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훼손불허가처분취소

사건번호:

95누6113

선고일자:

199509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산림훼손 금지 또는 제한지역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산림훼손허가를 거부할 수 있는 경우 및 그 거부처분에 법규상 명백한 근거가 필요한지 여부 나. 산림법시행규칙 제88조 제2항이 산림법의 위임의 한계를 벗어난 무효의 규정인지 여부

판결요지

가. 산림훼손은 국토 및 자연의 유지와 수질 등 환경의 보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행위이므로, 법령이 규정하는 산림훼손 금지 또는 제한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는 물론 금지 또는 제한 지역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허가관청은 산림훼손허가신청 대상토지의 현상과 위치 및 주위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국토 및 자연의 유지와 환경의 보전 등 중대한 공익상 필요가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허가를 거부할 수 있고, 그 경우 법규에 명문의 근거가 없더라도 거부처분을 할 수 있다. 나. 산림법시행규칙 제88조 제2항의 규정은 산림훼손허가신청 대상토지가 훼손 금지 및 제한 지역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대상토지의 현상과 위치 및 주위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국토 및 자연의 유지와 환경의 보전 등 중대한 공익상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여 그러한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가 있다면 허가신청을 거부하고, 위와 같은 공익이 침해되지 않는 때에는 허가처분을 하라는 취지이지 허가관청에 무한정의 재량을 부여한 것은 아니므로, 위 규정이 모법인 산림법의 위임의 한계를 벗어난 무효의 규정이라고 볼 수 없다.

참조조문

가. 산림법 제90조 제1항 / 나. 산림법시행규칙 제88조 제2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92.11.10. 선고 92누1025 판결(공1993상,121), 1993.4.23. 선고 92누7726 판결(공1993하,1574), 1993.5.27. 선고 93누4854 판결(공1993하,1914)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정원실업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해마루종합법률사무소담당변호사 천정배 외 3인 【피고, 피상고인】 신안군수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5.3.30. 선고 94구165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산림훼손은 국토 및 자연의 유지와 수질 등 환경의 보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행위이므로, 법령이 규정하는 산림훼손 금지 또는 제한지역에 해당하는 경우는 물론 금지 또는 제한지역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허가관청은 산림훼손허가신청 대상토지의 현상과 위치 및 주위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국토 및 자연의 유지와 환경의 보전 등 중대한 공익상 필요가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허가를 거부할 수 있고, 그 경우 법규에 명문의 근거가 없더라도 거부처분을 할 수 있는 것이다(당원 1992.11.10. 선고 92누1025 판결 ; 1993.4.23. 선고 92누7726 판결 ; 1993.5.27. 선고 93누4854 판결 등 참조). 따라서 산림법시행규칙 제88조 제2항에서 '허가관청이 훼손 금지 및 제한 지역 해당 여부 및 신청지내의 임황과 지황을 조사확인하여 허가함이 타당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허가한다'고 규정한 것은 산림훼손허가신청 대상토지가 훼손 금지 및 제한 지역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대상토지의 현상과 위치 및 주위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국토 및 자연의 유지와 환경의 보전 등 중대한 공익상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여 그러한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가 있다면 허가신청을 거부하고, 위와 같은 공익이 침해되지 않는 때에는 허가처분을 하라는 취지이지, 위 규정이 허가관청에 무한정의 재량을 부여한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므로, 위 규정이 모법인 산림법의 위임의 한계를 벗어난 무효의 규정이라고 볼 수 없다고 할 것이다. 또한 산림훼손허가신청에 대한 행정청의 허가처분 또는 거부처분은 엄격한 기속행위라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거시 증거에 의하여, 이 사건 토지로부터 규사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그 위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농업용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모래치(규사퇴적층에 파놓은 물도랑)들이 사라지고 수령 20년 이상 가량의 해송들로 이루어진 수림대가 훼손될 수밖에 없는데 원고가 농업용수원으로 설치할 계획이라는 저수지로는 위 모래치의 기능을 대신하기 어려워 농업용수원이 쉽게 고갈될 우려가 있고 수림대의 훼손으로 인하여 인근 농경지에 비사피해의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대규모의 환경파괴의 가능성조차 없지 않은 사실, 피고는 이 사건 토지에 대한 임황 및 지황조사로 이러한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주된 이유로 들어 원고의 이 사건 허가신청에 대하여 거부처분을 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의 거부처분은 그 재량권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적법한 처분이라고 판단하였는바, 관계증거를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여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나무를 함부로 못 베는 이유, 공익이 중요해요!

법으로 정해진 산림훼손 금지 구역이 아니더라도, 주변 환경이나 공익에 큰 영향을 미칠 경우 산림훼손허가를 거부할 수 있다.

#산림훼손허가 거부#공익#환경보전#비사피해

일반행정판례

산림훼손허가, 아무 곳에서나 할 수 없다!

산림훼손허가는 법으로 정해진 금지/제한 지역이 아니더라도 공익을 위해 거부될 수 있으며, 그 판단은 수치화된 기준보다는 사업의 내용과 환경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산림훼손허가#거부#공익#종합적 고려

형사판례

산림훼손, 허가는 언제 필요할까? 행정기관의 안내를 믿었다면?

산림을 훼손하려면 산림법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다른 법률에 따라 허가가 면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공무원의 잘못된 안내를 믿고 허가 없이 산림을 훼손했더라도, 그 믿음에 정당한 이유가 있다면 처벌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산림훼손허가#면제요건#법률착오#정당한이유

민사판례

나무를 함부로 베면 큰일나요! 산림 훼손에 대한 손해배상 이야기

남의 땅에 있는 나무를 베어내고 흙을 파내 산을 훼손하면, 나무를 다시 심는 비용뿐 아니라 산사태 방지를 위한 공사 비용까지 배상해야 한다. 소송비용에 대한 불복은 본안 소송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임야훼손#손해배상#원상회복#사방공사

일반행정판례

보전림지에서의 광산 개발, 허가 없이는 안 됩니다! 자연휴양림은 모두를 위한 공간이에요.

보전림 안에서 광산 개발을 하려면 산림청장의 허가 없이도 가능한 경우라도 시장/군수의 산림훼손허가를 받아야 하고, 자연휴양림으로 지정된 도유림은 그 용도에 지장을 주는 사용을 허가할 수 없다는 판결.

#자연휴양림#광산개발#산림훼손허가#도유림사용허가

일반행정판례

산림 훼손, 언제까지 가능할까요?

채광계획인가를 받았더라도 산림훼손에 대한 조건을 붙일 수 있고, 그 기간이 만료되면 연장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산림훼손은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법으로 정해진 금지/제한 지역이 아니더라도 공익을 위해 산림훼손허가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채광계획인가#산림훼손허가#기간제한#연장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