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채취법위반

사건번호:

95도1497

선고일자:

1996122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골재채취법상의 '채취'의 의미 [2] 을이 인접 토지에서 토석을 굴착하여 갑의 토지 위에 쌓아 둔 것을 갑이 긁어내어 다른 곳으로 운반한 행위가 '채취'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골재채취법 제2조 제1호는 '골재'라 함은 하천, 산림, 공유수면 기타 지상·지하 등에 부존되어 있는 암석(쇄석용에 한한다)·모래 또는 자갈로서 건설공사의 기초재료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여 그 채취의 대상이 자연상태에 있음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같은법에서 '채취'라 함은 골재를 캐거나 들어내는 등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자연상태로부터 분리해 내는 것을 말한다. [2] 타인이 인접한 토지에서 토석을 굴착하여 피고인 소유 토지 상에 쌓아 둔 것은 그 굴착 당시 이미 자연상태에서 분리되어 '채취'된 것이므로, 피고인이 이를 긁어내어 다른 곳으로 운반하였더라도 골재채취법상의 '채취'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1] 골재채취법 제2조 제1호 , 제22조 , 제49조 / [2] 골재채취법 제2조 제1호 , 제22조 , 제4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들 【변호인】 변호사 조하영 【원심판결】 전주지법 1995. 5. 26. 선고 94노829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피고인들의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제1점 및 제2점의 다에 대하여 골재채취법 제2조 제1호는 '골재'라 함은 하천, 산림, 공유수면 기타 지상·지하 등에 부존되어 있는 암석(쇄석용에 한한다)·모래 또는 자갈로서 건설공사의 기초재료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여 그 채취의 대상이 자연상태에 있음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같은법에서 '채취'라 함은 골재를 캐거나 들어내는 등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자연상태로부터 분리해 내는 것을 말한다 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사건에서 공소외 공영대 등이 이 사건 토지에 인접한 토지에서 토석을 굴착하여 이 사건 토지 상에 쌓아 둔 것은 그 굴착 당시 이미 자연상태에서 분리되어 '채취'된 것이므로 피고인들이 이를 긁어내어 다른 곳으로 운반하였더라도 골재채취법상의 '채취'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을 것임은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다. 그러나, 원심이 인용한 제1심 판결이 채용한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들은 위 공영대 등이 이 사건 토지 상에 적치한 토사만을 긁어낸 것이 아니라 공모하여 제1심 판시와 같이 이 사건 토지에서 토석을 파내어 가 골재를 채취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없고, 위와 같이 피고인들이 공동하여 이 사건 골재를 채취한 이상 피고인 오재섭을 공동정범으로 처벌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공동정범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2. 제2점의 가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들이 이 사건 토지에서 채취한 토석 속에는 상당 비율의 모래 또는 자갈이 포함되어 있는 사실이 인정되므로 피고인들이 이 사건 토석을 채취한 행위는 골재채취에 해당한다고 할 것인바, 같은 취지로 판시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골재채취법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제2점의 나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면 공소외 공영대 등에 의하여 이 사건 토지 상에 적치되어 있던 토석이 피고인 양봉춘의 이 사건 토지의 이용을 방해하고 있어 위 피고인이 위 공영대 등에 대하여 방해배제청구권이 있었음은 인정되지만, 이 사건 범행 당시 법정절차에 의한 청구권을 보전하기 불가능하였다고 보여지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위에서 인정한 바와 같이 피고인들은 위 공영대 등이 적치한 토사만을 채취한 것이 아니라 이 사건 토지로부터 상당량의 토석을 파내어 채취하기까지 한 사실이 인정되므로 피고인들의 행위가 자구행위로서 위법성이 조각된다고 볼 수 없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4. 그러므로, 피고인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김형선 이용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쌓아둔 모래, 다시 캐면 불법일까? - 골재채취에 대한 새로운 시각

과거에 채취해서 쌓아둔 골재라도 오랜 시간 방치되어 주변 환경과 일체화되면서 다시 자연 상태로 돌아간 경우, 이를 다시 옮기려면 골재채취법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한다.

#골재#채취#허가#자연상태

민사판례

묘지 주변 석축, 함부로 쌓으면 안 돼요! 분묘기지권의 범위에 대해 알아봅시다

분묘기지권은 묘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범위에서만 인정되는 권리이지, 그 이상의 토지 사용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묘 관리에 꼭 필요하지 않은 석축 공사는 분묘기지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분묘기지권#범위#석축#필요성

형사판례

남이 채취한 골재, 가공만 하면 골재 채취업일까?

1995년 6월 16일 이전에는, 다른 사람이 채취한 골재를 단순히 파쇄하고 선별하는 작업만 하는 것은 골재채취업으로 등록할 필요가 없었다.

#골재채취#파쇄·선별#등록#1995년 이전

일반행정판례

건설 현장에서 나온 흙, 그냥 줘도 불법일까? 폐기물 처리에 대한 오해와 진실

건설현장에서 나온 흙을 농지에 객토용으로 제공한 행위가 폐기물관리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그에 따른 행정 처분이 정당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재활용 목적이라도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폐기물 처리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건설현장 토사#재활용#폐기물관리법 위반#원상복구 명령

민사판례

내 땅 안 쓰고 남의 땅 쓰면서 돈도 아끼려고? 안 돼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단순히 비용이 덜 든다는 이유로 이웃 토지나 시설물을 사용할 권리는 없다.

#송전선#이웃 토지 사용#상린관계#비용

일반행정판례

산에서 돌, 흙 캐려면 허가 꼭 받아야 할까? 무조건 내 땅이라고 되는 건 아니에요!

산림에서 토석 채취는 환경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법으로 정한 제한지역이 아니더라도 공익을 위해 허가를 거부할 수 있다.

#토석채취#허가#공익#산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