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공갈),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행사,사문서위조,사문서위조행사,공갈,권리행사방해

사건번호:

95도825

선고일자:

1995063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소정의 “이득액“의 의미 나. 갈취한 액면금 6억 원의 약속어음 공정증서로 피해자 소유 부동산에 대하여 강제경매를 신청하였다가 강제경매를 취하하는 조건으로 채권최고액 3억원의 근저당권을 설정 받은 경우의 갈취 이득액

판결요지

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의 이득액은 단순1죄 또는 포괄1죄가 성립하는 경우의 이득액의 합산액을 의미하지만, 그 법조항의입법취지에 비추어 그 이득액은 실질적인 이득액을 말한다. 나. 피고인이 피해자로부터 피해자가 발행하여 공증을 받은 액면금 6억 원의 약속어음을 갈취한 후, 그 공정증서를 채무명의로 하여 피해자 소유 부동산에 대한 강제경매신청을 하였다가 그 강제경매를 취하하는 조건으로 그 부동산에 관하여 근저당권자를 피고인으로 하는 채권최고액 금 3억 원의 근저당권을 설정받은 경우, 그 근저당권은 피고인이 갈취한 기존의 약속어음채권 금6억 원을 확보 강화하는 것에 불과하여 피고인의 실질적 이득액은 금 6억 원을 넘어설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 형법 제350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호인 변호사 장영하변호사 신형조(국선)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5.2.28. 선고 94노3249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피고인 1에 대하여는 상고 후 구금일수 중 60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피고인 1의 상고이유와 피고인들의 국선 및 사선 변호인들의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기록에 의하여 관계 증거들을 살펴보면, 피고인들의 판시 각 범죄사실을 인정한 원심의 조치에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 주장과 같이 채증법칙 위반이나 심리미진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을 찾아볼 수 없다.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의 이득액은 단순1죄 또는 포괄1죄가 성립하는 경우의 이득액의 합산액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지만, 위 법조항의 입법취지에 비추어 그 이득액은 실질적인 이득액을 말한다 고 할 것이므로, 이 사건에서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이 인정하는 바와 같이 피고인 문우식이 피해자로부터 피해자가 발행하고 소외 공증인가 중도법인 사무실에서 공증을 받은 약속어음 3억 원권 2매 액면금 합계금 6억 원의 약속어음을 갈취한 후, 위 공정증서를 채무명의로 하여 피해자 소유 부동산에 대한 강제경매신청을 하였다가 그 강제경매를 취하하는 조건으로 그 부동산에 관하여 근저당권자를 피고인 문우식으로 하는 채권최고액 금 3억원의 근저당권을 설정 받았다면, 위 근저당권은 동 피고인이 갈취한 기존의 위 약속어음채권 금 6억원을 확보·강화하는 것에 불과하여 동 피고인의 실질적 이득액은 금 6억 원을 넘어설 수 없다 고 할 것이므로, 이와는 달리 원심이 위 근저당권의 채권최고액 금 3억 원을 이득액에 합산한 조치는 부당하고 따라서 이를 탓하는 논지는 이유 있으나, 이를 제외하더라도 동 피고인이 피해자로부터 갈취한 이득액 합계가 금 7억 2천만원으로서 이득액이 5억 이상 50억 이하이어서 위 법 제3조 제1항 제2호에 해당되는 점은 다름이 없고, 이와 같이 동일한 법정형 범위 내에서 이득액에 대한 법률상의 해석을 잘못한 것에 지나지 않는 원심의 법리오해는 판결 결과에는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피고인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피고인 1에 대하여는 상고 후 구금일수 중 60일을 본형에 산입키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천경송(주심) 안용득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약속어음 변조, 나도 모르게 부당이득? 😱 500만원짜리 어음이 5500만원으로?!

타인이 발행한 약속어음의 금액을 변조하여 제3자에게 양도한 경우, 제3자가 변조 사실을 몰랐고 정당한 채권이 있더라도 변조된 금액은 부당이득으로 반환해야 한다.

#약속어음#변조#부당이득#반환책임

형사판례

남의 부동산 담보로 사기치면 얼마나 손해 배상해야 할까?

다른 사람에게 돈을 빌리거나 물건을 외상으로 받기 위해 타인 소유의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하여 사기를 친 경우, 사기꾼이 얻은 이득은 해당 부동산의 시가에서 기존에 설정된 근저당권의 채권 최고액을 뺀 금액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단,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기존 근저당권의 실제 피담보채무액을 뺀 금액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담보사기#이득액계산#기존근저당권#채권최고액

형사판례

어음 할인 사기, 실제 받은 돈이 중요합니다!

어음 할인 사기에서 사기꾼이 실제로 받은 돈보다 많은 액면 금액을 사기 금액으로 판단한 원심 판결을 대법원이 뒤집고, 실제 받은 할인금만큼만 사기 금액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어음할인#사기#편취액#실제수령액

형사판례

공갈죄로 얻은 이득, 어떻게 계산할까요?

공갈죄로 얻은 이득액은 범죄가 완성된 시점(기수시점)에 약속된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하며, 이후 상황 변화는 고려하지 않는다. 특경법상 이득액은 불법적으로 얻기로 한 재산 가치의 합계이며, 실제로 이득을 얻었는지, 조건이 붙었는지는 상관없다.

#공갈죄#이득액#기수시점#특경법

민사판례

부동산에 몰래 근저당 설정하면 얼마나 배상해야 할까?

누군가 불법으로 내 땅에 근저당을 설정했다면, 나는 근저당 설정 당시의 최고액이 아닌 *실제 확정된 채무액*만큼만 손해를 배상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땅을 산 사람도 이와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근저당#제3취득자#피담보채무#확정

상담사례

약속어음 만기 지났는데 돈 못 받았어요!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약속어음 만기 후 돈을 받지 못했더라도, 발행인이 약속어음으로 이득을 봤다면 '이득상환청구권'을 통해 돈을 돌려받을 가능성이 있다. (단, 약속어음이 처음부터 유효했고, 약속어음으로 돈 받을 권리가 소멸되었으며, 다른 방법으로 돈을 받을 수 없고, 발행인이 실제로 이득을 봤어야 함.)

#약속어음#만기#이득상환청구권#부동산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