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찰허가결정

사건번호:

94마1414

선고일자:

19940927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가. 채무자나 소유자가 아닌 이해관계인임에도 보증제공증명서류 미첨부를 이유로 항고장을 각하한 원심결정을 파기한 사례 나 담보공탁이 없음을 이유로 항고장이 각하된 경우 항고장 각하에 관계없는 주장을 재항고 이유로 삼을 수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가. 입찰목적부동산에 관하여 저당권을 취득하였음을 이유로 낙찰허가결정이 있기 이전에 권리신고를 한 자는 채무자나 소유자가 아니므로 낙찰허가결정에 대한 즉시항고를 제기함에 있어 민사소송법 제642조 제4항의 규정에 의한 보증의 제공이 있음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할 필요가 없음에도 그 항고장에 보증제공증명서류를 첨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항고장을 각하한 원심결정을 파기한 사례. 나. 민사소송법 제642조 제4항 소정의 담보공탁을 하지 아니함을 이유로 항고장이 각하된 경우에는 입찰법원의 입찰절차에 위법이 있다는 등 항고장각하에 관계없는 주장을 재항고 이유로 삼을 수 없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642조 제4항, 제642조 제5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92.3.6.자 92마58결정(공1992,1268)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결정】 서울지방법원의정부지원 1994.6.24. 자94타경12428 결정 【주 문】 원심결정 중 재항고인 1에 대한 부분을 파기하고 재항고인 2의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은, 재항고인들이 입찰법원의 낙찰허가결정에 대하여 항고를 제기함에 있어 항고장에 보증으로 낙찰대금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현금 또는 법원이 인정한 유가증권을 공탁하였음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재항고인들의 항고장을 각 각하하였다. 2. 먼저 재항고인 1의 재항고이유를 보건대, 기록에 의하면, 재항고인 한제익은 이 사건 각 입찰목적부동산에 관하여 저당권을 취득하였음을 이유로 낙찰허가결정이 있기 이전에 권리신고를 한 자이고, 채무자나 소유자가 아니므로 낙찰허가결정에 대한 즉시항고를 제기함에 있어 민사소송법 제642조 제4항의 규정에 의한 보증의 제공이 있음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원심은 위 한제익이 항고장에 위 서류를 첨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항고장을 각하한 잘못을 범하였고 이는 재판결과에 영향을 미쳤음이 명백하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3. 재항고인 2의 재항고이유를 본다. 재항고 이유 중 제1점은 채무자 또는 소유자가 경락(낙찰)허가결정에 대하여 항고를 할 때에는 보증으로 경락(낙찰)대금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현금 또는 법원이 인정한 유가증권을 공탁하도록 규정한 민사소송법 제642조 제4항은 법 앞의 평등을 선언한 헌법 제11조에 위배되어 무효이므로 위 조항을 근거로 재항고인의 항고장을 각하한 원심의 조치는 위법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민사소송법 제642조 제4항의 규정은 헌법 제11조의 평등권에 반하는 위헌규정이 아니므로(당원 1990.7.6. 자 90그15 결정, 1984.4.3. 자 84마83 결정 등 참조) 이 점을 탓하는 논지는 이유 없다. 그리고 민사소송법 제642조 제4항 소정의 담보공탁을 하지 아니함을 이유로 항고장이 각하된 경우에는 항고장각하에 관계없는 주장을 재항고이유로 삼을 수 없다는 것이 당원의 견해인 바(당원 1992.3.6. 자 92마58 결정), 위 재항고인의 나머지 재항고이유는 모두 입찰법원의 입찰절차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는 것으로서 항고장각하에 관계없는 주장이므로 적법한 재항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4. 그러므로 원심결정 중 재항고인 1에 대한 부분을 파기하고 재항고인 2의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신성택(재판장) 안용득 지창권(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경매 낙찰자가 항고할 때 보증금 꼭 내야 할까?

경매에서 낙찰받은 사람이 단순히 낙찰자일 뿐만 아니라, 채무자나 소유자 외의 다른 이해관계(예: 근저당권자)도 가지고 있고, 그 이해관계를 이유로 항고하는 경우에는 항고 보증금을 낼 필요가 없다.

#경매#낙찰자#이해관계인#항고

민사판례

경매 항고장, 보증금 없으면 각하! 그럼 어떻게 불복하나요?

경매에서 낙찰 허가 결정에 불복하는 항고를 할 때 보증금을 내지 않아 항고장이 각하된 경우, 어떤 방법으로 이 결정에 불복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불복으로 경매 절차가 정지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이 대립했지만, 다수의견에 따라 **즉시항고는 가능하지만 경매 절차는 정지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경매#항고장 각하#보증금 미납#즉시항고

민사판례

경매 항고, 보증금은 얼마나 내야 할까? (공동 항고 시 주의사항)

여러 사람이 함께 경매 매각허가결정에 항고할 때는,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각자 매각대금의 10%를 보증으로 공탁해야 합니다. 또한, 보증 공탁을 하지 않으면 법원은 보정 명령 없이 항고장을 각하할 수 있습니다.

#경매#매각허가결정#항고#보증공탁

민사판례

경매 항고장 각하 결정에 대한 불복, 어떻게 할까요?

경매 절차에서 법원이 항고장에 필요한 보증을 제공하지 않았다고 각하한 결정에 대해서도 다시 불복할 수 있으며, 이는 즉시항고의 형태를 띤 재항고로 진행됩니다.

#경매#항고#각하#보증

민사판례

경매 항고보증금, 누구에게 돌아가야 할까?

경매에서 항고 보증금을 낸 사람의 보증금 반환청구권에 압류가 들어왔더라도, 경매 결과에 따라 보증금을 배당받을 권리가 있는 사람은 보증금을 받을 수 있다.

#경매#항고보증금#압류#전부명령

민사판례

경매 항고, 담보 공탁 꼭 해야 하나요?

경매 결과에 불복하여 항고하려면 경락대금의 10%를 법원에 공탁해야 하는데, 이를 하지 않으면 법원은 항고를 바로 기각할 수 있으며, 기각 이유와 상관없는 다른 주장으로 다시 재항고할 수 없다.

#경매항고#담보공탁#각하#재항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