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4다44835
선고일자:
1995120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어음발행인이 예탁하는 사고신고담보금의 성질 및 그에 대한 정당한 어음 소지인의 권리행사 방법
어음발행인이 사고 신고와 함께 어음금의 지급 정지를 의뢰하면서 예탁하는 사고신고담보금은 일반의 예금채권과는 달리 어음교환소의 어음발행인이 어음금 지급자금 부족을 은폐하고 거래정지 처분을 면탈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보장하고 어음소지인의 어음상의 권리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당해 어음채권의 자금을 담보하려는 것이므로, 어음발행인은 서울어음교환소규약이나 사고신고담보금을 수탁하는 은행과 체결한 사고신고담보금 처리를 위한 약정서의 제 규정이 정한 조건이 성취된 때 즉 어음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가 아님이 판명된 경우 등에만 반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고, 어음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임이 판명된 경우에는 발행인은 사고신고담보금에 대한 반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어음의 정당한 소지인으로서는 은행을 상대로 직접 그 담보금의 지급을 구할 수 있지만 어음발행인의 반환청구권을 전부받은 것을 원인으로 하여 은행을 상대로 이의 반환을 청구할 수는 없다.
민법 제539조, 제702조
대법원 1993. 9. 14. 선고 93다16376 판결(공1993하, 2771), 대법원 1992. 2. 28. 선고 91다34967 판결(공1992, 1163), 대법원 1994. 10. 21. 선고 94다16816 판결(공1994하, 3069), 대법원 1995. 1. 24. 선고 94다40321 판결(공1995상, 1132),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원심판결】 부산지방법원 1994. 7. 29. 선고 93나1921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약속어음의 발행인인 소외인이 어음의 도난, 분실 등을 이유로 지급은행에 사고 신고와 함께 그 어음금의 지급 정지를 의뢰하면서 예탁한 이 사건 사고신고담보금은 일반의 예금채권과는 달리 어음교환소의 어음발행인이 어음금 지급자금부족을 은폐하고 거래정지 처분을 면탈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보장하고, 어음소지인의 어음상의 권리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당해 어음채권의 자금을 담보하려는 것이므로 어음발행인은 서울어음교환소규약이나 사고신고담보금을 수탁하는 은행과 체결한 사고신고담보금 처리를 위한 약정서의 제 규정이 정한 원심판시의 조건이 성취된 때 즉 어음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가 아님이 판명된 경우 등에만 반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고, 어음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임이 판명된 경우에는 발행인은 사고신고담보금에 대한 반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어음의 정당한 소지인으로서는 은행을 상대로 직접 위 담보금의 지급을 구할 수 있지만 어음발행인의 반환청구권을 전부받은 것을 원인으로 하여 은행을 상대로 이의 반환을 청구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인바( 당원 1993. 9. 14. 선고 93다16376 판결, 1992. 10. 27. 선고 92다25540 판결 등 참조), 원심이 같은 취지로 이 사건 약속어음의 소지인인 원고가 발행인인 소외인을 상대로 약속어음금 청구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의 확정판결을 받아 어음소지인의 정당한 권리가 확정되었으니 위 소외인의 이 사건 사고신고담보금 반환청구권은 정지조건의 불성취로 인하여 존재하지 않게 되어 결국 위 반환청구권을 전부받은 원고도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별단예금에 대한 채권 압류 및 전부 명령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단을 유탈하거나 심리미진, 이유불비로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논지가 지적하는 대법원 판례들은 이 사건과 사안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천경송(주심) 신성택
민사판례
어음 분실 등 사고 발생 시 예치하는 사고신고담보금은 특정 조건 만족 시 어음 발행인에게 반환되어야 하며, 단순 채권 압류만으로는 반환 거부 사유가 되지 않는다는 판결.
민사판례
어음 사고신고 후 예치된 담보금은 어음 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로 확인되면 소지인에게 돌려줘야 하며, 은행이 임의로 발행인과 상계처리하는 것은 권리남용이다.
민사판례
어음 발행인이 부도를 막기 위해 은행에 예치한 사고신고담보금은 어음 소지인이 정당한 권리자임이 확인되면 은행은 소지인에게 언제든지 반환해야 합니다. 어음교환소 규약에 따른 6개월 기간 제한은 은행이 발행인에게 반환해도 문제없다는 것이지, 소지인의 권리를 소멸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상담사례
어음 부도 시, 발행인이 예치한 사고신고담보금은 수취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은행은 임의로 처리할 수 없고, 수취인이 소송에서 승소하면 담보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민사판례
약속어음 발행인이 부도를 대비해 은행에 맡겨둔 담보금은, 소송에서 승소한 어음 소지인에게 직접 청구해야지, 발행인의 반환청구권을 양도받아 청구할 수는 없다.
민사판례
어음 발행인이 분실 등을 이유로 은행에 맡긴 사고신고담보금은 어음 소지인의 권리가 확정되기 전까지는 발행인이나 그 채권자에게 돌려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