 내렸다면, 이는 원고에게 불리한 판결로 볼 수 있으므로 상소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이겼지만 진 것과 같은 상황"에서는 상소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승소판결 상소#상소이익#처분권주의#매매

민사판례

1심 판결에 불만있는 쪽만 항소했는데, 왜 상고는 안될까요?

1심에서 일부 승소한 원고만 항소했고 피고는 항소하지 않았는데, 항소심에서 원고가 패소한 경우, 피고는 상고할 수 없다.

#일부승소#원고항소#피고불항소#상고불가

상담사례

소송에서 졌는데, 항소하면 더 불리해질 수 있을까? (각하판결과 항소심)

1심에서 각하 판결을 받고 항소하면 소송 자격 문제 외 본안까지 심리되어 기각 판결을 받는 등 더 불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소송#패소#항소#불리

형사판례

검사만 항소했는데, 나도 상고해야 하나요? - 불이익한 판결이 아니면 상고할 수 없어요!

피고인에게 유리한 판결이 나왔을 때, 검사만 항소했지만 그 항소가 기각되면 피고인은 그 판결에 대해 상고할 수 없다.

#검사 항소 기각#피고인 상고 불가#불이익변경금지원칙#형사소송법 제338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