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정지처분취소

사건번호:

95누8898

선고일자:

199509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식품접객영업자가 종업원으로 하여금 손님과 여관에서 윤락행위를 할 것을 알선한 것이 풍기문란행위를 방지하여야 한다는 준수사항을 지키지 아니한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식품접객영업자가 수차례에 걸쳐 주점의 종업원으로 하여금 주점에서 술을 마신 고객들과 업소 밖의 여관에 투숙하며 윤락행위를 하도록 알선하였다면, 그 식품접객영업자의 이러한 행위가 바로 업소 내에서는 풍기문란행위를 방지하여야 한다는 식품접객영업자로서의 식품위생법시행규칙 제42조 [별표13] 중 제7호 규정의 준수사항을 지키지 아니한 경우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식품위생법 제31조 , 제58조 , 식품위생법시행규칙 제42조 [별표 13] 제7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창녕군수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5.5.26. 선고 94구6123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고등법원으로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은 원고가 1989.12.14. 피고로부터 식품접객영업허가를 얻어 경남 창녕읍 에서 유흥주점업을 경영하던 중, 위 주점의 마담인 소외 1과 공모하여 1994.6.13.부터 같은 달 26일까지 사이에 8회에 걸쳐 위 주점의 종업원인 소외 2로 하여금 위 주점에서 술을 마신 고객들과 업소 밖의 여관에 투숙하며 윤락행위를 하도록 알선한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이러한 알선행위만으로는 식품위생법시행규칙 제42조 (별표13) 식품접객영업자 등의 준수사항의 하나인 제7호에서 말하는 업소 내에서의 풍기문란행위이거나 혹은 배달판매 등 영업행위 중 종업원의 풍기문란행위를 조장 또는 묵인한 경우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이라고 보아, 원고가 식품접객영업자의 준수사항을 위반하였음을 전제로 하는 피고의 이 사건 영업정지처분은 위법하다고 하여 이를 취소하였다. (2) 식품위생법 제31조는 식품접객영업자 및 대통령령이 정하는 영업자는 영업의 위생적 관리 및 질서유지와 국민보건위생의 증진을 위하여 보건사회부령이 정하는 사항을 지켜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때에는 같은 법 제58조에 의하여 영업허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하거나 6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영업을 정지하거나 영업소의 폐쇄를 명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제31조에 의하여 위임된 그 시행규칙 제42조 [별표13] 중 제7호는 식품접객영업자 등이 지켜야 할 준수사항의 하나로서 “업소 내에서는 도박, 기타 사행행위나 풍기문란행위를 방지하여야 하며, 배달판매 등 영업행위 중 종업원의 이러한 행위를 조장하거나 묵인하여서는 아니된다”는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바,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이 식품접객영업자인 원고가 수차례에 걸쳐 주점의 종업원인 소외 성재연으로 하여금 위 주점에서 술을 마신 고객들과 업소 밖의 여관에 투숙하며 윤락행위를 하도록 알선하였다면, 원고의 이러한 행위가 바로 업소 내에서는 풍기문란행위를 방지하여야 한다는 식품접객영업자로서의 준수사항을 지키지 아니한 경우에 해당한다 고 볼 것이고, 따라서 원고의 윤락알선행위가 업소 내에서의 풍기문란행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한 원심은 식품위생법 및 그 시행규칙 소정의 식품접객영업자의 준수사항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것이라고 하지 아니할 수 없다.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가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김석수(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유흥업소 업주님들, 직원 교육만으론 처벌 면하기 어렵습니다!

유흥업소에서 종업원이 윤락행위를 알선한 경우, 업주는 단순히 교육을 시키고 각서를 받았다는 것만으로는 책임을 피할 수 없다. 실질적인 감독 의무를 다했음을 입증해야 한다.

#윤락행위 알선#업주 책임#감독 의무#교육

형사판례

유흥주점 임대와 선불금 대여, 윤락행위 알선 방조죄 성립될까?

유흥주점에 건물을 임대해주거나 여종업원 선불금 명목으로 돈을 빌려주는 행위가 성매매 알선에 사용될 것을 알고 있었다면, 처벌받을 수 있다.

#유흥주점#임대#선불금#윤락행위 알선 방조죄

형사판례

유흥주점에서 여성용 원피스? 이것도 음란행위 알선?!

유흥주점 업주와 종업원이 남성 손님들에게 여성용 원피스를 입혀 접객하게 한 행위는 음란행위 알선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법원은 이러한 행위가 손님들의 성적 흥분을 유발하여 음란행위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인다고 판단했습니다.

#유흥주점#여성용 원피스#접객#음란행위 알선

일반행정판례

호텔 종업원 윤락알선, 2개월 영업정지는 과도한 처분인가?

관광호텔 종업원이 윤락행위를 알선했다는 이유로 2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사건에서, 법원은 해당 처분이 호텔의 영업 규모, 위반행위의 경위와 횟수, 처분으로 인한 손해와 관광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등을 고려할 때 지나치게 가혹하여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판결했습니다.

#관광호텔#윤락행위 알선#2개월 영업정지#재량권 남용

형사판례

윤락행위 알선 취업 소개는 불법! 법 개정되어도 처벌은 똑같아요!

접대부에게 윤락행위를 시킨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취업을 소개한 피고인의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법 적용에는 오류가 있었지만, 처벌 수위는 동일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윤락행위#취업알선#유죄확정#직업안정법 위반

형사판례

유흥주점에서 술 마신 여자는 다 유흥종사자일까?

단순히 술자리에 합석한 여성은 유흥종사자가 아니다. 유흥종사자로 인정되려면, 해당 업소에서 손님의 유흥을 돋우는 일을 직업으로 삼고 보수를 받아야 한다.

#유흥종사자#판단기준#보수#유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