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범위확인

사건번호:

94후1091

선고일자:

199503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기본의장이 기간만료로 소멸함으로써 유사의장인 피심판청구인의 등록의장도 합체의 효과로서 소멸되었다고 보아 심판청구인의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청구를 각하한 원심결의 조치를 정당하다고 한 사례 나. 본안에 대한 상고논지가 이유 없는 경우, 원심결의 심판비용에 대한 위법 주장이 허용되는지 여부

판결요지

가. 의장권에 관한 소극적 권리범위확인 심판청구사건에서 기본의장이 기간만료로 소멸함으로써 유사의장인 피심판청구인의 등록의장도 합체의 효과로서 같은 날 소멸되었다 할 것이어서 심판청구인은 더 이상 권리범위확인을 구할 여지가 없게 되었고, 따라서 그 심판청구를 각하한 원심결의 조치는 정당하다고 한 사례. 나. 소송비용의 재판에 대한 불복은 본안의 재판에 대한 상고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이유 있는 경우에 한하여 허용되는 것이고 본안의 상고이유가 이유 없는 때에는 허용될 수 없으므로, 본안에 대한 상고논지가 이유 없는 이상 원심결의 심판비용의 심판에 위법이 있다는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참조조문

가. 구 의장법 (1990.1.13. 법률 제4208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제20조 / 나. 구 의장법 제56조(현행 제75조 창조), 구 특허법 (1990.1.13. 법률 제4207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9조, 민사소송법 제361조, 제395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70.3.10. 선고 68후21 판결(집18①행51), 1993.6.8. 선고 92후1400 판결 / 나. 대법원 1981.7.7. 선고 80다2185 판결(공1981,14153), 1991.12.30. 자 91마726 결정(공1992,1260)

판례내용

【심판청구인, 상고인】 【피심판청구인, 피상고인】 【원 심 결】 특허청 1994.4.30. 자 93항당451 심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심판청구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심판청구는 심판청구인의 (가)호 의장이 피심판청구인의 등록 제56533호의 유사1호 의장(이하 이 사건 등록의장이라 한다)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는다는 소극적 확인을 구하는 것으로서 그 청구의 이유는 이 사건 등록의장이 출원전에 이미 공지, 공용된 것으로서 그 권리범위를 인정할 수 없다고 함에 있음이 명백하다. 그런데 피심판청구인의 이 사건 등록의장은 기본의장인 등록 제56533호 의장이 1993. 7. 20. 기간만료로 인하여 소멸함으로써 유사의장인 이 사건 등록의장도 합체의 효과로서 같은 날 소멸되었다 할 것이어서 심판청구인은 더이상 이 사건 권리범위확인을 구할 여지가 없게 되었다 할 것이고 따라서 이 사건 심판청구를 각하한 원심결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 내지 판단유탈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소송비용의 재판에 대한 불복은 본안의 재판에 대한 상고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이유 있는 경우에 한하여 허용되는 것이고 본안의 상고이유가 이유없는 때에는 허용될 수 없다 할 것이므로(당원 1981.7.7. 선고 80다2185 판결 및 1991.12.30. 자 91마726 결정 참조), 앞서 본 바와 같이 본안에 대한 상고논지가 이유없는 이상 원심심결의 심판비용의 심판에 위법이 있다는 소론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가사 원심결에 심판비용에 대한 심판의 탈루가 있다고 한다면 아직 이 부분에 대하여는 원심에 심결이 계속중이라 할 것이므로 어차피 이 부분에 대한 상고는 그 대상이 없어 부적법한 것이 되므로(당원 1992.10.13. 선고 92다18283 판결 참조), 결국 논지는 이유없음에 돌아간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박준서(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디자인권 소멸 후 권리범위 확인, 의미 있을까?

디자인권이 만료되어 소멸된 후에는 그 디자인권의 범위를 확인받는 소송을 할 실익이 없다는 대법원 판결.

#디자인권#소멸#권리범위확인소송#실익없음

특허판례

디자인권 무효심판, 합의했다고 끝난 게 아닐 수도 있다?!

디자인권 침해 분쟁에서 합의를 했더라도, 그 합의 내용에 디자인권 자체의 유효성에 대한 다툼을 포기한다는 명시적인 내용이 없다면 디자인권 무효심판 청구는 계속 진행될 수 있다.

#디자인권#무효심판#침해#합의

특허판례

디자인권 무효심판, 합의하면 끝?

의장(디자인) 등록 무효심판을 청구한 사람이 심판 진행 중에 등록권자와 합의하여 더 이상 다투지 않기로 하면, 무효심판을 청구할 자격(이해관계)을 잃게 된다.

#의장등록#무효심판#청구인#합의

특허판례

디자인 유사성 판단, 전체를 봐야죠!

디자인의 유사성을 판단할 때는 단순히 앞면과 뒷면만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각도에서 전체적인 모습을 비교해야 한다.

#디자인 유사성#전체 모습#다각도 비교#판례

민사판례

디자인 도둑 잡았다! 근데 배상은 얼마 받을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의 디자인권을 침해한 경우, 침해한 사람은 고의나 과실이 없었다는 것을 스스로 입증해야 합니다. 또한 디자인권 침해 사실을 알게 된 시점은 침해자가 권리 범위를 다투는 심판에서 최종 패소한 때로 볼 수 있으며, 정신적 손해배상은 명예훼손 등 추가적인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만 인정됩니다.

#디자인권 침해#과실 추정#손해배상#소멸시효 기산점

형사판례

나중에 등록한 디자인이라도 무효가 되면 먼저 등록한 디자인 권리를 침해하지 않을 수 있다?

나중에 등록한 의장이 기존에 등록된 의장과 유사하여 무효가 된 경우, 나중에 등록한 의장의 권리자가 그 의장을 사용하는 행위가 기존 의장권을 침해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결론적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침해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의장권#유사의장#무효#통상실시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