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여분을원인으로한소유권이전등기·상속재산분할청구

사건번호:

95스30

선고일자:

19960710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가사

사건종류코드:

400103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부동산의 취득과 유지에 있어 처로서 통상 기대되는 정도를 넘어 특별히 기여한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망인은 공무원으로 종사하면서 적으나마 월급을 받아 왔고, 교통사고를 당하여 치료를 받으면서 처로부터 간병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이는 부부간의 부양의무 이행의 일환일 뿐, 망인의 상속재산 취득에 특별히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없으며, 또한 처가 위 망인과는 별도로 쌀 소매업, 잡화상, 여관업 등의 사업을 하여 소득을 얻었다고 하더라도 이는 위 망인의 도움이 있었거나 망인과 공동으로 이를 경영한 것이고, 더욱이 처는 위 망인과의 혼인생활 중인 1976.경부터 1988.경까지 사이에 상속재산인 이 사건 부동산들보다 더 많은 부동산들을 취득하여 처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위 부동산의 취득과 유지에 있어 위 망인의 처로서 통상 기대되는 정도를 넘어 특별히 기여한 경우에 해당한다고는 볼 수 없다고 한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1008조의2 , 가사소송규칙 제111조 , 제112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청구인,재항고인】 【상대방】 【원심결정】 대구고법 1995. 7. 28.자 94브6, 7 결정 【주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유】 소송대리인의 재항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결정과 원심이 인용한 제1심결정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판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에 터잡아 소외 망인(1992. 12. 13.사망)은 공무원으로 종사하면서 적으나마 월급을 받아 왔고, 1987. 6. 17. 교통사고를 당하여 치료를 받으면서 처인 청구인으로부터 간병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이는 부부간의 부양의무 이행의 일환일 뿐, 망인의 상속재산 취득에 특별히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없으며, 또한 청구인이 위 망인과는 별도로 쌀 소매업, 잡화상, 여관업 등의 사업을 하여 소득을 얻었다고 하더라도 이는 그 판시와 같이 위 망인의 도움이 있었거나 망인과 공동으로 이를 경영한 것이고, 더욱이 청구인은 위 망인과의 혼인생활 중인 1976.경부터 1988.경까지 사이에 상속재산인 이 사건 부동산들보다 더 많은 부동산들을 취득하여 청구인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부동산의 취득과 유지에 있어 청구인이 위 망인의 처로서 통상 기대되는 정도를 넘어 특별히 기여한 경우에 해당한다고는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는바, 이를 기록과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그 사실인정과 판단은 옳다고 여겨지고, 거기에 재항고이유와 같은 심리미진, 이유불비,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나 기여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상속, 나도 기여분 받을 수 있을까? 기여분 완벽 정리!

피상속인을 특별히 부양하거나 재산 유지/증가에 기여한 상속인은 기여분을 인정받아 상속분을 더 받을 수 있으며, 기여분은 상속인 간 협의 또는 가정법원의 심판으로 결정된다.

#기여분#상속#특별한 기여#상속인

가사판례

부모님 부양과 상속, 기여분은 어떻게 인정될까?

결혼 후에도 장기간 부모와 함께 살며 생계 수준 이상의 부양을 한 성년 자녀는 상속에서 기여분을 인정받을 수 있다.

#성년 자녀#장기 부양#기여분#상속

상담사례

남편의 갑작스러운 사망, 상속은 어떻게 될까요?

남편 사망 시 유언이 없다면 배우자는 1/3, 자녀 3명은 각각 2/9씩 상속받지만, 생전 증여나 특별기여가 있었다면 상속분이 달라질 수 있다.

#상속#배우자 사망#법정상속분#자녀

가사판례

상속분쟁, 기여분, 특별수익, 그리고 부동산 분할 방법

이 판례는 상속재산을 나눌 때 기여분, 특별수익, 상속비용을 어떻게 고려하는지, 그리고 상속인들 간의 관계가 좋지 않을 때 부동산을 어떻게 분할하는 것이 좋은지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특히, 상속인 간 갈등이 심한 경우, 부동산을 공동 소유하는 것보다 경매를 통해 현금으로 나누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상속재산분할#기여분#특별수익#상속비용

민사판례

상속분쟁 중 뒤늦은 기여분 주장, 받아들여질까?

상속재산을 나누는 소송이 대법원에 올라간 상태에서 새롭게 기여분(상속재산에 대한 기여를 인정하여 더 많이 받는 부분)을 주장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상속재산분할#재항고심#기여분#청구 불허

상담사례

남편 명의 음식점, 시부모님과 상속 분쟁? 기여분 제도로 내 권리 찾기!

배우자 명의 음식점 운영 등 특별한 기여가 있는 경우, 상속 시 기여분 제도를 통해 상속분 조정을 받을 수 있다.

#상속#기여분#음식점#시부모