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5누16899

선고일자:

199602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증여세를 면제받은 수증농지의 일부씩을 수차에 걸쳐서 양도한 경우, 추징할 증여세액의 산정방법

판결요지

구 조세감면규제법(1989. 12. 30. 법률 제416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7조의6 제3항에서 말하는 "그 농지에 대한 증여세의 면제세액에 상당하는 금액"이라 함은 당초 직계 존비속 등의 자경농민에게 증여가 이루어졌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그 후 5년 이내에 증여세 추징 당시까지 양도한 농지에 대하여 산정 부과되었을 증여세액 상당액을 말하며, 이 경우 증여받은 농지의 일부씩을 수차에 걸쳐서 양도한 경우에는 추징 당시까지 양도된 토지 전부에 대하여 추징할 증여세액에서 그 직전 양도시까지 추징한 증여세액을 공제한 나머지 증여세액을 부과 추징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구 조세감면규제법(1989. 12. 30. 법률 제416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7조의6 제3항, 제67조의7 제3항( 현행 제56조 제3항, 제57조 제3항 각 참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5. 2. 28. 선고 94누12623 판결(공1995상, 1506)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동안양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5. 10. 11. 선고 95구11049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피고소송수행자의 상고이유를 본다. 구 조세감면규제법(1989. 12. 30. 법률 제416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7조의7 제3항에 의하여 준용되는 같은 법 제67조의6 제3항은 증여세가 면제되는 농지를 증여받은 자경농민이 농지를 증여받은 날로부터 5년 이내에 양도하거나 당해 농지에서 직접 영농에 종사하지 아니하게 된 때에는 그 농지에 대한 증여세의 면제세액에 상당하는 금액을 자경농민으로부터 추징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이 조항에서 말하는 "그 농지에 대한 증여세의 면제세액에 상당하는 금액"이라 함은 당초 직계 존비속 등의 자경농민에게 증여가 이루어졌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그 후 5년 이내에 증여세 추징 당시까지 양도한 농지에 대하여 산정 부과되었을 증여세액 상당액을 말한다고 해석할 것이며, 이 경우 증여받은 농지의 일부씩을 수차에 걸쳐서 양도한 경우에는 추징 당시까지 양도된 토지 전부에 대하여 추징할 증여세액에서 그 직전 양도시까지 추징한 증여세액을 공제한 나머지 증여세액을 부과 추징하여야 할 것인바( 당원 1995. 2. 28. 선고 94누12623 판결 참조), 같은 취지로 판단한 원심의 조처는 정당하고, 이에 반하는 상고논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천경송(주심) 안용득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농지 증여세 면제 후 일부씩 땅을 팔았을 때, 증여세는 얼마나 내야 할까?

증여세 면제받은 농지를 5년 내 일부씩 여러 번 팔았을 때, 증여세는 팔 때마다 그때까지 판 땅 전체에 대해 계산하고, 이전에 낸 증여세는 빼줘야 한다.

#농지#증여세#면제#양도

세무판례

농지 증여 후 5년 내 양도해도, 당초 증여세 면제 요건 갖췄다면 세금 부과는 위법!

자경농민에게 농지를 증여할 때 증여세를 면제해주는 제도가 있었는데, 증여받은 사람이 5년 안에 농지를 팔면 면제받았던 세금을 다시 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처음부터 증여세 면제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잘못 판단하여 증여세를 부과한 처분은, 비록 나중에 5년 내 양도하여 세금을 추징할 수 있게 되었다 하더라도 위법하다**는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

#농지증여#증여세면제#5년내양도#추징

생활법률

농지 증여, 세금 완벽 정리! 💸

부모에게 농지를 증여받으면 증여세, 취득세, 인지세, 농어촌특별세가 발생하며, 증여/상속 후 재분할, 부담부증여 등 특수한 경우 세금 규정이 달라지고, 자경농민은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농지 증여#증여세#취득세#인지세

세무판례

증여받은 땅, 5일 만에 팔았다면? 증여세는 어떻게 계산할까?

증여받은 땅을 5일 뒤에 매매하면서 중도금과 잔금 지급을 2년 후로 미룬 경우, 매매가격에서 중도금과 잔금 지급일까지의 이자 상당액을 뺀 금액을 증여 당시 땅값(시가)으로 봐야 한다는 판결.

#증여재산#시가#매매가격#중간이자

세무판례

증여받은 농지 일부만 세금 면제? 계산법 제대로 알아보기

증여받은 농지 일부가 세금 면제 대상일 경우, 면제받지 못하는 부분의 세금을 계산할 때는 전체 농지 가액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한 후, 면제 부분에 해당하는 세금을 빼는 방식으로 계산해야 한다.

#농지#증여세#면세#계산방법

세무판례

증여세, 언제 기준으로 매겨질까요?

증여받은 사실을 세무서가 신고기간 안에 알았더라도, 증여세는 신고기간이 끝난 후의 재산 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증여세#과세시점#신고기간#재산가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