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강간치상

사건번호:

94도2781

선고일자:

199501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강간치사상죄에 있어서 사상의 결과는 강간에 수반하는 행위에서 발생한 경우도 포함하는지 여부 나. 스스로 야기한 강간범행의 와중에서 피해자가 손가락을 깨물며 반항하자 물린 손가락을 비틀며 잡아 뽑다가 피해자에게 치아결손의 상해를 입힌 소위를 긴급피난행위라 할 수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가. 강간 등에 의한 치사상죄에 있어서 사상의 결과는 간음행위 그 자체로부터 발생한 경우나 강간의 수단으로 사용한 폭행으로부터 발생한 경우는 물론 강간에 수반하는 행위에서 발생한 경우도 포함한다. 나. 피고인이 스스로 야기한 강간범행의 와중에서 피해자가 피고인의 손가락을 깨물며 반항하자 물린 손가락을 비틀며 잡아 뽑다가 피해자에게 치아결손의 상해를 입힌 소위를 가리켜 법에 의하여 용인되는 피난행위라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가.나. 형법 제297조 , 제301조 / 가. 형법 제22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장동완 【원심판결】 국방부 고등군사법원 1994.10.11. 선고 94노10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60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피고인과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강간 등에 의한 치사상죄에 있어서 사상의 결과는 간음행위 그 자체로부터 발생한 경우나 강간의 수단으로 사용한 폭행으로부터 발생한 경우는 물론 강간에 수반하는 행위에서 발생한 경우도 포함한다 할 것인바,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이 피고인이 판시 일시경 피해자의 집에 침입하여 잠을 자고 있는 피해자를 강제로 간음할 목적으로 동인을 향해 손을 뻗는 순간 놀라 소리치는 동인의 입을 왼손으로 막고 오른손으로 음부 부위를 더듬던 중 동인이 피고인의 손가락을 깨물며 반항하자 물린 손가락을 비틀며 잡아 뽑아 동인으로 하여금 우측하악측절치치아결손의 상해를 입게 하였다면, 피해자가 입은 위 상해는 결국 피고인이 저지르려던 강간에 수반하여 일어난 행위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것이고, 기록상 나타난 피해자의 반항을 뿌리친 형태 등에 비추어 보면 그 결과 또한 능히 예견할 수 있었던 것임을 부인할 수는 없다 하겠으니, 위와 같은 소위에 대하여 피고인을 강간치상죄로 처단한 제1심판결을 유지한 원심의 조처는 옳게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강간치상죄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또 피고인이 스스로 야기한 범행의 와중에서 피해자에게 위와 같은 상해를 입힌 소위를 가리켜 법에 의하여 용인되는 피난행위라 할 수도 없고, 위와 같이 소리치며 반항하는 피해자의 입을 손으로 막고 음부까지 만진 소위에 대하여 주장과 같이 강간의 수단인 폭행이나 협박이 개시되지 않았다고 할 수도 없다. 논지가 들고 있는 당원판결은 이 사건과 사안을 달리 하는 것이어서 적절한 선례가 되지 못한다. 피고인에 대하여 징역 10년 미만의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양형부당의 사유는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아니한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일부를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용득(재판장) 천경송 지창권 신성택(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강간치상죄에서 '상해'는 어떻게 판단될까요?

강간 과정에서 생긴 상처가 극히 경미하지 않다면, 즉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정도라면 강간치상죄에서 말하는 '상해'에 해당한다. 상해 여부는 피해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강간치상#상해#극히 경미한 상처#일상생활 지장

형사판례

강간하려다 미수에 그치고 상해를 입힌 경우, 특별법 적용은?

강간을 하려다 미수에 그치고 상해를 입힌 경우, 성폭력특별법상 '강간죄를 범한 자가 상해를 입힌 경우'에 대한 가중처벌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강간죄가 *기수*에 이르지 않았으므로 가중처벌 규정을 적용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강간미수#상해#특가법#가중처벌

형사판례

강간으로 사람을 다치게 하면 '특정강력범죄'일까요?

단순 강간 행위로 피해자가 다치거나 사망하면, 흉기를 사용하거나 2인 이상이 합동하지 않았더라도 특정강력범죄에 해당한다.

#단순강간#상해/사망#특정강력범죄#강간치사상

형사판례

강간 과정에서 생긴 상처, 단순 멍이라도 '상해'로 인정될 수 있다?

강간범이 피해자의 반항을 억압하는 과정에서 피해자에게 경추부 좌상(목 부위 염좌)과 우측 주관절부 염좌(팔꿈치 염좌)와 같은 비교적 경미한 상처를 입혔다면, 이 역시 강간치상죄에서의 '상해'에 해당한다.

#강간치상죄#경미한 상처#상해#대법원

형사판례

강간죄에서 '상해'란 무엇일까요?

강간 행위 과정에서 피해자가 입은 상처가 극히 경미하여 치료 없이 자연 치유되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우, 강간치상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

#강간치상죄#경미한 상처#상해#강간죄

형사판례

전자충격기 사용 강간미수, 그러나 상해는 기수? 특수강간치상죄 성립 여부

전자충격기를 사용하여 강간을 시도하다 미수에 그쳤지만, 피해자에게 상해를 입힌 경우 특수강간치상죄가 성립한다.

#전자충격기#강간미수#상해#특수강간치상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