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10.15

세무판례

농지 증여 후 5년 내 양도해도, 당초 증여세 면제 요건 갖췄다면 세금 부과는 위법!

세금 문제, 특히 증여세는 복잡하고 어려워서 전문가가 아니면 이해하기 쉽지 않죠. 오늘은 농지 증여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를 바탕으로 증여세 면제와 추징에 대한 이야기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옛날에, 농업을 장려하기 위해 가족 간 농지 증여에 대한 세금 혜택이 있었습니다. (구 조세감면규제법)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자경농민이 가족에게 농지를 증여받으면 증여세를 면제해줬죠. 단, 5년 안에 그 농지를 팔거나 농사를 짓지 않으면 면제받았던 증여세를 다시 내야 했습니다. (구 조세감면규제법 제67조의6 제3항, 제67조의7 제3항, 현재는 제56조 제3항, 제57조 제3항 참조)

이번 판례의 핵심은 처음부터 증여세 면제 요건을 갖춘 경우라면, 나중에 5년 안에 농지를 팔았더라도 당초의 증여세 부과 처분은 잘못된 것이라는 겁니다.

쉽게 설명해 볼까요?

사례: 원고는 누나에게 농지를 증여받았습니다. 당시에는 증여세 면제 요건을 모두 충족했죠. 하지만 5년 안에 그 농지를 팔아버렸습니다. 그러자 세무서는 "5년 안에 팔았으니, 처음부터 증여세 면제 대상이 아니었다"라며 증여세를 부과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비록 5년 안에 농지를 팔아서 면제받은 증여세를 다시 내야 하는 상황이 됐더라도, 처음 증여받을 당시 면제 요건을 모두 갖췄다면 처음부터 증여세를 부과한 것은 잘못된 처분입니다. 5년 안에 팔았을 때 내야 하는 세금은 면제받았던 증여세를 추징하는 것이지, 애초에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과는 다른 문제입니다.

즉, 증여 당시 면제 요건을 충족했는지가 중요한 것이지, 나중에 5년 이내에 팔았는지는 처음 부과된 증여세의 적법성과는 관련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 판례는 대법원 1992. 4. 28. 선고 91누8487 판결, 대법원 1995. 2. 28. 선고 94누12623 판결, 대법원 1996. 2. 23. 선고 95누16899 판결 등에서도 일관되게 유지되어 온 법리입니다. 세금 문제는 늘 꼼꼼하게 따져봐야겠죠?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영농자녀 증여세 면제와 추징, 꼭 알아야 할 것들!

부모님에게 농지를 증여받아 증여세를 면제받은 자녀가 농사를 짓지 않아 추징금을 부과받은 사건에서, 처음부터 면제 요건을 갖추지 못했더라도 추징은 가능하며, 추징 시 면제되는 세액 결정 절차를 별도로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

#영농자녀#증여세#면제#추징

세무판례

농지 증여세 면제 후 일부씩 땅을 팔았을 때, 증여세는 얼마나 내야 할까?

증여세 면제받은 농지를 5년 내 일부씩 여러 번 팔았을 때, 증여세는 팔 때마다 그때까지 판 땅 전체에 대해 계산하고, 이전에 낸 증여세는 빼줘야 한다.

#농지#증여세#면제#양도

세무판례

농지 증여받고 세금 면제? 2년 이상 농사지어야!

농지를 상속받아 증여세 면제를 받으려면 상속받기 전 2년 이상 직접 농사를 지었어야 합니다. 단순히 농지 소유만으로는 자경농민으로 인정되지 않아 증여세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상속농지#증여세면제#자경농민#2년이상 경작

세무판례

농지 증여세 면제,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부모가 자녀에게 농지를 증여할 때 증여세를 면제받으려면, 법이 바뀌기 전에 부모가 이미 그 농지를 소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법이 바뀐 후에 농지를 사서 증여하면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자경농지#증여세 면제#농지 소유 시점#1999년 1월 1일

세무판례

농지 증여세 면제, 알고 보면 까다로운 조건들!

부모(자경농민)가 농사짓는 자녀에게 농지를 증여할 때 증여세를 면제받는 요건과 절차에 대한 판결입니다. 면제 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았더라도 요건만 충족하면 면제되며, 도시계획상 주거지역 농지는 면제 대상이 아니지만, 실제로 농지로 사용된 임야는 면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영농자녀#증여세면제#농지#임야

세무판례

농지 증여받고 5년 안에 팔면 증여세 내야 할까? (일부씩 여러 번 팔았을 때 증여세 계산법)

부모 자식 간에 농지를 증여할 때 증여세를 면제받았지만, 5년 안에 그 농지를 조금씩 여러 번 팔았다면, 증여세를 다시 내야 합니다. 이때 증여세는 이미 낸 세금을 빼고 계산합니다.

#농지#증여세#면제#추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