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환급금

사건번호:

95다56323

선고일자:

199707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구 토지초과이득세법에 대한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라 개정된 법령의 소급 적용 여부(적극) [2]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과세대상 토지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상 예정결정기간에 대한 납부세액의 환급 여부(적극)

판결요지

[1] 헌법재판소의 구 토지초과이득세법(1994. 12. 22. 법률 제480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에 관한 헌법불합치 결정( 1994. 7. 29. 선고 92헌바49, 52 결정)에 따라 그 결정에서 지적된 위헌적 요소를 제거하거나 그 개선을 위하여 개정한 토지초과이득세법, 같은법시행령(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70호) 및 같은법시행규칙(1995. 5. 19. 총리령 제506호)의 각 조항은 그것이 납세의무자에게 불리하게 적용되지 아니하는 한 당해 사건은 물론 아직 법원에 계속중인 사건 등에 대하여 모두 적용된다. [2]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과세대상 토지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도 예정결정기간에 대한 납부세액 중 당해 과세기간의 토지초과이득 상당액의 100분의 50을 국가가 보유하도록 규정한 구 토지초과이득세법(1994. 12. 22. 법률 제480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4조 제1항 단서의 괄호 내 부분이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 제24조 제1항 단서에서 삭제된 이상,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과세대상 토지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되었다면 예정결정기간에 대한 납부세액 전액을 납세자에게 환급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1] 헌법 제107조 제1항,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 [2] 토지초과이득세법 제24조 제1항, 국세기본법 제51조 제1항

참조판례

[ 1] 헌법재판소 1994. 7. 29. 선고 92헌바49, 52 결정(헌공7, 505), 대법원 1996. 6. 28. 선고 93누13810 판결(공1996하, 2412), 대법원 1996. 7. 30. 선고 93누17133 판결(공1996하, 2718), 대법원 1997. 2. 14. 선고 96누8659 판결(공1997상, 820), 대법원 1997. 7. 25. 선고 96누2132 판결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5. 11. 15. 선고 94나22097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헌법재판소가 1994. 7. 29. 선고 92헌바49, 52(병합) 결정 사건에서 구 토지초과이득세법(제정 1989. 12. 30. 법률 제4177호, 개정 1993. 6. 11. 법률 제4561호, 1993. 6. 11. 법률 제4563호)에 대하여 헌법불합치 결정을 함에 따라 그 결정에서 지적된 위헌적 요소를 제거하거나 그 개선을 위하여 개정한 토지초과이득세법(1994. 12. 22. 법률 제4807호), 같은법시행령(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70호) 및 같은법시행규칙(1995. 5. 19. 총리령 제506호)의 각 조항은 그것이 납세의무자에게 불리하게 적용되지 아니하는 한 당해 사건은 물론 아직 법원에 계속중인 사건 등에 대하여 모두 적용된다 고 함이 이 법원의 견해이므로( 대법원 1996. 1. 26. 선고 93누17911 판결, 1996. 6. 28. 선고 93누13810 판결 등 참조),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과세대상 토지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도 예정결정기간에 대한 납부세액 중 당해 과세기간의 토지초과이득 상당액의 100분의 50을 국가가 보유하도록 규정한 구 토지초과이득세법 제24조 제1항 단서의 괄호 내 부분이 위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 제24조 제1항 단서에서 삭제된 이상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과세대상 토지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되었다면 예정결정기간에 대한 납부세액 전액을 납세자에게 환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구 토지초과이득세법에 대한 위 헌법불합치 결정이 있기 전인 1994. 2. 16. 소제기된 이 사건에서 원심이 같은 취지로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 제24조 제1항 단서의 적용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환급, 어떻게 받아야 할까?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에 따라 토지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될 경우 이미 납부한 세금은 전액 환급되어야 하며, 환급 거부 시 민사소송으로 구제받아야 합니다. 환급금 결정 자체는 행정소송의 대상이 아닙니다. 또한, 존재하지 않는 처분을 대상으로 한 소송은 부적법하여 각하됩니다.

#토지초과이득세#환급#행정소송#민사소송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위헌 논란과 세율 개정의 소급 적용

헌법재판소가 토지초과이득세법 일부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후 개정된 세율과 기본공제 조항은 이전 판결에도 소급 적용된다.

#토지초과이득세#헌법불합치#세율#기본공제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법 적용은 어떻게?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위헌적인 부분이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은 납세자에게 불리하지 않다면 소급 적용되며, 건축물 부속토지의 유휴토지 면적 계산은 면적이 더 크게 인정되는 방식을 우선 적용해야 한다.

#토지초과이득세#소급적용#유휴토지#면적계산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법 적용은 어떻게 될까요?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토지초과이득세법이 바뀐 후에도, 납세자에게 유리한 옛 법령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판례는 옛 법령에 따라 '건축 목적'으로 토지를 취득했는지, 즉 유휴토지가 아닌지를 판단할 때 건축허가 신청 여부만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토지초과이득세#유휴토지#건축목적#헌법불합치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가압류·소송 중인 땅에도 부과될까? 그리고 세금 계산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가압류 등의 법적 조치가 토지 사용 금지에 해당하지 않으며, 위헌 결정 이후 개정된 토지초과이득세법은 소급 적용된다는 판결.

#토지초과이득세#가압류#사용금지#위헌

세무판례

토지초과이득세, 헌법 위반인가?

옛 토지초과이득세법의 일부 조항이 위헌 판결을 받은 후 개정되었는데, 개정된 법률이 이전 사건에도 소급 적용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법원은 미실현 이득에 대한 과세가 위헌이 아니며, 개정된 법률을 소급 적용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토지초과이득세#위헌#개정법률#소급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